[더구루=정예린 기자] 차세대 저전력 D램 기술 'LPDDR6'의 공식 표준이 나왔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비롯한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은 이 표준에 맞춘 제품 상용화에 속도를 내며,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을 포함한 차세대 모바일·엣지 컴퓨팅 시장 주도권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미국 전자산업협회(EIA) 산하 국제반도체표준화기구(JEDEC)는 9일(현지시간) LPDDR6 표준 'JESD209-6'을 발표했다. LPDDR6는 스마트폰, 엣지 AI 기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등 다양한 환경에서 고성능과 저전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이르면 내년부터 본격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LPDDR은 스마트폰과 태블릿PC 같은 모바일 기기에 주로 탑재되는 저전력 D램 규격이다. 'LP(Low Power)'라는 명칭이 의미하듯 낮은 전력 소모에 최적화돼 있다. 1세대부터 2, 3, 4, 4X, 5, 5X 순으로 개발됐으며 현재 상용화된 최신 규격은 7세대인 LPDDR5X다. 최근에는 자동차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자율주행용 컴퓨팅 플랫폼 등 고성능 저전력 메모리가 요구되는 자동차 분야에서도 LPDDR의 적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번 LPD
[더구루=정예린 기자] 우크라이나 정부가 약 1억원에 달하는 현대자동차의 최고급 미니밴 스타리아를 구매한 사실이 확인됐다. 차량 공급업체가 페트로 포로셴코 전 대통령과 연계된 회사로 드러나면서 정치적 배경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10일 우크라이나 통신사 'UNN'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자산관리공사(ARMA)는 최근 국가 전자입찰시스템 '프로조로(Prozorro)'를 통해 현대차 스타리아 브론즈 구매 입찰을 진행했다. 약 300만 흐리우냐(약 9860만원)의 가격에 유일 입찰자인 '보그단 오토'가 낙찰자로 선정됐다. 입찰 공고에는 △전륜구동 △나파 가죽 인테리어 △시트 통풍·열선 기능 △보스(BOSE) 오디오 시스템 △64색 앰비언트 조명, 금고 △틴팅 △ARMA 로고 마킹 등이 세부 사양으로 명시됐다. 문제는 사실상 현대차 스타리아의 고급 트림과 일치하는 수준이었다는 점이다. 보그단 오토는 대표인 빅토르 루트코프스키와 'ZNVKIF 보그단-캐피탈'이 공동 소유한 회사다. 이들 법인은 포로셴코 전 대통령과 그의 측근인 올레흐 흐라드콥스키 전 국가안보차관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우크프롬인베스트' 그룹 계열사로 알려져 있다. 입찰 사양이 현대차 공식 홈페이지에 게시된
[더구루=정예린 기자] LX세미콘이 중국에서 핵심 반도체 설계 기술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 현지에서 자사 기술을 보호하는 동시에, 설계 자산의 가치를 높이고 디스플레이 칩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10일 중국 국가지적재산권국(CNIPA)에 따르면 LX세미콘이 지난 1월 출원한 '락(위상) 고정 루프(PLL)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기(특허번호 CN120281314A)'라는 제목의 특허가 공개됐다. 이 기술은 향후 저전력·고성능 디스플레이 칩 개발에 있어 핵심 설계 자산으로 활용될 수 있을 전망이다. 해당 특허는 디스플레이 구동 칩의 핵심 구성 중 하나인 PLL 회로를 개선한 설계 기술이다. PLL은 전자기기 내부에서 일정한 속도의 전기 신호(클럭)를 생성하는 장치로, 그 중심에 있는 전압 제어 발진기(VCO)의 작동 효율을 높이는 방식이다. LX세미콘은 대역폭 선택 회로를 통해 VCO가 힘을 덜 들이고도 안정적인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계했다. 