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한아름 기자] 농심 신라면이 유명 음식 블로거가 선정한 세계 7대 라면에서 1위에 이름을 올렸다. 라면 종주국이라 불리는 일본에서 한국 라면 맛과 제품력을 인정받았다는 분석이다. 삼양 짜장불닭볶음면은 7위를 차지했다. 27일 음식 전문 블로거 코디 미즈노(Cody Mizuno)는 일본 식당을 방문해 라면 500여개를 먹고 맛과 수프·면의 품질, 후레이크 등을 평가했다. 그 결과, 신라면과 삼양 짜장불닭볶음면이 가장 우수한 라면에 속했다. 국내 라면 시장 점유율 55.7%를 기록하고 있는 신라면은 세계라면 1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코디 미즈노는 신라면에 대해 "쫄깃쫄깃하고 탱탱한 면발과 얼큰한 국물이 감칠맛을 낸다"며 "수프엔 표고버섯과 당근, 파, 쇠고기의 깊은 맛이 국물 맛을 더해 1위에 올랐다"고 설명했다. 삼양식품의 짜장불닭볶음면은 7위를 기록했다. 짜장불닭볶음면은 삼양식품의 인기 상품 불닭볶음면 시리즈의 8번째 제품이다. 코디 미즈노는 "짜장과 불닭소스의 최적 배합비율을 찾아서 액상스프를 만들었고, 후레이크의 양도 기존 불닭볶음면보다 1.5배 늘렸다"며 "양파와 완두콩 등을 추가해 짜장소스의 풍미도 더했다"고 말했다. 한국 라면이 음식…
[더구루=최영희 기자] 의료기기 전문기업 딥큐어가 글로벌 의료용 VR(가상현실) 개발업체 Osso VR(오쏘 VR)과 임상의 교육용 VR 콘텐츠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양사는 딥큐어가 자체 개발한 ‘복강경 신장신경차단술(Renal Denervation, 이하 RDN)'에 대한 임상 교육용 VR 콘텐츠를 공동개발한다. Osso VR은 딥큐어와 공동개발한 임상의 맞춤형 VR 콘텐츠를 자체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할 예정이다. 앞으로 국내외 의료진들은 VR을 활용해 물리적 장소나 시간의 제약 없이 딥큐어의 복강경 RDN 수술법을 교육받고 실습할 수 있게 된다. 외과수술 시뮬레이션 개발기업 Osso VR은 VR 기술을 의료분야에 적용해 글로벌 외과수술 교육산업을 이끌고 있는 선도기업이다. 2016년 설립 이후 글로벌 투자기관들로부터 총 1억3600만 달러(약 1800억원)의 대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딥큐어 관계자는 “Osso VR은 기술혁신성을 인정받아 존슨앤드존슨, 스트라이커 등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들과도 맞춤형 VR 수술 훈련 기술, 전문의 교육용 VR 플랫폼을 개발하는 파트너십을 체결했다”며 “글로벌 선도기업인 Oss
[더구루=김형수 기자] SK매직이 말레이사아를 교두보로 삼아 동남아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현지에서 1000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에 나설 전망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SK매직은 지난 2018년 말레이시아 현지 법인을 설립하고 렌탈 사업을 개시한 이후 지금까지 만든 일자리는 1850개에 달한다. SK매직은 2018년 SK네트웍스의 해외 투자법인으로 말레이시아에서 정수기 및 공기청정기 렌탈 사업을 시작했다. 이듬해인 2019년 렌탈 사업 강화를 목적으로 SK매직이 대주주 자리에 올랐다. 지난해 렌탈 누적 계정 5만 계정을 달성하는 성과를 냈다. 또 SK매직은 말레이시아가 동남아시아 지역 SK매직의 허브로 자리매김해 앞으로 5년 동안 지역 전체에서 추가적인 성장을 촉진할 잠재력이 있다고 보고 있다. 다른 시장과 비교했을 때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말레이시아 사업이 보여준 성과를 감안하면 확장 및 개선의 여지가 있으며 배울 점이 있다는 분석이다. SK매직은 현지화된 제품과 접근법을 통해 한국 이외의 시장에서 존재감을 확대하고 보다 많은 국가로 사업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앤디 김(Andy Kim) SK매직 말레이시아 매니징 디렉터는 현지 언론
[더구루=김형수 기자] CJ제일제당이 인도네시아 현지 인력 확보에 또다시 드라이브를 걸었다. 지난달에 이어 두달 연속 현지화 전략을 추진하면서 사업 확대에 속도를 붙이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PT제일제당 인도네시아는 파수루안(Pasuruan) 공장에서 일할 직원을 뽑기 위한 공고를 냈다. PT제일제당 인도네시아가 이번에 채용에 나선 분야는 △비료 마케팅 △일반 회계 △데이터 분석 △유틸리티 직원 △프로세스 엔지니어 △안전요원 등이다. 이번에 PT제일제당 인도네시아가 실시하는 채용에는 최대 30세까지 지원할 수 있다. TOEFL 최소 45점·TOEIC 최소 600점 수준의 영어 시험점수가 필요하다. 지원 분야에 따른 관련분야 교육 이수 기준이 있다. 또 비료 마케팅 담당자에 지원하려면 최소 1년~3년의 농업 분야 경력이 있어야 한다. △데이터 분석 △일반 회계 분야에 지원하기 위해서도 최소 1년의 관련 분야 경험이 필요하다. △안전 △유틸리티 분야에 채용에 지원하기 위해서는 최소 3년 이상의 경력이 요구된다. 특히 안전요원 채용에 지원하려면 위험물질 취급 전문가 인증서를 제시해야 한다. CJ제일제당이 지난달 인도네시아에서 고등학교를 졸업
