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명은 기자] CJ CGV의 자회사인 CJ포디플렉스(CJ 4DPLEX)가 필리핀 시장에 진출한다. 현지 최대 영화관 체인과 손잡고 파노라마 영상을 제공하는 스크린X(SCREENX) 상영관을 선보인다. 단순 기술 수출이 아니라 현지 시장에 직접 발을 들인 전략적 진출로, 시장 선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전망이다. CJ포디플렉스는 1일(현지시간) 필리핀 최대 영화관 체인인 SM시네마(SM Cinema)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필리핀 최초의 스크린X 상영관을 선보인다고 발표했다. 이번 파트너십 계약은 전 세계적으로 스크린X와 4DX의 인기가 급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번에 도입되는 스크린X는 기존 정면 스크린에 더해 양 옆 벽면까지 영상을 확장해 관객을 270도 파노라믹 화면으로 감싸는 혁신적인 상영 포맷이다. 필리핀 최초의 스크린X 상영관은 수도 마닐라 인근 파사이 시(Pasay City)에 위치한 SM 몰 오브 아시아(Mall of Asia)에 설치된다. 이곳은 필리핀 최대 쇼핑몰이자 동남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쇼핑몰로, 지역의 명소로 꼽힌다. 스크린X는 세계 최초의 다중 프로젝션 영화관 기술이다. 스크린을 좌우 벽까지 확장해 관객을 영
[더구루=김명은 기자] LG생활건강의 더페이스샵이 말레이시아 최대 온라인 쇼핑몰 라자다(Lazada)에 입점하며 동남아시아 시장 확대를 위한 글로벌 유통 전략을 본격화했다. 라자다는 동남아 전역을 커버하는 플랫폼으로, 기존 팬층 외에도 새로운 고객을 유입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1일 라자다에 따르면 더페이스샵 제품 판매가 최근 시작됐다. 라자다는 패션, 전자제품, 생활용품, 건강식품, 육아용품 등 거의 모든 카테고리를 다루고 있는 말레이시아 최대 규모의 온라인 쇼핑몰 중 하나다. 중국의 거대 기술 기업 알리바바 그룹이 운영하고 있다. LG생활건강이 가진 브랜드 파워와 라자다의 플랫폼 영향력이 결합되면 동남아 시장에서 상당한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을 전망이다. 라자다는 말레이시아뿐 아니라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 필리핀 등 동남아 6개국에 걸쳐 있는 대형 플랫폼이므로, 더페이스샵이 입점함으로써 현지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대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 동남아에서는 K-뷰티에 대한 관심이 높고, 특히 자연주의 브랜드에 대한 선호가 강하다. 더페이스샵은 자연 성분 기반의 제품을 강조하는 브랜드로, 현지 소비자의 요구와 잘 맞아떨어진다는
[더구루=김명은 기자] 종근당건강이 프리미엄 비타민 브랜드 '아임비타(I’m Vita)'를 내세워 일본 건강기능식품 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다. 일본에서는 건강기능식품과 뷰티의 결합이라는 새로운 카테고리를 제시하며, K-헬스 브랜드의 입지를 다져나간다는 계획이다. 1일 종근당건강 현지 파트너사 '티그리스재팬(Tigris Japan)'에 따르면 종근당건강의 '아임비타' 제품이 일본에서 공식 판매를 시작했다. 종근당건강은 이번 일본 론칭에 맞춰 현지 식품위생법과 소비자 취향을 반영해 제품 성분을 조정했다. 기존 제품에 히알루론산, 콜라겐, 엘라스틴 등 미용 성분을 추가해 '일본판 오리지널'로 새롭게 선보였다. 일본 현지에서는 돈키호테, 로프트(LOFT), 인터넷 쇼핑몰 등을 통해 판매되며, 제품은 7병입과 30병입 2종으로 구성된다. 일본은 K-팝, K-드라마 등 한류 콘텐츠에 대한 친화도가 높고, 특히 젊은 여성층 사이에서 한국 뷰티 제품의 인기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을 타고 '아임비타'는 '한국 여행 기념품'을 넘어 '일본 현지 소비재'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임비타는 한국에서 지난해 한국브랜드파워지수(K-BPI) 비타민 부문 1위를 기록했으며,
[더구루=이연춘 기자] 꼬북칩이 ‘미식의 나라’ 프랑스에 진출했다. 오리온 꼬북칩이 프랑스 까르푸 전 매장에 입점했다. 프랑스 전역 약 1200여 개 대형마트 점포망을 가진 까르푸에 동시 입점한 것은 K스낵 통틀어 첫 사례다. 작년 9월 영국, 스웨덴, 아이슬란드 등 유럽시장 공략에 나선 이후 약 1년여 만의 성과다. 꼬북칩의 까르푸 입점은 매우 이례적이다. 모든 유통처가 그렇듯 프랑스 까르푸도 여러 단계의 검증을 거쳐 제품 입점이 결정된다. 입점 매장 수도 판매추이를 보며 늘려간다. 하지만 꼬북칩은 이러한 검증 단계를 생략한 채 전 매장에 동시 입점한 것이다. 1일 오리온에 따르면 이번 파격적인 결정은 까르푸 내부 상품 품평회에서 이뤄졌다. 신규 브랜드 입점에 까다롭기로 유명한 까르푸 바이어들이 꼬북칩의 상품성을 높게 평가했기 때문이다. 케데헌 등 K컬쳐 확산 등도 프랑스에서의 성공 확신에 한 몫을 했다. 꼬북칩은 이미 세계 최대 요리 매거진인 ‘올레시피스(Allrecipes)’에서 집중 소개되며 전 세계가 주목하는 K스낵으로 자리매김했다. 올레시피스는 해외 유명 스낵 제품과 비교하며 부드러우면서도 바삭한, 기존에 경험해보지 못한 네 겹 식감을 극찬했다.
