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한국과 중국 조선소들이 앙골라 국영 석유 회사 '소난골(Sonangol)'으로부터 대규모 선박 발주를 위한 러브콜을 받았다. 국내 기업들이 연말부터 연초까지 릴레이 수주 낭보를 전하며 성장 모멘텀을 이어갈지 이목이 쏠린다. 27일 노르웨이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Trade Winds)'에 따르면 소난골은 최근 한국과 중국 주요 조선소들에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3척을 발주하는 입찰에 참여하라는 내용을 담은 제안서를 보냈다. 한국은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중국은 △후동중화조선(Hudong-Zhonghua Shipbuilding) △장난조선(Jiangnan Shipyard)이 요청을 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LNG 운반선 발주 규모는 선박당 약 2억6000만 달러(약 3632억원), 총 7억8000만 달러(약 1조895억원)다. 17만4000CBM(Cubic Meter·1CBM은 1㎥)급 LNG 3척을 주문할 예정이다. 다만 아직 입찰 공고가 개시되기 전인 만큼 정확한 발주 규모와 참여 기업 등은 추후 확정될 예정이다. 한국 조선소들은 LNG 운반선 외 15만8000DWT(재화중량톤수·선박이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중
[더구루=오소영 기자] HD현대미포의 베트남 법인인 HD현대베트남조선이 영국 유니온마린타임(Union Maritime)으로부터 수주한 PC선 2척에 풍력날개 '윈드윙(WindWings)'을 적용한다. 연료 효율을 높여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2028년까지 인도하고 친환경 선박 수주를 확대한다. 27일 바오지아오통 등 외신에 따르면 HD현대베트남조선은 유니온마린타임으로부터 수주한 11만5000DWT급 액화천연가스(LNG) 이중연료 PC선 2척에 윈드윙 기술을 접목한다. 윈드윙은 영국 선박 설계·엔지니어링 회사인 BAR테크놀로지스가 개발했다. 높이가 37.5m, 폭 20m에 달하는 거대한 풍력날개로 바람을 이용해 배의 추진을 돕는다. 역풍이 불거나 정박 중에는 접을 수 있다. 윈드윙을 단 선박은 일평균 약 1.5톤(t)의 연료를 절약하고, 6t의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윈드윙과 함께 HD현대가 연료 효율 향상을 위해 개발한 장치도 선박에 장착했다. 프로펠러와 반대 방향의 소용돌이(와류)를 생성해 추진 효율을 높이고 최대 2.5% 정도 연료 소모를 줄이는 하이핀(Hi-FIN)을 장착했다. 기포 발생(공동현상)과 불안정한 진동을 최소화해 연료 효율을
[더구루=오소영 기자]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이 이집트의 노후 잠수함 교체 사업 파트너로 뽑혔다. 이집트 잠수함 시장을 장악했던 독일·프랑스 기업들의 경쟁 상대로 부상했다. 폴란드와 캐나다에 이어 이집트에도 진출하며 함정 수출 영토를 넓힌다. [유료기사코드] 25일 디펜스아라빅과 셰퍼드미디어 등 외신에 따르면 이집트 해군은 잠수함 4척 구매를 추진하고 있다. 후보 기업으로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 독일 TKMS, 프랑스 나발(옛 DCNS) 등이 거론된다. 이집트는 1960년대 후반 위스키급 잠수함 2척과 로미오급 잠수함 6척을 도입했었다. 1970년대 당시 안와르 사다트 이집트 대통령의 친서방 정책으로 러시아와 관계가 소원해지며 로미오급 잠수함용 부품 수급과 후속 운영에 어려움을 격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1980년대 초반 중국판 로미오급 잠수함인 타입 033 4척을 확보했으며 미국 타코마 보트 빌딩 컴퍼니와 1억1600만 달러(약 1600억원) 상당 잠수함 개조 계약도 체결했다. 2011년 TKMS와 2척 건조 계약을 맺은 데 이어 2015년 2척을 추가했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총 4척을 모두 인도받았다. 이집트 해군은 잠수함 현대화를 지속 추
[더구루=오소영 기자] 베트남 최대 국영선사인 베트남오션쉬핑(Vietnam Ocean Shipping, 이하 VOS)이 총 10척 발주를 추진한다. 중고 선박 2척을 사고, 8척을 신규로 건조하는 안건을 임시 주주총회에서 통과시켰다. 한국과 중국, 일본을 해외 파트너로 거론하며 3국의 경쟁이 전망된다. 25일 VOS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 19일(현지시간) 임시 주총에서 2024년 선박투자계획 수정 안건을 승인했다. 이 안건은 중고와 신규 선박 10척에 대한 주문을 골자로 한다. 구체적으로 VOS는 한국·일본·중국·베트남·필리핀에서 건조된 선령 15년 미만, 슈퍼막스(5만6000~5만8000DWT(DWT는 배에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최대 톤수))급 벌크선 2척을 척당 2300만 달러(약 320억원) 이하에 매입한다. 