[더구루=이연춘 기자] 스타벅스 코리아의 계열사 SSG랜더스의 야구 마케팅이 성황리에 진행되며 눈길을 끌고 있다. 24일부터 26일까지 진행하는 SSG랜더스 '스타벅스 데이'에서 SSG랜더스가 24일과 25일 이틀 동안 2연승을 이어가고 있다. 스타벅스는 '스타벅스 데이' 첫 날인 24일에 고객 300명과, 25일에 스타벅스 파트너 300명을 초청해 다양한 볼거리와 이벤트를 통해 차별화된 스타벅스 경험을 제공했다. '스타벅스 데이' 기간 동안 야구장에서 사용되는 일회용컵 사용을 줄이기 위해 사전 초청된 고객, 스타벅스 파트너에게 크리에이티브 텀블러에 커피를 담아 전달됐다. 친횐경 다다익선 캠페인을 통해 이틀 동안 티켓과 개인 다회용 컵을 지참한 관람객 6000명에게 스타벅스 아이스커피 1잔을 무료로 제공했다. 아울러 '스타벅스 데이' 기간 동안 팬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하며 즐거운 추억을 선물했다. 또한 24일과 25일 이틀 간 19명의 관중에게 1년 무료 음료 쿠폰이 제공됐다. 특히 '스타벅스 데이'에 초청된 스타벅스 파트너들에게는 특별한 야구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경기 전 SSG랜더스 더그아웃 및 스카이박스 투어, 선수 팬 사인회 등을…
[더구루=김형수 기자] 글로벌 제약업체 화이자(Pfizer)가 지난해 글로벌 처방의약품 시장에서 선두를 달렸다.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판매고가 실적을 갈랐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런던과 뉴저지에 기반을 두고 있는 매체 파마슈티컬 이그제큐티브(Pharmaceutical Executive)가 발표한 '2022 파마슈티컬 이그제큐티브 TOP 50 회사'에서 화이자는 720억 달러(약 93조4920억원)에 달하는 처방의약품 매출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화이자가 지난해 올린 처방의약품 전체 매출의 51.39%에 해당하는 약 368억5300만 달러(47조8536억원)의 매출은 화이자가 독일 생명공학기업 바이오엔테크(BioNTech)가 공동으로 개발한 mRNA 코로나19 백신 코미나티(Comirnaty)에서 나왔다. 폐렴구균 백신 프리베나13(Prevenar13)이 55억8500만 달러(약 7조2532억원), 암 치료제 입렌스(Ibrance)가 54억7700만 달러(약 7조1119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그 뒤를 이었다. 올해 1분기 매출이 132억 달러(약 17조1402억원)를 기록한 것을 감안하면 코미나티는 이미 여러 블록버스터급 의약품의 누적 매출에 필적하
[더구루=김형수 기자] 오비맥주가 모기업 안호이저-부시 인베브(이하 AB인베브)의 올 배당금의 23.71%에 달한다. 지난 3년 동안 오비맥주가 1조원이 넘는 고배당을 지급한 상황에 또다시 국부 유출 지적하는 목소리가 적지않다. 다만 매출이 줄어드는 것에 대응해 배당금 지급액 규모를 축소시키며 수익성이 악화하는 것을 막았다. 26일 오비맥주가 공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오비맥주가 지난해 지급한 배당금은 3360억원으로 전년에 비해 16% 감소했다. 오비맥주는 지난 2020년에도 4000억원의 배당금을 지급하며 2019년에 비해 배당금 규모를 약 8.88% 축소했는데 작년에도 비슷한 수준으로 배당금 지급 규모를 줄인 것이다. 매출 규모가 하락세를 나타내자 배당금 지급 규모도 줄이며 배당금 지급으로 인해 사업 실적이 악화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올해 오비맥주의 AB인베브가 올해 지급할 배당금 규모가 11억 달러(약 1조4170억원)에 이르는 것을 감안하면 오비맥주가 AB인베브 내에서 적지않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난해 오비맥주가 지급한 배당금이 올해 AB인베브 예상 배당금 지급 총액의 23.71%에 달한다. 지난 2019년 코로나