기존에는 VCO가 일정 수준 이상의 전기적 힘을 가져야 정확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었지만, 이번 기술은 신호의 사용 범위를 회로가 스스로 판단하게 해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줄인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아시아나항공이 8월부터 '하늘 위 호텔'이라고 불리는 초대형 항공기 에어버스 A380을 독일 프랑크푸르트 노선에 투입한다. 좌석 공급력이 대폭 확대되면서 비즈니스 클래스 중심의 프리미엄 수요 대응과 수익성 제고가 기대된다. 9일 아시아나항공에 따르면 회사는 기존에 A350-900을 활용해 운항하던 인천~프랑크푸르트 노선에 다음달 7일부터 A380을 주 4회 정기 투입한다. 1차 투입 기간은 올해 12월까지이며, 이후 일정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이번 기재 변경은 유럽연합(EU) 경쟁당국의 시정조치로 인해 프랑크푸르트, 파리, 로마 등 유럽 주요 노선의 운항 횟수가 축소된 가운데, 아시아나항공이 대형기 투입을 통해 공급 효율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이다. 앞서 EU는 대한항공과의 기업결합에 따른 유럽 노선 독과점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아시아나항공 일부 유럽 노선의 감편을 요구, 인천~프랑크푸르트 노선은 지난 4월 30일부터 주 7회에서 주 4회로 감편됐다. A380 투입은 줄어든 운항 횟수 속에서도 좌석 공급량을 유지하고 프리미엄 수요를 적극 흡수하기 위한 대응책이다. 아시아나항공 A350-900의 좌석 수는 311석인 반면 A380은 49
[더구루=정예린 기자] 베트남 칸호아성 인민위원장이 HD현대미포의 현지 법인인 HD현대베트남조선을 찾았다. 동남아 핵심 사업장을 순회 중인 권오갑 HD현대 회장의 베트남 방문과 맞물려 지방정부와 기업 간 협력이 향후 사업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9일 베트남 칸호아성 당위원회 산하 공식 기관지 바오칸호아에 따르면 쩐꿕남 인민위원장은 최근 HD현대베트남조선을 방문해 생산 현황과 안전관리, 투자 확대 계획 등을 면밀히 살폈다. 지역 산업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HD현대의 역할을 높이 평가하며 향후 기업 지원 정책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쩐 인민위원장은 조선 산업이 칸호아성 및 반퐁 경제구역의 핵심 성장 동력임을 강조했다. 특히 "우리는 HD현대베트남조선이 지역 경제와 산업, 수출에 기여하는 점을 높이 평가한다"며 "앞으로 회사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조선소를 현대화하며 생산 능력과 규모를 확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반퐁경제구역 관리위원회는 투자자 지원을 위한 특별 태스크포스 구성과 함께 빠른 인허가 절차 및 원활한 사업 진행을 위한 행정 지원 강화에 힘쓰고 있다. 또 토지 정리와 이주단지 조성 등 인프라를 신속
[더구루=정예린 기자] 기아차가 현대모비스와 손잡고 멕시코 북부에 신규 부품 물류센터를 개소했다. 급증하는 현지 차량 수요에 대응해 부품 배송 속도와 서비스 품질을 끌어올리고 효율적인 물류망 구축에 속도를 낸다. 8일 기아차 멕시코법인에 따르면 회사는 이달 초 누에보레온주 살리나스 빅토리아에 위치한 현대모비스 물류시설에 새로운 부품 물류센터(PDC)를 오픈했다. 이 센터는 멕시코 북부권 고객과 딜러에 하루 이내 부품을 배송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초기에는 몬테레이와 수도권 딜러 6곳을 대상으로 운영된다. 기아차는 현대모비스가 운영 중인 '리디스트리뷰션 센터(ReDistribution Center)' 내에 전용 공간을 마련해 입주하는 형태로 물류 인프라를 활용했다. 기아차와 현대모비스의 멕시코 현지 협업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멕시코주 쿠아우티틀란에 위치한 기아차의 기존 물류창고도 현대모비스의 전국 유통망을 일부 연계해 운영 중이며, 이번 북부 센터는 양사 간 협력의 연장선이다. 총 2500㎡ 규모의 물류센터는 약 2300개 부품을 저장할 수 있다. 회전율이 높은 품목 위주로 분류 체계가 설계됐다. 