울트라막스(6만2000~6만6000DWT)급 벌크선 4척을 척당 4000만 달러(약 560억원) 이하, 5만DWT급 석유제품운반선(MR탱커) 4척을 척당 5200만 달러(약 730억원) 이하로 건조 계약을 맺는다. 한국과 일본, 중국, 베트남 조선소에 발주해 건조를 추진한다. VOS는 중고 선박 구매와 신조를 통해 선대를 확장한다. VOS는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중공업이 프랑스 해운사 'CMA CGM'에 액화천연가스(LNG) 이중연료 컨테이너선을 인도했다. 2021년과 2022년 총 10척에 대한 계약을 적기에 이행하고 건조 역량을 입증한다. 23일 CMA CGM에 따르면 이 회사는 최근 LNG 이중연료 컨테이너선 'CMA CGM 포트 디아만트(Fort Diamant)'를 인도받았다. 이 선박은 길이 268m, 폭 43m로 용량은 7362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 규모다. 프랑스령 가이아나의 유명 유적지인 디아망 요새(Fort Diamant)에서 착안해 명명됐다. 삼성중공업은 2021년 9월 CMA CGM과 8412억원 규모인 7300TEU급 컨테이너선 6척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 이듬해에도 4척을 추가로 따냈다. 올해 초부터 △CMA CGM 이노베이션(INNOVATION) △CMA CGM 레거시(LEGACY) △ CMA CGM 엔듀런스(ENDURANCE) △CMA CGM 포트 버번(CMA CGM Fort Bourbon) △CMA CGM 포트 제임스(CMA CGM Fort James)를 순차적으로 납품했었다. <본보 2024년 5월 2일 참고 삼성중공업, 프랑스
[더구루=정등용 기자] 일본이 캐나다 순찰 잠수함 프로젝트(CPSP) 입찰 참여를 포기했다. 경쟁사로 입찰에 참여한 한화오션과 HD현대중공업의 수주 가능성이 높아진 가운데, 양사는 같은날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 입찰 관련 소송전도 중단했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가와사키중공업과 미쓰비시중공업은 CPSP 입찰 참여를 포기했다. 앞서 캐나다 오타와 주재 일본 대사관도 정보제공요청서(RFI) 답변 마감일 3일 전인 지난 15일 일본 기업들의 CPSP 입찰 참여 포기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다. 당시 오타와 주재 일본 대사관은 “일본 기업들이 CPSP 입찰에 참여할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안다”며 “일본 기업들은 캐나다 정부의 요청에 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당초 가와사키중공업과 미쓰비시중공업은 캐나다의 빅토리아급 잠수함을 대체할 잠수함으로 타이게이급 잠수함을 제안할 계획이었다. 타이게이급 재래식 디젤 전기 추진 잠수함은 일본 함대 중 가장 최신형이며, CPSP 팀도 캐나다 해군을 위해 고려한 옵션 중 하나였다. 다만 가와사키중공업과 미쓰비시중공업은 CPSP 납기 문제로 이번 프로젝트 참여를 철회한 것으로 보인다. 두 기업이 호주 호위함 사업을 수주할
[더구루=오소영 기자] HD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한화오션이 세계적인 해양 학술대회에 나란히 참석했다. 스마트·친환경 선박 기술을 알리고 고객을 먼저 생각하는 기술 개발 철학을 공유했다. 유럽 해운산업의 중심지인 영국에서 'K조선'의 위상을 드높였다. 21일 로이드선급에 따르면 전승호 HD현대중공업 기술본부장(부사장)과 장해기 삼성중공업 기술개발본부장(부사장), 손영창 한화오션 제품전략기술원장(부사장)은 지난 6일(현지시간) 영국 사우샘프턴에서 열린 글로벌 해양 컨퍼런스 'G-NAOE(Global Conference on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2024'에서 '최고기술책임자(CTO) 오션 포럼'에 패널로 참석한다. G-NAOE는 로이드선급과 대한조선학회(SNAK)가 공동 주최하는 학술대회다. 친환경 선박 기술과 미래 해양산업 동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지난 5~9일 영국에서 개최됐다. 국내 조선 3사는 '더 안전한 바다를 위해 스마트 파도를 타다(Riding the Smart Wave for a Safer Ocea)'를 주제로 이야기를 나눴다. 각사가 약 10분씩 기술 개발 현황과 비전을 소개하고, 패널 토론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오션이 폴란드 오르카 프로젝트 수주를 위해 현지 홍보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력 군사 전문지를 한국으로 초청해 조선소 투어를 진행하고 함정 건조 사업 역량을 알렸다. 