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특수부대처럼 험지와 수상을 자유자재로 이동하며 다양한 작전을 펼칠 수 있는 '고스트로보틱스 비전 60(이하 비전 60)'이 공개됐다. 로봇의 군사 무기화가 속도를 내면서 '윤리적 논쟁'이 더욱 격화될 전망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방산기업 '오닉스 인더스트리(Onyx Industries, 이하 오닉스)'는 기관총을 탑재한 데 이어 수륙양용 능력까지 갖춘 비전 60을 공개했다. 고스트로보틱스의 모듈형 4족 보행 로봇인 비전 60은 길이 95cm, 높이 68.5cm, 무게 51kg의 제품이다. 최대속도는 초속 3m, 최대 운용거리는 10km다.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만들어지며 전방 색상감지 카메라, 후방 색상·깊이 감지 카메라, 배터리 등으로 구성된다. 최장 3시간 운용이 가능하다. 자갈밭이나 언덕, 계단과 같은 평탄하지 않은 지형에서도 움직임에 무리가 없고, 센서와 조명 등도 부착해 실외 활동에 강하다. 공개된 영상에는 에어탱크를 장착하고 수상 주행을 하는 비전 60의 모습이 등장한다. 또한 4개의 다리를 이용해 험지에서도 이동이 가능하며 어깨 부근 상단에는 기관총이 장착돼 있다. 오닉스는 비전 60이 기관총 외 무기도 장착할 수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이 전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사이버 공격에 시달리고 있다. 대만은 사이버 공격에 맞서 정부 차원의 적극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황옌난(黃彥男) 대만 디지털발전부 장관은 지난 22일(현지시간) 타이난시에서 개최된 '사이버데이 2024 정보보안산업의 날(CYBERDAY 2024 資安產業日)' 행사에서 "대만은 현재 초당 1만5000건의 사이버 공격을 받고 있다"며 "이는 다른 국가 평균보다 4배 높은 수치"라고 밝혔다. 황 장관은 "대만은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해외 사이버 공격의 1급 전쟁터가 됐다"며 "정보 보안은 가장 기본적인 사항이며, 이를 제대로 지키지 않으면 많은 산업이 성장할 수 없고 심지어 파괴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만 대상 사이버 공격의 주체는 지정학적 적대 세력 뿐 아니라 경제적 이익을 노리는 해커 집단까지 다양하다. 올해 초에는 친러시아 해킹 그룹 '노네임057(NoName057)'이 대만 정부, 금융 기관, 타이베이 쑹산 공항 등에 대한 디도스(DDoS) 공격을 진행한 바 있다. 대만 정부는 사이버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22년 디지털발전부를 신설했다. 디지털발
[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가 모바일 클라우드 게임 플랫폼을 북미에서 공식 출시했다. 삼성전자는 모바일 클라우드 플랫폼을 앞세워 북미 게임 시장에서 영역을 확대한다는 목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갤럭시 디바이스 전용 클라우드 게임 플랫폼의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해당 서비스는 갤럭시용 클라우드 게임 플랫폼 '삼성 게이밍 허브'를 통해 제공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게임 런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클라우드 게이밍 베타서비스를 개시, 1년여간 테스트를 진행했다. 갤럭시용 클라우드 게임 플랫폼은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기반으로 개발된 모바일 게임을 서비스한다. 정식 출시와 함께 출시된 게임은 '모노폴리 Go!', '캔디 크러쉬 사가', '홈스케이프', '아너 오브 킹스' 등 23개 게임이다. 클라우드 게이밍 서비스는 '게임 구동' 자체가 이용자의 장치가 아닌 클라우드에서 이뤄진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기존의 개인용 컴퓨터(PC) 이용자가 키보드나 마우스 등으로 '입력'을 하면 이를 PC 자체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처리'해서 '표시'를 해주는 방식으로 게임이 구동됐다면 클라우드 게이밍은 '입력'된 정보가 인터넷망을 통해
[더구루=홍성일 기자] 한국 모바일 게임 시장이 3분기에 반등에 성공하며 하락세를 벗어났다. 퍼즐, 전략 장르의 성장이 두드러졌으며, 신작 게임들이 시장 성장을 견인했다. 24일 글로벌 모바일 시장 조사기관 센서타워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한국 모바일 게임 다운로드 수는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1억3000만 건을 기록했다. 수익은 3% 증가한 12억4000만 달러(약 1조7360억원)이었다. 1분기부터 3분기까지 누적 다운로드 수는 3억5000만 건, 수익은 37억 달러(약 5조1800억원)이었다. 장르별로 살펴보면 다운로드 수가 가장 많았던 게임 장르는 '블록 블라스트'와 같은 퍼즐 게임이었다. 퍼즐 게임은 올 1월부터 10월까지 전년대비 7% 증가한 8800만 건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게임 다운로드의 23% 규모다. 퍼즐 게임 외에도 '운빨존많겜', '스쿼드 버스터즈' 등의 인기에 힘입어 전략 게임 다운로드도 2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익 측면에서는 역할수행게임(RPG) 장르가 여전히 강세를 보였다. 1월부터 10월까지 RPG 게임은 21억 달러(약 2조9400억원) 이상 수익을 올리며 전체 모바일 게임 수익의 52%를 차지했다. 전략
