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진유진 기자] 펫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페스룸(PETHROOM)'이 일본 반려동물 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다. 유통 확대뿐 아니라 브랜드 철학을 현지에 전파할 공식 앰배서더 모집에 나서며, 커뮤니티 기반 마케팅을 강화할 계획이다. 3일 비엠스마일 재팬에 따르면 페스룸은 일본 내 브랜드 활동을 본격화하며 '페스룸 일본 공식 앰배서더' 프로그램을 함께 진행한다. 앰배서더는 제품 리뷰와 콘텐츠 제작, 보호 동물 후원 활동, 신제품 아이디어 제안, 협업 기획 등 브랜드 가치 형성 과정에 직접 참여하며, 현지 반려동물 보호자와 지속적 관계를 통해 브랜드 경험을 확장하는 역할을 맡는다. 모집과 관련 프로그램은 페스룸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과 일본 공식 온라인 스토어를 통해 순차적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페스룸은 이미 일본, 중국 등 주요 반려동물 전시회에서 관람객 유입과 매출 1위를 기록하며 체험형 프리미엄 펫케어 브랜드로 주목받았다. 미국 아마존 반려동물 브러시·칫솔 카테고리에서도 1위를 달성해 글로벌 품질 경쟁력을 입증했다. 사람이 사용해도 안전한 원료 기준과 위생 설계가 브랜드 성장 핵심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페스룸은 보호 동물 후원·기부 캠페인을 꾸준히 이어
[더구루=진유진 기자] SPC그룹 파리바게뜨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벅스 카운티에 첫 매장을 열며 동부 시장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신선하고 다양한 베이커리 메뉴와 커피를 앞세워, 기존 현지 브랜드와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3일 현지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는 벅스 카운티 로어 메이크필드 타운십 프릭킷 프레저브 내 체이스 은행 옆에 신규 매장을 개점했다. 벅스 카운티는 필라델피아 인근 고소득 주거지역이 밀집한 만큼, 고품질 베이커리와 커피 수요가 꾸준히 존재한다는 점에서 전략적 입지로 꼽힌다. 이번 진출은 단순 매장 확장이 아니라, 미국 내 파리바게뜨 브랜드 인지도 확대와 동부 프리미엄 소비층 공략 전략 일환으로 평가된다. 향후 전망도 밝다. 파리바게뜨가 미국 내 매장 경험을 바탕으로 추가 확장을 추진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동부 주요 도시권과 쇼핑몰 입점 전략을 강화하면 브랜드 파워를 단기간에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파리바게뜨는 북미 시장에서 오는 2030년까지 1000개 매장을 열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꾸준히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왔다. 올해 약 200개 가맹점을 확보했으며, 현재 450개 신규 매장 출점을 추
[더구루=정등용 기자] DL이앤씨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차 한국을 방문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과 회동했다. 이 자리에서 양측은 필리핀 에너지 사업 협력 가능성을 모색했다. 3일 필리핀 대통령 공보실(PCO)에 따르면, DL이앤씨 경영진은 지난 1일 부산에서 마르코스 대통령을 만나 필리핀 내 에너지 사업 전망과 사업 진출 가능성을 논의했다. DL이앤씨의 이번 행보는 현재 필리핀에서 추진 중인 SMR(소형모듈원자로) 사업과 관련이 있다. 앞서 DL이앤씨는 지난 8월 필리핀 최대 전력기업 메랄코(Meralco)와 필리핀 내 SMR 도입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에 따라 두 회사는 SMR 건설과 관련한 타당성 조사와 부지 평가, 장기 전략 계획 수립을 함께 하기로 했다.<본보 2025년 8월 20일 참고 [단독] DL이앤씨, 필리핀 최대 전력기업과 SMR 개발계약 체결…삼성물산·LG엔솔 협력 유지> 이 밖에 DL이앤씨는 지난 2017년 필리핀에서 파그빌라오(Pagbilao) 석탄화력발전소를 420메가와트 규모로 증설하는 프로젝트를 완수한 바 있다. 지난 2019년에는 500메가와트 규모의 신규 석탄