장보고-Ⅲ(KSS-III)를 비롯해 한국형 잠수함 사업에 참여한 경험을 토대로 오르카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내비쳤다. 21일 디펜스24 등 폴란드 매체에 따르면 한화오션은 최근 폴란드 매체를 거제 조선소에 초대했다. 독자 설계한 '장보고-Ⅲ(KSS-III)'를 소개하고 함정 건조 기술력을 홍보했다. 디펜스24는 "장보고-Ⅲ는 한국 국방부가 40년 동안 일관되게 진행한 사업의 결실"이라며 "조선업계와 연구기관, 군이 진지하게 노력한 결과이기도 하다"라고 평가했다. 장보고-Ⅲ의 특징으로는 △중어뢰와 대함·순항미사일 등을 탑재한 어뢰 발사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잠수함용 리튬이온 에너지저장장치(ESS) △수소연료전지기반의 공기불요추진체계(AIP) 장착 등을 언급했다. 또한 국산화 비율도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고 봤다. 배치-Ⅱ(4~6번함)는 한국산 부품 비중이 80%며, 배치-Ⅲ(7~9번함)는 90%에 달한다고 봤다. 디펜스24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화그룹이 싱가포르 부유식 해양설비 제조업체 다이나맥홀딩스 지분 90% 이상을 확보하며 사실상 인수에 성공했다. 한화오션과 다이나맥 간 시너지를 통해 해양 플랜트 분야 경쟁력 강화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다이나맥은 지난 19일 기준 한화 측이 자사 지분 92.22%를 확보했다고 20일 밝혔다. 한화는 현지 증권거래소 규정에 따라 90% 이상 지분을 갖게 돼 나머지 주식에 대한 강제 인수 옵션을 행사할 수 있게 됐다. 한화는 다이나맥 지분 100%를 인수한 이후 상장폐지할 예정이다. 한화는 이미 싱가포르 경쟁당국으로부터 다이나맥 인수를 승인받은 상태다. 다이나맥은 1990년 설립된 해양플랜트 상부 구조물 전문회사로, 싱가포르 현지에 생산거점 2곳을 보유하고 있다.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설비(FPSO)와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설비(FLNG) 등 해상 설비의 핵심 제품 건조 능력을 갖췄다. 한화 계열사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오션은 싱가포르 현지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한 지분 공개매수로 다이나맥 경영권 확보를 추진해왔다. 한화는 이달 초 다이나맥 창업자이자 최대주주인 림쯔종이 공개매수에 응하면서 과반 지분을 확보한 바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니자르 바라카(Nizar Baraka) 모로코 설비·수자원부 장관이 HD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를 찾아 이상균 대표이사(사장)와 만났다. 상선 100척 확보를 추진하고 있는 모로코는 HD현대 기술력을 직접 살피고자 현장에 발길을 했다. 대규모 선단을 꾸리려하는 모로코의 잠재 조선 파트너로 HD현대가 부상하고 있다. 18일 모로코 설비·수자원부와 블라디닷넷 등 외신에 따르면 바라카 장관은 지난 14일 HD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를 방문했다. 조선소를 둘러보고 이 사장을 비롯해 HD현대중공업 경영진을 만나 협력을 논의했다. 모로코는 대외 무역 활성화를 추진하며 2040년까지 상선 약 100척을 확보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향후 수주 안에 신조와 유지보수를 포함한 세부 전략을 발표할 예정이다. 모로코는 1980년대 약 73척의 상선을 보유했었다. 하지만 낮은 수익성과 부족한 물류 인프라 등으로 코마리트(Comarit)·코마나브(Komanav)를 포함한 주요 해운회사들이 청산하며 상선도 2020년 약 16척으로 줄었다. 해운산업에 종사하는 회사는 지난 2022년 기준 10곳에 불과하다. 모로코는 이전 규모 이상으로 상선을 확대하고자 대규모 발주를 예고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가 필리조선소 인수 절차를 진행 중이나 이미 현지에서는 새 주인을 향한 기대감이 커지는 분위기다. 필리 조선소 고객사인 미국계 토지매립·준설 전문 회사 'GLDD(Great Lakes Dredge & Dock Company)'는 한화의 막대한 투자에 기대를 표했다. 