[더구루=홍성일 기자] 현대자동차가 필리핀 세부에 신규 딜러샵을 오픈했다. 현대차는 필리핀 내 판매 네트워크 확장을 이어가고 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필리핀판매법인(HMPH)는 지난 15일(현지시간) 필리핀 세부주 탈리사이 주에 35번째 딜러샵을 개소했다. 개소식에는 제럴드 앤서니 굴라스(Gerald Anthony Gullas) 탈리사이시 시장과 손지호 현대차 필리핀판매법인장을 비롯한 현대차 관계자, 아우토글로벌 경영진 등이 참석했다. 새로운 딜러샵은 현대차 필리핀법인과 현지 기업인 아우토글로벌(Auto Global Inc.)이 파트너십을 맺고 설립했다. 탈리사이는 세부를 중심으로 하는 메트로세부를 구성하는 도시 중 하나로 세부 남쪽에 위치한다. 신규 딜러샵가 위치한 곳은 탈리사이시 내 요충지로 해당 지역은 탈리사이 주거, 상업, 산업 개발의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는 곳이다. 탈리사이 딜러샵은 1695제곱미터(㎡) 규모로 최대 4대의 차량을 전시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 정비 서비스도 제공한다. 현대차는 이번 딜러샵 개소를 통해 탈리사이 지역에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판매를 확대하는 동시에 고객들에게 더욱 편리하고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TV 시장에서 '거거익선(가전제품은 크면 클수록 좋다)'이 트렌드가 되고 있다. 기술의 발전으로 대형TV의 가격이 저렴해지고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수요가 높아진 결과라는 분석이다. 24일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이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에서 스트리밍, 소셜 미디어, 화상 통화 등을 한 화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형 TV가 '엔터테인먼트 허브'로 자리잡고 있다. 미국 대형 TV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은 가격하락과 소비자들의 행동 변화가 시너지를 발휘했기 때문이다. 대형 TV는 과거 고소득층의 전유물로 여겨졌다. 실제로 삼성전자가 2019년 출시했던 98인치 TV의 판매가는 9만9000달러(약 1억3890만원)였지만 현재는 4000달러(약 560만원)부터 판매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서카나(Circana)에 따르면 2024년 기준 97인치 이상 대형 TV의 평균 가격은 3113달러(약 435만원)로 지난해 6662달러(약 932만원) 대비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상태다. 대형 TV 가격이 급격하게 떨어진 데에는 중국 업체들의 시장 진출이 있다. TCL, 하이센스 등 중국 업체들이 진출하면서 삼성전자, LG전자
◇아발론 랩스 카이아 재단(Kaia DLT Foundation, 이하 재단)은 글로벌 유동성 허브·디파이 렌딩 프로토콜 '아발론 랩스(Avalon Labs)'가 카이아 기반 신규 가상자산 담보 대출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이용자들은 웜홀(Wormhole) 브릿지를 통해 변환된 카이아 블록체인 상의 바이낸스 비트코인(BTCB), 유에스디티(USDT), 유에스디시(USDC), 이더리움(ETH)을 담보로 스테이블 코인 등의 대출을 받을 수 있다. 디파이 렌딩 프로토콜(DeFi Lending Protocol)은 비트코인과 같은 주요 가상자산을 담보로 설정 후 특정 타 디지털 자산이나 스테이블 코인 등을 대출 받을 수 있는 서비스다. 비트코인을 중심자산으로 탈중앙화(DeFi) 렌딩 프로토콜 플랫폼을 확장해 온 아발론 랩스는 최근 CeDeFi 요소를 도입해 FBTC1를 담보로 미국 테더社의 USDT를 대출하거나, 자체 개발한 USDa 스테이블 코인을 신규 발행하는 서비스들도 출시하고 있다. 이들 서비스의 활성화에 따라 최근 아발론 랩스의 총 락업 물량(TVL)은 15억 달러, USDa의 TVL은 약 5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아발론 랩스는 렌딩 프로토콜