[더구루=진유진 기자] K뷰티가 북미를 넘어 유럽 시장까지 영향력을 확장하며 글로벌 뷰티 산업의 지형을 바꾸고 있다. 인디 브랜드들이 디지털 유통망과 SNS를 무기로 빠르게 해외 소비자에게 다가서며, 대기업 중심 K뷰티 구조를 흔들고 있다는 평가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조선미녀와 스킨1004, 이퀄베리 등 국내 인디 브랜드가 K뷰티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했다. 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주목받는 K뷰티 인디 브랜드 사례가 늘면서, 디지털 플랫폼과 글로벌 판매 채널을 통한 팬덤 확보 전략이 성과를 내고 있다. 구다이글로벌이 운영하는 조선미녀는 한국보다 미국·유럽에서 먼저 입소문이 난 뒤 역수출된 대표적 브랜드다. 대표 제품 '맑은쌀 선크림'은 유럽을 포함한 100여 개국에 월 200만개 이상 판매되며, 지난해 매출의 90%가 해외에서 발생했다. 크레이버코퍼레이션의 스킨1004는 유럽 전역에서 대표 뷰티 체인 '세포라'와 '디엠'을 비롯해 독일 '로스만', 스페인 '드루니' 등 주요 리테일·이커머스 채널을 통해 점유율을 넓히며, 올해 상반기 매출 절반을 서구권에서 거뒀다. 부스터스가 전개하는 이퀄베리 역시 글로벌 진출 1년 반 만에 북미·유럽·동남아 등
[더구루=김명은 기자] 주문 후 1시간 이내에 상품을 배송하는 '퀵커머스(Quick Commerce)'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비대면 소비가 일상화되면서 당일 배송에 대한 수요가 급증한 데다 주요 유통기업들이 도심형 물류센터(MFC)를 확대하며 배송 속도 개선에 나선 영향이 크다. 31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국내 퀵커머스 시장 규모는 올해 4조4000억원에서 오는 2030년에는 5조90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부터 2029년까지 연평균 7.49%의 꾸준한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1인 가구 증가, 수도권 인구 밀집도, 높은 스마트폰 보급률이 퀵커머스 수요를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배달의민족, 요기요, GS리테일, CJ올리브영 등 주요 유통기업들이 MFC를 늘리는 등 공급망 강화에 나선 것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퀵커머스란 거점 배송망을 통해 주문 후 30분~1시간 이내에 상품을 배송하는 상거래 서비스를 말한다. 식료품, 생필품, 간편식, 음료 등 즉시 소비되는 제품을 중심으로 배송의 신속성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기존 이커머스가 강조하는 가격 경쟁력과 상품
[더구루=김명은 기자] K-뷰티가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으면서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화장품 시장 진출도 활발해지고 있다. '화장품(Cosmetics)'과 '의약품(Pharmaceuticals)'을 합친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 트렌드가 대세로 떠오른 모습이다. 기능성과 안전성을 강조한 제품군을 앞세워 K-뷰티 열풍에 합류하는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앞으로 더 늘어날 전망이다. 31일 글로벌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비즈니스 리서치 인사이트에 따르면 글로벌 더마(피부 개선) 코스메틱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시장 규모가 2023년 321억 달러(약 46조5771억원)에서 오는 2032년에는 5500억 달러(약 798조500억원)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내놓는 일명 '약국 화장품', '의약 기반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데다 민감성 피부, 트러블 케어, 재생 크림 등 기능성 제품에 대한 소비자 반응도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피부에 대한 연구, 성분 안정성, 임상 데이터 등에서 강점을 갖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고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할 수 있다. 그 덕분에 제
