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경제전쟁이 확전되면 르노삼성자동차에서 위탁 생산되고 있는 닛산 ‘로그’의 국내 생산이 조기 중단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일본이 신뢰할 수 있는 수출국으로 지정하는 ‘화이트 국가’에서 한국을 제외할 경우 로그의 국내생산은 어려울수있다고 일본 언론은 보도했다. 로그의 국내 위탁…
신한은행이 일본 키라보시은행과 손잡고 아시아 지역에 진출한 양국의 중소기업을 지원한다. 일본 정부의 경제 보복 조치에 따른 한국과 일본이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는 시점에서 현지 은행과 협력 관계를 구축, 안전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신한은행의 일본법인 SBJ은행은 최근…
한일 무역 분쟁이 메모리 반도체를 비롯해 핵심 부품 생산 공급망에 타격을 입히며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질 거란 분석이 나왔다. 양국 정부가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중재 역할을 할 미국이 침묵으로 일관하며 갈등이 장기화될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기업들이 일…
유니클로가 전범기를 넣은 광고를 선보여 '욱일 기업' 논란이 불거졌음에도 유능한 직원 발굴을 위해 고액 연봉 및 관리직을 제안해 눈길을 끈다. 인사 혁신을 통해 인재 발굴에 적극 나서겠다는 취지인데 일각에서는 욱일기업 이미지는 덮고 인재 양성에만 급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제국주의 일본군이 사용…
애플이 중국 BOE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공급을 위해 협력을 확대할 전망이다. 일본의 수출 규제로 삼성과 LG의 생산 차질이 우려돼서다. 애플이 BOE로 눈을 돌리며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국내 업계의 입지가좁아질것이란 분석이 제기된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애플이 차기 아이폰…
일본 의류 브랜드 유니클로가 오랜공급처인 세아상역과 거래 단절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유니클로불매운동 등 파장이 일고 있다. 유니클로가 제품 하자로 인해 클레임을 제기한 것인데 일본의 경제보복으로 세아상역과거래를 끊은 것처럼 소문이 나면서 반감이 커지고 있다. 논란이 계속되자 유니클로…
일본 정부가 반도체 핵심 소재 수출을 규제하는 등 한국을 상대로 경제 보복에 나서자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 운동이 커지고 있다. 급기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일본 제품 불매 목록'까지 올라왔다. ◇'일본 안가고, 안쓴다' 반일 여론 고조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는 5일 오전 11시 일본대사관…
일본 정부가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우리 정부와 업계가 총력 대응하기로 했다.일본 소재가 세계 시장의 70~90%의 점유율을 차지해 국내 업계가 생산에 타격을 입을 것으로 우려되는 만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정부는 일본을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하는 초…
[더구루=홍성일 기자] PCI 익스프레스(PCIe) 기능이 없는 USB3 표준으로 AMD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작동할 수 있는 기술이 공개됐다. 새로운 GPU 연결 기술은 윈도우와 리눅스 뿐 아니라 애플 실리콘 컴퓨터에서도 사용이 가능해, AMD GPU의 활용성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AMD 그래픽처리장치(GPU) 소프트웨어 개발기업 타이니 코프(Tiny Corp)는 USB3 표준으로 AMD 외장 GPU를 작동시키는데 성공했다. 타이니 코프는 17세에 아이폰을 해킹한 천재 해커 조지 호츠(George Hotz)가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조지 호츠는 AMD가 좋은 칩을 생산하고 있지만 소프트웨어 지원이 부실해 시장의 선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타이니 코프를 설립했다. 타이니 호프는 현재 AMD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타이니 코프가 USB3 표준을 기반으로 한 GPU 연결 기술을 개발한 이유는 애플 실리콘 기반 맥(Mac) PC에 AMD GPU를 연결시키기 위해서다. 기본적으로 외장 GPU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PCle 슬롯이나 PCle 터널링을 지원하는 썬더볼트/USB4 인터페이스를 이용
[더구루=홍성일 기자] 말레이시아의 월간 그래픽처리장치(GPU) 수입 규모가 역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국 정부가 대중국 반도체 제재를 강화한 가운데 말레이시아가 'GPU 밀수 우회로'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말레이시아 정부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4월 말레이시아 GPU 수입규모가 27억4000만 달러(약 3조8680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급 기록을 세운 3월(19억6000만 달러, 약 2조7650억원) 결과를 뛰어넘은 것이다. 말레이시아의 GPU 수입 규모는 올해 들어 급증하기 시작했다. 1월 11억2000만 달러(약 1조5825억원)를 수입하며 전년동기 대비 700% 가량 증가한 것. 올해 수입량이 급증하면서 연간 누적 수입 규모도 단 4개월만에 지난해 수치를 뛰어넘었다. 말레이시아의 지난해 GPU 수입액은 48억7700만 달러(약 6조8940억원)이었으며,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누적 수입액은 64억5000만 달러(약 9조1164억원)를 기록했다. 기업별로는 엔비디아 GPU가 가장 많이 수입됐다. 말레이시아는 올해 2월부터 4월까지 엔비디아 GPU를 53억3000만 달러(약 7조5371억원)어치 수입했다. 이 기간 엔비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