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의 스타일러스펜인 '애플펜슬'의 새로운 특허가 공개됐다. 9일(현지시간) 미국 특허청(USPTO)는 애플이 지난 2018년 7월 6일 출원한 '터치 입력 방식의 스타일러스' 특허를 공개했다. 애플은 2세대 애플펜스에 '더블탭' 기능을 넣어 제스쳐로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다. 이번에 공개된 특…
LG전자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스마트폰 케이스 특허를 취득했다. 단순한 스마트폰 보호 기능을 넘어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열고 게임을 하며 하나의 태블릿PC처럼 작동하는 진화된 케이스를 개발한다. 31일 네덜란드 IT전문 매체 렛츠고디지털 등 외신에 따르면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삼성전자가 세로로 확장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개발한다. 대형 화면 수요가 증가하면서 디스플레이 크기를 키운 제품 출시를 넘어 이어 이제는 크기를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는 스마트폰 개발에 나선 것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특허청으로부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관…
애플의 온디스플레이 지문인식 특허가 공개되며 아이폰 12 적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17일(현지시간) 미국특허청(USPTO)은 애플이 지난 2017년 9월 출원한 '온디스플레이 지문인식'에 대한 특허를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특허는 퀄컴 등에서 제작하고 있는 초음파 지문인식…
사진 소스 : https://nl.letsgodigital.org/smartphones/samsung-galaxy-one-telefoon/ 삼성디스플레이의 3D 워터폴 디스플레이 기술을 담은 특허가 공개됐다.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특허청(USPTO)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출원한 좌우는 물론 상단, 하단에도 엣…
사진소스 : https://nl.letsgodigital.org/wearables-smartwatches/lg-dames-smartwatch-camera-halsketting/ LG전자가 여성용 액세서리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 출시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14일(현지시간) 네덜란드의 IT전문매체 '렛츠고디지털…
삼성디스플레이가 12년만에 'SAMOLED' 상표를 출원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 6일 특허청에 'SAMOLED'라는 상표를 출원했다. 단순 상표등록이기 때문에 정확한 내용이 알려진 바 없어 업계에서는 다양한 추측들을 내놓고 있다. 특히 외신의 경우그동안 삼성이단순한 OLED가 아니라는 것을 강조…
삼성전자가 차기 폴더블폰에 채택할 울트라신글라스(UTG)를 국내 부품업체 도우인시스로부터 공급받는다. 유리 보호막으로 내구성을 높이고 일본의 수출 규제에 따른 공급차질 우려를 해소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도우인시스와 UTG 독점 공급 계약을 맺었다. 2010년 설립된 도우인시스는…
LG전자가 출원한 후면 '펜타(5개) 카메라' 스마트폰 디자인 특허가 공개됐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는 지난 5월 LG전자가 출원한 후면 펜타 카메라 스마트폰의 디자인 특허를 공개한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의 특허는 지난 2018년 3월에 출원된 것이다. 이번 특허는 최…
삼성전자가 새로운 스마트폰 카메라 관련 상표를 등록하며 갤럭시 S11에 카메라 기능에 대해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6일(현지시간) 유럽특허청(EUIPO)에 '스페이스 줌'이라는 상표를 출원했다. 해당 상표의 클래스는 9,42로 스마트폰과 관련된 특허임을 확인할…
사진 소스링크 :https://nl.letsgodigital.org/televisies-tvs/lg-opvouwbare-tv-met-soundbar/ LG전자의 폴더블 TV도 디자인 특허가 공개돼 눈길을 끌고 있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은 최근 헤이그 시스템에 의해 국제디자인 출원된 L…
삼성전자가 갤럭시 폴드에 이은 새로운 폴더블 스마트폰의 콘셉트가 화재가 되고 있다. 29일(현지시간) 삼성전자는 미국 캘리포니아 새너제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19(SDC 2019)'에서 '가로로 접는' 차세대 폴더블 스마트폰의 콘셉트를 공개했다. 해당 폼팩터는 마치 조개 껍질을…
[더구루=김은비 기자] 자동차 가격 급등으로 인해 ‘초장기 대출’이 자동차 금융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차량 평균 가격이 5만 달러에 육박하면서, 소비자들이 월 납입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장기 대출을 택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미국 신규 자동차 대출 가운데 21.6%가 84개월로 집계됐다. 이는 60개월 대출(36.1%)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이다. 일부 금융사에서는 8년(96개월)짜리 초장기 상품까지 부활시키기도 했다. 이처럼 장기 대출이 등장한 이유는 고가의 자동차 가격 때문이다. 콕스 오토모티브(Cox Automotive)에 따르면 미국 내 자동차 평균 거래가격은 5년 전과 비교해 급등했다. 지난 6월 기준 신차는 5만 달러, 전기차는 5만6910달러까지 치솟았다. 높아진 자동차 가격에 장기 대출일 수록 이자와 상환액은 더 늘어나지만 소비자들은 월 납입금 인하에 더 높은 가치를 두고 있는 모습이다. 이처럼 가격이 높아진 데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글로벌 상호 관세가 자리잡았다. 미국은 지난 4월 수입 자동차·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했으며 한국과는 최근 미국산 에너지 구매 등을 조건으로
[더구루=진유진 기자] 중국이 니코틴 파우치 제품의 자국 내 출시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국내 기업들이 관심을 보여온 차세대 담배 시장이 국가 주도로 열리는 셈으로, 중국 내 새로운 성장 기회를 노린 전략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담배독점관리국(STMA)이 관련 기관에 니코틴 파우치 제품 개발과 국내 시장 출시 준비를 지시했다. 니코틴 파우치는 가열식 담배보다 기술적·지적 재산권 위험이 낮아 승인 과정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내부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제품 출시 시점도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중국 국영 기업들은 이미 해외 시장에서 가열식 담배를 판매하고 있으나, 주요 특허가 국제 담배 기업에 집중돼 있어 국내 판매 승인은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니코틴 파우치는 국가 체계 내에서 공식 개발되는 첫 차세대 담배 제품이 될 전망이다. STMA 산하 일부 계열사는 니코틴 파우치에 대한 소비자 관심과 유통 준비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담배 소매업체를 대상으로 시장 조사에 착수했다. 이 데이터는 향후 출시 전략과 가격 정책 등 세부 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