[더구루=진유진 기자] K-푸드 인기에 힘입어 한국 아이스크림이 글로벌 시장에서 사상 최대 수출 실적을 눈앞에 두고 있다. 특히 세계 2위 규모로 성장한 중국 빙과 시장을 겨냥해 '건강·가성비·컬래버레이션' 전략이 업계 핵심 키워드로 부상했다. 단순한 수출 확대를 넘어 현지 맞춤형 제품과 마케팅으로 장기 점유율을 확보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31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아이스크림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3.1% 증가한 6550만 달러(약 908억원)를 기록했다. 반기 기준 6000만 달러 돌파는 이번이 처음이다. 주요 수출국은 미국(2490만 달러)이 38%로 가장 크고, 필리핀(560만 달러)과 중국(540만 달러)이 뒤를 이었다. 현 추세가 이어지면 올해 연간 수출액은 사상 처음으로 1억 달러를 넘어설 전망이다. 국내 빙과 업계 양대산맥인 빙그레와 롯데웰푸드도 수출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빙그레는 메로나·붕어싸만코 등을 앞세워 시장을 넓히는 한편, 유제품 성분을 뺀 식물성 메로나를 유럽·이슬람권에 수출하며 현지 식문화와 통관 규제에 대응했다. 롯데웰푸드는 티코와 돼지바 등을 중심으로 수출 채널 다변화에도 힘을 싣고 있다. 최근에는 인도 푸네에
[더구루=진유진 기자] 중국이 니코틴 파우치 제품의 자국 내 출시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국내 기업들이 관심을 보여온 차세대 담배 시장이 국가 주도로 열리는 셈으로, 중국 내 새로운 성장 기회를 노린 전략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담배독점관리국(STMA)이 관련 기관에 니코틴 파우치 제품 개발과 국내 시장 출시 준비를 지시했다. 니코틴 파우치는 가열식 담배보다 기술적·지적 재산권 위험이 낮아 승인 과정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내부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제품 출시 시점도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중국 국영 기업들은 이미 해외 시장에서 가열식 담배를 판매하고 있으나, 주요 특허가 국제 담배 기업에 집중돼 있어 국내 판매 승인은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니코틴 파우치는 국가 체계 내에서 공식 개발되는 첫 차세대 담배 제품이 될 전망이다. STMA 산하 일부 계열사는 니코틴 파우치에 대한 소비자 관심과 유통 준비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담배 소매업체를 대상으로 시장 조사에 착수했다. 이 데이터는 향후 출시 전략과 가격 정책 등 세부 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더구루=진유진 기자] 몽골이 K프랜차이즈의 새로운 격전지로 떠오르고 있다. 제도적 기반은 미비하지만, 현지 대기업과 손잡고 빠른 속도로 입지를 넓히며 시장을 주도하는 모양새다. 소비 성장세와 젊은 인구 구조를 바탕으로 커피·편의점·외식업 등 브랜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편의점 CU(407개)와 GS25(280개)는 지난 6월 기준 몽골 프랜차이즈 시장 내 점포 수 1·2위를 기록하며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이마트·뚜레주르·롯데리아·카페베네·탐앤탐스·BBQ 등도 일찍이 진출해 기반을 닦았다. 최근에는 메가커피·맘스터치·디저트39 등이 합류하며 카페·디저트 시장 경쟁이 한층 뜨거워졌다. 메가커피는 지난해 현지 대기업 아시아파마와 마스터 프랜차이즈(MF) 계약을 체결, 1년여 만에 5개 매장을 열며 속도를 내고 있다. 몽골 통계청 조사 결과 올해 전체 가구 소비에서 식료품 외 물품·서비스 지출 비중은 69%에 달한다. 외식·카페·뷰티·생활편의 서비스 등 프랜차이즈 핵심 업종이 포함된 항목으로, 산업 성장 여력을 가늠케 한다. 호텔·요식업 수익도 지난 2021년 5월 5565만 달러(약 777억원)에서 올해 5월 2억1794만 달러(약 3
[더구루=김명은 기자] 최근 캄보디아에서 '이너뷰티(Inner Beauty)'가 새로운 뷰티 루틴으로 주목받고 있다. 피부나 외모 관리에 국한됐던 전통적 미용 방식에서 벗어나 몸속 건강을 챙기며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문화가 확산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산 이너뷰티 제품이 K-콘텐츠의 영향으로 현지에서 프리미엄 이미지를 형성하며 중산층을 중심으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30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등에 따르면 최근 캄보디아에 K-팝과 K-드라마,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한국의 이너뷰티 문화가 소개되면서 현지 소비자들 사이에서 고품질 제품과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너뷰티는 건강기능식품이나 영양제를 통해 피부 탄력, 미백, 면역력 강화 등을 돕는 제품군을 말한다. 콜라겐, 비타민C, 프로바이오틱스, 히알루론산 등 기능성 성분이 주로 사용되며, 특히 콜라겐 제품은 피부 노화 방지와 탄력 개선 효과에 대한 기대감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캄보디아 소비자들은 한국산 제품을 안전하고 세련된 프리미엄 브랜드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강하며, 이는 수입 브랜드 중에서도 한국 제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는 배경이 되고 있다.