[더구루=한아름 기자] 2026년까지 전 세계 처방의약품 매출 중 20%가 희귀의약품에서 나올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희귀의약품을 전문적으로 연구해온 제약사가 향후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선두를 달릴 것이란 분석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시장조사기관 이밸류에이트 파마(Evaluate Pharma)가 2022 희귀의약품 보고서(Orphan Drug Report 2022)를 통해 "2021년부터 2026년까지 희귀의약품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CAGR)은 12%로, 타 시장보다 2배 이상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희귀의약품은 의료 사각지대에 놓인 희귀병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쓰인다. 환자 수가 적어 기존에는 제약사가 생산하기엔 경제적으로 어렵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최근 만성 질환에 쓰이는 경우가 늘어남에 따라 업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등 각종 규제 당국에서 임상 시험 기간 세금 감면 혜택 등을 제공하면서 관련 치료제도 속속히 개발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희귀의약품 블록버스터 약물은 애브비와 존슨앤존슨이 개발한 만성 림프성 백혈병(CLL) 치료제 임브루비카다. 이 약물은 전 세계적으로 130억 달러 매출을 올려 202
[더구루=최영희 기자] 2020년 8월7일 예술의 전당에서 첫 데뷔 무대 ‘레미제라블에’서 ‘마리우스’역으로 열연을 펼치면서 관객들의 뜨거운 시선을 한 몸에 받았던 신인배우 박상준이 어느새 3년차 배우로 성장했다. 그는 코로나19와 함께 데뷔하는 불운을 겪었지만 탄탄한 기본기를 바탕으로 ‘레미제라블’ 이후 연극과 뮤지컬 무대를 넘나들며 맹활약하고 있다. 코믹극 ‘테너를 빌려줘(Lend me a Tenor)’에서는 주인공 ‘맥스’역으로 변화무쌍한 연기를 선보였고, 영국의 추리소설 작가인 아가사 크리스티 실종사건을 모티브로 한 뮤지컬 ‘아가사’에서는 실종사건을 수사하는 ‘헤리츠’ 경감 역으로 개성 넘치는 연기를 펼쳤다. 그가 이번에 도전하는 무대는 매 시즌 화제와 이슈의 중심이 되고 있는 뮤지컬 '베어 더 뮤지컬'이다. ‘베어 더 뮤지컬’은 가톨릭계 고등학교에서 벌어지는 학생들의 고민과 동성애 그리고 정체성 등 파격적인 소재를 다룬 작품으로 대담하면서도 시적인 가사와 다이내믹한 캐릭터의 감정을 담아낸 음악으로 뮤지컬 마니아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그가 배역을 맡은 ‘맷’은 주인공 ‘제이슨’과 라이벌이자 친구관계에 있는 인물이다. ‘맷’은 극중에서 제이슨,
[더구루=한아름 기자] 위드 코로나(일상적 단계 회복)에도 온라인 식료품 쇼핑 열기는 뜨겁다. 온라인 식료품 쇼핑이 편리함을 장점으로 소비자 일상에 깊숙이 침투하고 있는 모습이다. 코로나 상황이 길어지면서 그래도 눈으로 직접 확인하고 사야 했던 신선식품도 온라인 쇼핑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됐다는 분석이다. 25일 시장조사기관 코어사이트(Coresight)가 조사한 온라인 그로서리 서베이(Online Grocery Survey 2022)에 따르면 지난 1년 동안 미국 성인의 54.3%가 온라인으로 식료품을 구입했다. 코로나 발병률이 높았던 2021년 조사에선 59%로 소폭 감소했지만 코로나 발생 전인 2019년(36.9%)과 비교했을 땐 온라인 쇼핑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늘어났음을 의미한다. 실제 최근 1년 새 거의 모든 식료품을 온라인으로 구매한다는 소비자는 11.9%로, 작년(10%)보다 많았다. 대부분의 식료품을 온라인으로 구매한다는 소비자는 16.5%다. 작년엔 14.7%였다. 코어사이트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식료품 쇼핑에서 온라인 채널이 유의미한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소비자는 온라인 식료품 쇼핑에 대해 편리한 데다 충동구매
[더구루=한아름 기자] 미국 정부가 담배의 니코틴 함량을 대폭 줄이는 방안에 칼을 빼든다. 먼저 담배 기업과 각종 규제 단체의 의견을 듣고 구체적인 규정을 만들겠단 계획이다. 다만 실행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식품의약국(FDA)는 담배 속 니코틴 함량을 최소화하거나 중독성이 없는 수준으로 낮춰야 한다는 규정을 곧 발표한다. 로버트 캘리프 FDA 국장은 성명을 통해 "담배 속 니코틴은 강력한 중독성을 유발한다"며 "이번 규정은 담배의 중독성을 낮춰 사망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방안은 올해 초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향후 25년간 암 사망률을 절반으로 낮추겠다고 발표한 계획에 따른 것이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현지서 매년 약 48만 명이 흡연과 관련된 질환으로 사망하며 미국 성인의 13.7%가 흡연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니코틴은 담배 중독성을 야기해 암이나 심장병, 뇌졸중, 폐질환, 당뇨병 등의 질환을 유발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FDA의 움직임에 담배 규제 단체들은 공중 보건이 향상될 것이라며 찬성 의견을 보였다. 다만 FDA가 구체적인 규정을 발표하는 데…