[더구루=이꽃들 기자] 대웅제약의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미국명 주보, Jeuveau)가 미국 내 매출 성장세가 꺾였다. 나보타 성장 둔화에 미국 파트너사인 에볼루스(Evolus)에 실적 전망에도 먹구름이 잔득 낀 상황이다. 미국 증권가에선 투자의견을 잇따라 하향 조정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루이지애나주 주정부가 현대제철의 전기로 제철소 건설 프로젝트를 위해 트럼프 행정부에 관세 면제와 세금 혜택을 적극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미 관세 협상 타결과 주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현대제철은 설비 업체 선정과 인허가 절차를 신속히 진행, 투자 속도와 안정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3일 미국 온라인 매체 '더 센터 스퀘어(The Center Square)'에 따르면 루이지애나 경제개발청과 주정부 관계자들은 현대제철 프로젝트와 함께 진행 중인 화학·제조 산업 투자를 보호하기 위해 트럼프 행정부에 관세 면제 및 완화를 공식 요청했다. 주정부는 프로젝트 지연이나 취소를 막기 위해 직접 협상에 나선 것으로 전해진다. 의회 인사인 마이크 존슨(Mike Johnson) 하원의장과 스티브 스칼리세(Steve Scalise) 다수당 원내대표에게도 직접 협조를 요청했다. 두 의원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측근으로 꼽히힌다. 루이지애나 경제개발청은 이들의 지원을 기반으로 프로젝트 추진 안정성과 관세 완화 협상을 동시에 확보하려 했다. 현대제철의 투자 계획은 지역사회에서도 강력히 지지받고 있다. 후아니타 펄리 도널드슨빌 지역 상공회의소 전
[더구루=김예지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10월 한 달간 미국에서 총 14만6137대를 판매, 선전했다. 현대차는 전년 동기 대비 2% 감소했으며, 기아는 0.1% 증가하면서 관세 충격 상황에서 강력한 판매 모멘텀을 유지했다. 올해 사상 최대 실적 달성이 유력하다. 현대차 북미법인(HMA)은 지난달 한 달간 총 7만118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기(7만1802대) 대비 2% 감소했다고 1일(현지시간) 밝혔다. 제네시스는 지난달 7017대 판매됐다. 이는 전년 대비 1.7% 증가한 수치다.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모델 판매는 각각 41%와 8% 증가했다. 모델별 판매는 △투싼 2만3036대(+16%) △싼타페 1만1800대(+22%) △팰리세이드 9549대(+6%) △베뉴 2156대(+49%)로 집계됐다. 반면 아이오닉 5 1642대(-63%)와 아이오닉 6 398대(-52%)는 세제 혜택 종료 영향으로 감소했다. 현대차 10월 말 누적 판매는 74만8467대로 전년 동기(68만2296대) 대비 10% 증가했다. 랜디 파커 HMA 대표는 “하이브리드 모델이 41% 증가하는 등 전체 성장세를 이끌었다”면서 “다만 연방 세제 혜택 종료를 앞둔 전기차 수요가 조정 국면을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판 테슬라'로 불리는 전기차 제조업체 패러데이퓨처(Faraday Future)가 중동에서 200대 이상의 AI 구현형(EAI) 다목적 차량(MPV) 선주문을 확보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프랑스 르노그룹이 차세대 전기차에 적용할 코발트 무함유 첨단 양극활물질(cathode active material, CAM)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환경 영향과 공급망 복잡성을 줄이면서도 성능 향상된 배터리 솔루션을 도입함으로써 전기차(EV) 기술 분야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한다.
[더구루=김나윤 기자] KB국민은행의 인도네시아 법인인 KB뱅크가, 지난해 3분기 큰 폭의 적자에서 올해 3분기에는 흑자로 전환했다. 지난 2일(현지시간) 현지 경제 매체 자가트비즈니스닷컴에 따르면 KB뱅크 3분기 순이익은 2700억 루피아(약 23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 2조7300억 루피아(약 2400억원) 적자에서 반전했다. 3분기 말 총 대출액은 44조3200억 루피아(약 3조8200억원)로 전년 동기 39조9900억 루피아(약 3조4500억원) 대비 10.83% 증가했다. 세부적으로는 개인소매 대출이 17.32% 성장해 15조3200억 루피아(약 1조3200억원)를 기록했고 기업대출도 9.92% 증가해 22조3200억 루피아(약 1조9200억원)에 달했다. 중소기업 대출은 0.82% 증가한 6조6800억 루피아(약 5800억원)다. 자금조달 측면에서도 긍정적 변화가 감지됐다. 저비용펀드(CASA)가 전년 동기 대비 14.48% 증가했다. 순자금조달비용이 낮아지고 순이자마진 안정성 강화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자가트비즈니스닷컴은 “KB뱅크는 회사의 핵심 전략인 건전성 원칙에 따라 중소기업 부문에서 선택적이고 신중한 운영 전략을 시행하며 자산 품질을