[더구루=김명은 기자] 유한킴벌리의 모회사 킴벌리클라크(Kimberly-Clark)가 영국 제조 공장의 탈탄소화를 위해 대규모 투자에 나섰다. 이는 탄소중립 시대에 지속가능한 성장과 에너지 자립을 동시에 실현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 전략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영국 소비재 업계에 따르면 킴벌리클라크는 제조 공정을 탈탄소화하기 위해 1억 2500만 파운드(약 2300억원) 규모의 그린 수소 인프라 구축에 착수했다. 영국 소비재 기업 최초로 그린 수소 장기 구매 계약을 체결하며 생산 공정의 탈탄소화를 본격화한 것이다. 이번 사업은 영국의 에너지 개발 전문기업 칼튼 파워(Carlton Power), 신재생에너지 개발업체 '리뉴어블 에너지 시스템즈(RES)'와 투자운용사 '옥토퍼스 에너지 제너레이션(Octopus Energy Generation)'의 합작법인 하이드로(HYRO)와의 협업으로 추진된다. 앞으로 영국 내 주요 생산 거점인 켄트(Northfleet)와 컴브리아(Barrow-in-Furness) 공장에서 천연가스 대신 재생에너지 기반의 그린 수소를 사용해 증기를 생성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일 계획이다. 두 생산시설은 연간 약 10
[더구루=오소영 기자] 폴란드가 고속철도 사업 입찰을 조만간 시작한다. 대규모 예산을 편성하고 '바르샤바-우쯔(Warsaw–Łódź)' 구간의 입찰 추진을 시사했다. 신공항과 주요 도시를 연결할 철도망 구축에 본격 돌입하면서 현대로템의 참여도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17일 폴란드 신공항사(Centralny Port Komunikacyjny, 이하 CPK)에 따르면 내년부터 3년 동안 약 100건의 입찰을 추진한다. 내년에만 400억 즈워티(약 15조4100억 원) 상당 입찰에 나선다. 입찰 규모는 1분기 약 70억 즈워티(약 2조6900억 원), 2분기 약 200억 즈워티(약 7조7000억 원), 3분기 약 30억 즈워티(약 1조1500억 원), 4분기 약 100억 즈워티(약 3조8500억 원)로 전망된다. 가장 이목을 끄는 입찰은 바르샤바-우쯔 고속철도 사업이다. 이 사업은 약 480㎞ 고속철도를 깔아 폴란드 신공항과 수도인 바르샤바, 우쯔, 포즈난을 잇는 Y자형 고속철도의 구간 중 하나다. CPK는 완공 후 바르샤바와 우쯔의 이동 시간이 약 70분에서 40분으로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바르샤바에서 신공항까지 이동 시간은 20분 이내로 단축된다. C
[더구루=오소영 기자] 싱가포르 인공지능(AI) 인프라 회사 'SUPX(Super X AI Technology Limited)'가 중국 항저우중헝전기(杭州中恒电气, 이하 중헝전기)와 초고압직류송전(HVDC) 합작사를 출범한다. 중국 주요 기업들을 고객사로 둔 중헝전기의 HVDC 기술을 활용해 세계 시장에 진출한다. AI 데이터센터로 확산되는 HVDC 수요를 공략한다는 계획이지만 주요국들의 '탈(脫)중국' 기조가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선전증권거래소에 따르면 SUPX의 자회사 '슈퍼엑스 AI 솔루션(Super X AI Solution Limited)'은 에너벨파워(Enervell Power)와 합작사 '슈퍼엑스 디지털 파워(SuperX Digital Power Pte. Ltd.)'를 설립한다. 신설 합작사는 싱가포르 상업지구인 메이플트리 비즈니스 시티에 위치한다. 총투자액은 200만 싱가포르 달러(약 20억 원)로, 글로벌 데이터센터 시장을 겨냥해 HVDC 사업을 전개하는 역할을 한다. 지분은 △슈퍼엑스 AI 솔루션 40% △에너벨파워 20% △중헝전기 특수관계인 20% △싱가포르 주주(ONG CAI PING와 JOVAIL)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