[더구루=김형수 기자] 코카콜라도 앞으로도 알코올 음료 시장의 문을 두드릴 전망이다. 새로운 제품을 하나둘씩 선보이며 사업을 확대 가능성을 모색하는 모양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코카콜라는 미국을 비롯한 세계 여러나라에서 다양한 알콜 음료를 선보이며 시장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지난 2020년 몰슨 쿠어스(Molson Coors)와 손잡고 토포 치코 하드셀처(Topo Chico Hard Seltzer)를 처음 선보였다. 올해 초 미국 전역에서 유통되기 시작했다. 이어 토포 치코 랜치 워터 하드셀처(Topo Chico Ranch Water Hard Seltzer)를 출시하며 브랜드를 확장했다. 하드셀처는 탄산수에 알코올과 과일향을 더한 술이다. 알코올 도수가 낮고 칼로리와 당 함량이 적어 가볍게 음주를 즐기고 싶은 젊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이어 코카콜라의 브랜드 심플리(Simply)의 알콜 버전인 심플리 스파이크드(Simply Spiked)를 선보였다. 또 코로나 맥주를 생산하는 업체 컨스틸레이션 브랜즈(Constellation Brands)와 협력해 미국에서 칵테일을 선보일 예정이다. 올해 연말 프레스카 믹스드(Fresca M
[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본 자동차 부품 회사 일본특수도업(日本特殊陶業, 이하 NGK)이 '미래 먹거리'인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전력투구한다. 연말 항공우주용 전고체 배터리의 성능을 검증하고 2025년 상용화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NGK는 전고체 배터리를 2025년 상용화할 계획이다. 자동차뿐 아니라 항공우주, 헬스케어 등에서 활용을 모색하고 연말 항공우주용 배터리에 대한 성능 테스트를 실시한다. 1936년 설립된 NGK는 점화 플러그와 세라믹 제품 등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는 회사다. 주력 제품인 점화 플러그는 거의 모든 완성차 업체들이 사용하고 있다. NGK는 내연기관차 시대가 저물고 전기차를 비롯해 친환경차의 판매량이 증가하며 새 수익원 발굴에 매진했다. 그동안 자동차 부품 시장에서 축적한 기술력을 토대로 전고체 배터리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에 쓰이던 액체 전해질을 고체로 바꾼 제품이다. 구조적으로 단단해 화재 위험이 없고 에너지밀도가 높아 주행거리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어 '차세대 배터리'로 꼽힌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는 전 세계 전고체 배터리 시장 규모가 올해 2.1GWh에서 2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화유코발트와 짐바브웨 정부 간 리튬 프로젝트를 둘러싼 동상이몽으로 첫 삽을 뜨기 전부터 잡음이 새어 나오고 있다. 안정적인 전력 공급 등 인프라 부족이 걸림돌로 작용하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화유코발트는 최근 짐바브웨 아르카디아(Arcadia) 리튬 프로젝트 관련 "현지 파트너사의 지원과 적절한 환경이 갖춰졌을 때만 리튬 생산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당국이 계약서 내용과 달리 일방적으로 5년 내 현지 리튬 생산을 요구한 데 따른 것이다. 화유코발트는 총 4억2200만 달러(약 5513억원)를 들여 호주 프로스펙트리소시스로부터 아르카디아 프로젝트를 인수했다. 지난 5월 광산 개발과 리튬 처리 시설 건설에 3억 달러(약 3920억원)를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본보 20222년 5월 27일 참고 中 화유코발트, 짐바브웨 리튬 사업 '3700억' 투자> 인수 작업이 순항하는 듯 했지만 예상치 못한 곳에서 발목이 잡혔다. 짐바브웨 경쟁관세위원회가 지난달 22일(현지시간) 화유코발트와 프로스펙트리소시스 간 거래를 승인하며 '5년 이내에 짐바브웨에서 배터리 등급 리튬을 생산해야 한다'는 조건을 내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