[더구루=이꽃들 기자] 차바이오텍 미국 자회사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가 미국 칼리디 바이오테라퓨틱스와 항암바이러스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낸다. 항암바이러스 수요 확대 속에서 글로벌 파트너 포트폴리오를 강화하며 CGT(세포·유전자치료제) 기반 바이럴 벡터 제조 역량을 확인했다는 평가다. 3일 차바이오텍에 따르면 마티카바이오가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사 칼리디 바이오테라퓨틱스와 항암바이러스 치료제 후보물질 'CLD-401' 관련 CDMO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에 따라 분석개발(AD)·공정개발(PD)·생산을 수행하고, FDA(미국 식품의약국) 임상시험계획(IND) 제출을 지원한다. 계약금과 상세 조건은 비공개다. 칼리디는 차세대 표적 항암바이러스 치료법을 개발하고 있는 바이오 기업이다. 동종 줄기세포를 기반으로 항암바이러스의 항암 효과를 극대화하는 독점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CLD-401은 벡시니아 바이러스를 활용한 표적 항암바이러스로, 정맥투여로 몸 전체를 순환하면서 암 전이 부위에 작용하도록 설계됐다. 암세포를 직접 파괴할 뿐 아니라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면역 프라이밍 효과로 T세포와 NK세포가 암을 공격하도록 돕는다. 폴 김 마티카 바이오 대표는 "항암
[더구루=진유진 기자] GC녹십자가 개발 중인 탄저백신 '배리트락스주' 임상 2상 시험 결과가 국제 학술지에 게재됐다. GC녹십자는 이번 결과를 통해 배리트락스주가 안전성과 면역원 측면에서 유망한 후보 백신임을 입증했다고 평가하며, 향후 글로벌 탄저 예방 시장 진출 가능성에도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하고 있다. 3일 GC녹십자에 따르면 배리트락스주 임상 2상 결과가 국제 백신 전문 학술지 '백신(Vaccine)'에 게재됐다. 배리트락스주는 GC녹십자와 질병관리청이 공동 개발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기반 탄저백신이다. 이번 임상은 서울대학교병원,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한림대학교성심병원 등 총 5개 기관에서 진행됐다. 건강한 성인 24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배정·이중눈가림·위약대조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백신의 안전성과 면역원성을 평가했다. 연구 결과, 접종군에서 탄저 독소를 중화하는 항체가 기준치 이상으로 형성돼 배리트락스주가 실제 탄저균 감염 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됐다. 안전성 측면에서도 주사 부위 통증, 근육통, 피로, 권태 등 경미하고 일시적인 반응이 대부분이었으며, 급성 이상
[더구루=이꽃들 기자] 일본 대표 의약품 유통 그룹 알프레사(Alfresa)가 한국에 줄기세포 사업 법인 '제네셀(JENECELL)'을 설립하고 재생의료 시장 공략에 나선다. 한국 바이오 기술력과 에스테틱 시장 경쟁력을 기반으로 아시아 거점 확보 및 글로벌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3일 알프레사 홀딩스의 핵심 계열사 알프레사 코퍼레이션에 따르면 한국 현지 법인 제네셀을 출범시키고 줄기세포 기술 기반의 신사업 모델을 추진한다. 알프레사는 전문의약품 유통을 비롯해 제조·조제약국 운영·재생의료 등 헬스케어 전반을 영위하는 일본 대표 그룹으로,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은 2조9610억엔(약 28조원)이다. 제네셀의 신임 대표에는 국내 상위 제약사인 대웅제약과 보툴리눔 톡신 분야 업계 선도기업 메디톡스에서 35년간 실무부터 경영총괄까지 다양한 경험을 쌓은 주희석 전 메디톡스 부사장이 선임됐다. 그는 허가, 약가, 홍보, 마케팅 등 의약품 산업 전반에 걸친 폭넓은 네트워크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시장 전략과 혁신을 주도해왔다. 주 대표는 영원한 젊음을 추구한다는 의미의 '포에버 영(Forever Young)'을 '제네셀'의 기업 슬로건으로 정하고 줄기세포와 관련된
[더구루=이꽃들 기자] 대웅제약의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미국명 주보, Jeuveau)가 미국 내 매출 성장세가 꺾였다. 나보타 성장 둔화에 미국 파트너사인 에볼루스(Evolus)에 실적 전망에도 먹구름이 잔득 낀 상황이다. 미국 증권가에선 투자의견을 잇따라 하향 조정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판 테슬라'로 불리는 전기차 제조업체 패러데이퓨처(Faraday Future)가 중동에서 200대 이상의 AI 구현형(EAI) 다목적 차량(MPV) 선주문을 확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