[더구루=홍성일 기자] 소셜커머스 플랫폼 틱톡샵(TikTok Shop)이 미국 Z세대를 중심으로 빠르게 인기를 얻고 있다. 틱톡샵은 이커머스와 온라인 마케팅 양 측면에서 모두 성공적인 결과를 만들어내며 소셜미디어 활용 방식을 한 단계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이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에서 Z세대를 중심으로 소셜커머스(소셜미디어를 통한 쇼핑)가 급부상하고 있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이마케터(eMarketer)에 따르면 2023년 소셜커머스 시장은 670억 달러(약 87조1000억원) 규모였으며, 2027년까지 1445억 달러(약 187조5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소셜커머스 시장에서 최근 떠오르고 있는 플랫폼이 틱톡샵이다. 틱톡샵은 숏폼(짧은 영상)과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Z세대의 눈길을 사로잡고있다. 틱톡샵의 성공 요인으로는 △숏폼, 라이브 스트리밍에 익숙한 Z세대에 최적화 △상품 정보 획득과 판매자 소통이 동시에 가능한 실시간 상호작용 △상품 탐색부터 구매까지 원스톱으로 가능한 간편 구매 △크리에이터를 활용한 마케팅으로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어필리에이트 마케팅이 뽑히고 있다. 틱톡샵
◇넷마블 넷마블은 모바일 역할수행게임(RPG) '일곱 개의 대죄: GRAND CROSS(이하 일곱 개의 대죄: 그랜드 크로스)'의 출시 5.5주년을 기념한 '그랜드 페스티벌: 초신성제' 업데이트를 실시했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UR 등급 '영웅의 혈통 소년 기사 랜슬롯'이 추가됐다. 일곱 개의 대죄 후속작 '묵시록의 4기사' 중 한명인 랜슬롯은 신규 전투 시스템 '어빌리티'를 보유한 첫 영웅으로 '어빌리티'를 통해 스킬 카드 선택 전 적군의 스킬 카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내달 26일까지 앙케이트 소환도 함께 진행된다. 이용자 투표로 라인업이 구성됐으며 신규 영웅 랜슬롯을 포함해 태생 UR 등급 영웅 총 4종이 포함됐다. 이용자들은 900 마일리지 달성 시 태생 UR 등급 4종 중 1종을 선택할 수 있다. 넷마블은 5.5주년 기념 업데이트와 함께 다양한 이벤트를 실시한다. 먼저 총 220회 무료 소환 기회를 제공하는 '5.5주년 감사 스페셜 소환'을 진행 중이다. 이용자들은 게임 출석 및 플레이만 해도 LR 등급 진화 영웅 '대지의 파도 여왕 다이앤'을 비롯한 다양한 영웅들을 UR 90 레벨의 성장된 상태로 획득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게임 플레이를
◇KT KT가 21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플레이스터럴스 홀(Plaisterers' Hall)에서 열린 '글로벌 텔레콤 어워즈'의 '미션 크리티컬 엑설런스(Mission Critical Excellence)' 부문 최우수 기업으로 선정됐다. 글로벌 텔레콤 어워즈는 ICT 분야 리서치 기관 '인포마(INFORMA)'가 전 세계의 우수 통신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시상식이다. 이 시상식은 네트워크 기술과 브랜드, 마케팅 등 24개 부문에서 뛰어난 성과와 혁신을 이뤄낸 기업을 선정한다. KT가 수상한 미션 크리티컬 엑설런스 부문은 통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디지털사회의 재난과 같은 상황에서 혁신적인 기술 솔루션으로 통신의 안정성을 입증한 기업을 선정하는 부문이다. KT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유선 인프라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빅데이터를 활용, 도로 굴착 공사 등으로 인한 단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지능형 통신 케이블 보호시스템의 기술력을 높게 평가받았다. KT 네트워크기술본부장 구재형 상무는 "KT가 글로벌 텔레콤 어워즈에서 3년 연속 수상한 것은 꾸준한 네트워크 기술 혁신의 노력을 인정받은 결과"라며 "고객품질을 최우선으로, 네트워크 혁신 기술 개발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최대 전자기기 제조업체 폭스콘(Hon Hai Technology Group)이 엔비디아 시스템이 장착된 슈퍼컴퓨터를 활용, 의료 분야 인공지능(AI) 연구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업계에 따르면 폭스콘은 타이중 재향 군인 종합병원, 카디널 티엔 병원 등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축해 대만 경제부 주도 'BIG A+ 프로그램' 에 참가했다. 폭스콘 컨소시엄은 프로그램 대상 기업으로 선정돼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AI 연구에 나설 수 있게 됐다. 폭스콘 컨소시엄이 활용한 슈퍼컴퓨터는 타이페이-1(Taipei-1)이다. 타이페이-1은 전세계에서 38번째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AI 슈퍼컴퓨터다. 타이페이-1은 엔비디아 DGX H100 네크워크에 연결된 64대의 엔비디아 퀀텀-2 인피니밴드와 OVX 시스템, 256개의 엔비디아 IA L40 그래픽처리장치(GPU)가 장착됐다. 