출·입고 동선은 독립적으로 구성됐고, 품질 관리 프로토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가전업체 '캐리어'가 인도 정부의 전자 폐기물 재활용 규제에 반발해 법정 대응에 나섰다. 삼성전자와 LG전자에 이어 캐리어까지 합류했다. 글로벌 기업들이 소송전에 가세하면서 전자업계 전반으로 논란이 확산되는 양상이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한화그룹이 노르웨이 ‘REC실리콘'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며 경영권 확보에 사실상 성공했다. 미국산 폴리실리콘 공급망을 구축,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그리는 '북미 태양광 사업 밸류체인'의 완성이 한 걸음 더 가까워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REC실리콘 이사회는 지난 7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한화가 제시한 공개매수 외에는 "현실적이고 실행 가능한 대안이 없다"고 공식 인정했다. 공개매수 마감일은 8일까지로, 현재까지 추가 지분 확보 결과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이사회가 백기 투항에 가까운 입장을 밝히면서 경영권 인수가 기정사실화되는 모양새다. 이사회는 "한화 외에는 현실적이고 가용한 자금 조달 대안이 없으며, 시간적 제약과 법적 제한까지 고려할 때 본 제안(한화의 공개매수) 외에 추천할 수 있는 대안이 없다"며 "한화가 기존 입장대로 회사 운영을 재정적으로 지원할 것이라 기대한다"고 밝혔다. REC실리콘 이사회가 이같이 판단한 것은 회사가 극심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기 때문이다. 이사회는 투자은행을 통해 대체 자금조달 가능성을 검토했지만, 기존 대출로 인해 자산 대부분이 담보로 묶여 있어 다른 방안은 사실상 차단된 상태다. 한화가 인수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가 6개월여 만에 멕시코 멕시칼리 공장의 문을 다시 열기위해 고심이다. 세탁기·건조기 생산라인으로 전환하는 것은 물론 외부 인력 충원 가능성까지 검토한다. 미국과 멕시코 간 상호관세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북미 수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정면돌파'를 선택, 공급망 효율성을 강화하려는 전략적 판단으로 분석된다. 8일 멕시코 지역지 '크레알라 노티시아(CrealaNoticia)'에 따르면 멕시칼리 임가공협회인 ‘인덱스 멕시칼리(Index Mexicali)'의 살바도르 마에세 회장은 최근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LG전자가 멕시칼리 공장에서 새로운 제품 생산을 계획하고 있다"며 "과거 약 400명에 달했던 인원 재고용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밝혔다. 실제 올 초 폐쇄됐던 멕시칼리 공장은 세탁기·건조기 전용 생산라인으로 재단장 중이며, 일부 장비 반입도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LG전자는 올 3분기 중 시범 생산에 돌입하고, 연말 양산 체제로 전환하는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는 게 마에세 회장의 설명이다. 과거 근무 인원을 뛰어넘는 규모로 외부 업체를 통한 인력 충원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결정은 미국 서부 시장과 인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미국·일본 대학과 함께 반도체 내부 구조를 나노미터(nm) 단위로 분석하는 레이저 기반 기술을 새롭게 구현했다. 비접촉·비파괴 방식으로 칩 속 접합 상태를 진단할 수 있어 고집적 반도체 불량률을 낮추고 공정 품질 관리 수준을 크게 높일 수 있을 전망이다. 8일 일본 오카야마대학교에 따르면 최근 삼성전자, 미국 라이스대학교 등과 함께 실리콘 웨이퍼 속 반도체를 자르지 않고 PN 접합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 기술을 공동 개발했다. 해당 성과는 지난달 국제학술지 ‘빛, 과학과 응용(Light: Science & Applications)’을 통해 발표됐다. 