조선소의 생산성이 높아져 해저 암반 설치 선박(SRIV) 건조에 속도가 붙을 수 있다고 봤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라세 페터슨(Lasse Petterson) GLDD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6일(현지시간) 3분기 실적발표회에서 한화의 필리 조선소 인수에 대해 "연말 승인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당사는 잠재적인 새 소유주(한화)와 만났으며, 거래가 완료되면 조선소를 최우선 순위로 두고 계획된 투자가 이뤄져 아카디아(Acadia) 건조의 다음 단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GLDD는 지난 2021년 11월 필리 조선소와 SRIV 옵션 3척을 포함해 총 4척(약 3억8200만 달러·약 5300억원)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 첫 번째 선박인 아카디아는 길이 140.5m, 폭 34.1m로 약 45명을 수용할 수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베트남 정계와 산업계가 '90조원' 규모 대규모 인프라 사업인 '남북 고속철도'를 계기로 철도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고속차량을 비롯해 핵심 기술을 이전하고 철도 산업 발전을 지원할 해외 업체만 입찰에 참여하도록 자격을 제한할 것을 주문했다. 해외 의존도를 줄이려면 이번 사업 계약에 기술 이전을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유료기사코드] 15일 VN익스프레스와 베트남비즈 등 외신에 따르면 황 반 끄엉(Hoàng Văn Cường) 베트남 국회 예산재정위원회 의원은 지난 13일(현지시간) 남북 고속철도 사업 토론회에서 "우리가 계속 해외에 의존하면 고속철도 완공에 무한정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베트남 국가경제대학 부총장 출신인 끄엉 의원은 기술 확보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끄엉 의원은 "수동적으로 해외 계약자를 고용하고 각 노선별 사업을 추진하는 대신 우리가 기술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며 "(해외 기업과) 계약을 맺을 때 기술 이전은 필수다"라고 밝혔다. 이어 "기성 시스템 구입으로 초기 비용을 줄일 수 있으나 기술까지 들여와 이를 익힌다면 장기적으로 (베트남에) 이득이며 향후 프로젝트의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이 해저케이블 시장에서 중국을 배제한다. 중국 기술이나 장비가 포함된 해저케이블이 미국과 연결되지 못하도록 관련 규정을 도입한다. 화웨이와 ZTE, 차이나텔레콤, 차이나모바일 등 중국 기업의 장비나 서비스 활용도 제한한다. 26일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에 따르면 외국 적대 세력으로부터 해저케이블을 보호하는 규정을 만들고 있다. 이 규정은 국가 안보에 위협을 가하는 중국을 직접 겨냥한 것이다. 규정이 통과되면, 중국 기업은 FCC에 면허를 신청할 수 없고, 기존 해저케이블의 일부 용량도 임대받을 수 없다. 화웨이와 ZTE, 차이나텔레콤, 차이나모바일 등 중국 기업의 장비나 서비스 사용은 금지된다. FCC는 내달 7일 공개 회의에서 규정을 심의할 계획이다. 중국 등 적대국 장비로부터 해저케이블을 보호할 다양한 추가 조치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는 동시에 자국 해저케이블 유지보수 선박 활용과 해외에서 신뢰할 수 있는 기술 사용을 장려하는 방안도 함께 논의한다. 브렌더 카 FCC 위원장은 "해저케이블은 전 세계 통신의 숨은 영웅으로 세계 인터넷 트래픽의 99%를 처리한다"며 "미국이 AI와 미래 기술 분야를 선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PC 게임 플랫폼 스팀(Steam)이 결제 대행사의 요구에 따라 성인용 게임 규제를 대폭 강화하면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이에 일론 머스크가 새로운 결제 시스템 대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발언하며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스팀을 운영하는 밸브(Valve)는 배급사 규정을 업데이트했다. 이번 업데이트의 핵심 내용을 새롭게 추가된 15번째 조항이다. 해당 조항은 '스팀의 결제 처리업체 및 관련 카드 네트워크, 은행이 정한 규칙과 표준을 위반한 콘텐츠'의 게시를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눈길을 끈 것은 특정 종류의 성인 전용 콘텐츠가 명시됐다는 점이다. 해당 조항이 시행되고 불과 48시간 만에 100개가 넘는 성인용 게임이 스팀에서 삭제됐다. 밸브가 이와 같은 결정을 내린 배경에는 마스터카드, 비자, 페이팔 등 결제 대행사들의 압박이 결정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게임 이용자를 중심으로 결제망을 장악한 금융사들이 콘텐츠에 대한 사실상의 검열권을 행사했다며 반발의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실제로 글로벌 청원 사이트 '체인지'에는 밸브의 정책 철회를 요구하는 청원이 올라와 1만 명 이상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