폭스콘은 타이페이-1을 활용해 헬스케어 로봇 시뮬레이션, 디지털 트윈 의료 보조 진단 분석을 위한 딥러닝 모델 훈련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코닥터 AI 생태계, AI 진단 지원 시스템, 비임상 업무 자동화 간호 로봇 개발에도 나설 예정이다. 폭스콘 관계자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플랫폼 기업 바이트댄스(ByteDance)가 글로벌 숏폼 플랫폼 틱톡(TikTok)과 소셜네트워크 플랫폼 레몬8(Lemon8)의 통합 기능을 출시했다. 미국 생활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1위를 기록하기도 했던 레몬8이 틱톡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업계에 따르면 바이트댄스는 틱톡 계정으로 레몬8에 접속할 수 있는 '통합 이용자 로그인' 기능을 선보였다. 이번 업데이트에 따라 틱톡과 레몬8 이용자들은 하나의 계정으로 두 플랫폼 모두를 이용할 수 있게 됐으며, 애플리케이션 간 사진을 교차 공유할 수도 있게 됐다. 레몬8은 2020년 일본에서 출시된 이후 미국과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는 이미지·영상 기반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다. 이용자는 슬라이드쇼, 사진 컬렉션을 공유하고 '팔로잉' 및 '추천' 피드를 통해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다. 업계에서는 레몬8이 인스타그램과 핀터레스트를 혼합한 형태라고 평가한다. 바이트댄스는 통합 로그인 기능 출시로 양 플랫폼의 사진 공유 기능을 강화하고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목표다. 이번 통합 로그인 기능 출시는 틱톡의 미국 서비스 중단 위기 속에 등장해 관심을 받
[더구루=홍성일 기자] 핀란드 연구진이 양자컴퓨터의 핵심인 큐비트(qubit)를 안정적으로 더 오래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향후 수백, 수천개 큐비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다가선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핀란드 알토대학교 연구팀은 트랜스몬(transmon) 큐비트의 결맞음 시간(coherence time) 1.02밀리초(ms)를 기록했다. 알토대 연구팀의 기록은 기존 최고 기록(0.6ms)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결과다. 트랜스몬 큐비트는 기존 반도체 제조 기술을 활용해 만든 초전도 회로를 말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7월호에 게재됐다. 알토대 연구팀은 그동안 큐비트의 결맞은 시간을 더욱 장시간 유지하는데 집중해왔다. 결맞음 시간은 양자컴퓨터의 연산 단위인 큐비트가 양자 상태를 유지하며 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으로, 결맞음 시간이 길수록 양자 연산 오류 발생 가능성이 줄어들 뿐 아니라 더 많은 큐비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연구팀은 큐비트의 양자중첩 상태가 붕괴되는 '결어긋남(decoherence)'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통제된 클린룸에서 큐비트를 구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가 현지 소형 원전 스타트업인 라스트에너지(Last Energy)와 합의 절차에 돌입했다. 소형모듈원자로(SMR) 인허가 권한 일부를 주정부에 이관하고 관련 절차를 간소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NRC의 규제 권한이 약화될 경우, 차세대 원전인 SMR 시장에 상당한 파장이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E&E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전 NRC 고위 관계자는 "NRC와 라스트에너지가 주정부에 SMR 사업에 대한 허가 권한을 일부 넘기는 방식으로 합의할 수 있다"고 전했다. 양측은 미국 텍사스동부지방법원에서 SMR 규제 문제를 다퉈왔다. 원고인 라스트에너지, 미 유타·텍사스 주정부는 1956년에 제정된 'AEC(NRC의 전신) 규정'을 문제 삼았다. 해당 규정은 모든 민간 상업용 원전이 규모와 상관없이 무조건 인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원고 측은 NRC의 규정이 자국 원자력법의 취지를 무시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원자력법에 따라 △국가 안보에 중대한 위협을 미칠 정도록 많은 핵물질을 사용하거나 △공공의 건강과 안전에 영향을 주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상업용 원전만 NRC의 인허가 대상이라는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