연구진이 개발한 방식은 초고속 레이저를 웨이퍼 표면에 쏘면 발생하는 테라헤르츠(THz)파를 감지해 내부 구조를 분석하는 원리를 바탕으로 한다. 레이저에 반응한 전자들이 이동하면서 방출하는 전자기파에는 접합이 형성된 위치와 깊이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다. 이 신호를 분석하면 접합이 얼마나 얕은 위치에 자리잡고 있는지 nm 수준으로 추정할 수 있다. PN 접합은 전류를 제어하는 반도체의 핵심 구조다. 최근 고성능 칩은 이 접합을 수십~수백nm 단위로 얕게 형성해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소재 기업 '쓰디커(斯迪克·SDK)'가 삼성전자에 광학용 투명접착필름(OCA) 납품을 추진한다. 삼성전자가 중국 기업과 손잡고 공급망 다변화에 나서며 스마트폰 부품 조달 전략에 변화가 있을지 주목된다. 7일 중국 선전거래소의 상장사 투자자 관계 플랫폼 '후둥이(互动易)'에 따르면 쓰디커는 최근 삼성전자 OCA 공급 여부에 대한 주주의 질문에 "현재 자사 OCA 제품은 삼성 공급망과 관련해 샘플 테스트 및 평가 단계에 있다"며 "아직 대량 공급은 시작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삼성을 비롯한 업계 주요 고객 요구를 면밀히 주시하면서 제품 기술 업그레이드와 시장 대응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앞으로 더 많은 협력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구체적인 사업부 명칭은 공개하지 않았으나 쓰디커의 샘플 테스트는 삼성전자 MX사업부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관측된다. 일반적으로 OCA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사에 공급되고 이후 완성된 패널이 삼성전자 등 완제품 제조사에 납품되는 구조지만, 쓰디커는 삼성전자에 직접 납품을 공략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샘플 테스트 단계인 만큼 실제 납품 여부는 향후 달라질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일본 이동통신사 'NTT도코모'에 신규 5G 통신장비를 공급을 추진한다. 앞서 KDDI에 5G 장비 공급은 물론 소프트뱅크 주파수용 기지국 장비에 대해서도 다수의 기술기준적합인증(TELEC·텔렉)을 획득한 삼성전자는 일본 3대 이동통신사를 모두 고객사로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현지 5G 장비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입지가 탄탄히 구축되는 모양새다. 7일 일본 총무성에 따르면 NTT도코모는 지난달 'BS3201형 BDEEX(N)/BS4001형 45L0AMMU(SS)' 장비 설계에 대해 텔렉 인증을 받았다. 해당 장비는 4.5~4.6GHz의 100MHz 대역폭에서 작동하는 중대역용 기지국이다. NTT도코모가 보유한 5G 핵심 커버리지 대역에 해당한다. 인증 대상 장비는 제어장치와 무선장치로 구성된다. 설계 명칭을 통해 제어장치(BS3201형 BDEEX)는 일본 NEC, 무선장치(BS4001형 45L0AMMU)는 삼성전자 제품으로 확인된다. 삼성전자의 무선장치는 대용량 다중입출력 장치(Massive MIMO) 기술을 탑재한 안테나 일체형 기지국으로, 복수 사용자 동시 접속과 고용량 데이터 전송을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전파 효율과 커버
[더구루=이꽃들 기자] 배달의민족 모기업 딜리버리히어로(Delivery Hero)가 유엔(UN)의 새로운 환경 이니셔티브인 '딜리버리-E 연합(Deliver-E Coalition)'에 창립 멤버로 참여하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대폭 강화한다. 이번 결정은 전 세계적으로 팽창하는 배달 서비스 시장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배터리 제조사 고션 하이테크(Gotion High Tech, 이하 고션)가 스페인에 배터리 소재 공장 건설을 추진한다. 고션은 새로운 소재 공장을 기반으로 파트너사인 이노뱃(InoBat)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