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 공화당 소속 린지 그레이엄(Lindsey Graham) 상원의원이 우크라이나의 풍부한 희토류 자원이 미국 경제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우크라이나와의 자원 개발 협력이 양국에 이익이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유료기사코드] 30일 폭스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그레이엄 상원의원은 최근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은 궁극적으로 돈에 관한 문제이며, 우크라이나 희토류 광물 가치는 2조 달러(약 2790조원)에서 최대 7조 달러(약 9780조원)에 달한다"면서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대신 미국과 자원 개발 협정을 맺도록 돕는 것이 미국의 전략적 이익에 부합한다"고 밝혔다. 그레이엄 의원은 "우크라이나는 '세계의 곡창지대'이자 유럽에서 희토류 광물이 가장 풍부하게 매장된 지역"으로 평가하며 "러시아가 이 자원을 장악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특히 그는 "우크라이나는 미국과 협력할 준비가 돼 있지만, 러시아는 그렇지 않다"며 "자원 개발 협력이 양국 간 경제적 관계를 심화시키고 평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우크라이나도 서방과의 협력에 적극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지난달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정부가 5G(5세대) 통신망 대규모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중국 정부는 사회 전반에 5G 통신망을 보급, 디지털 경제 발전을 가속하고 글로벌 5G 시장을 선도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공업신식화부(工业和信息化部) 등 12개 부처는 합동으로 '5G 대규모 응용 '항해' 행동 고도화 방안(5G规模化应用“扬帆”行动升级方案)'를 발표했다. 5G 대규모 응용 '항해' 행동 고도화 방안에는 △애플리케이션 △산업 △네트워크 △생태계 등 4가지 부문의 업그레이드를 중심으로 13개 핵심 과제와 4개 보호 조치가 제시됐다. 중국 정부는 업그레이드 방안에 따라 2027년까지 5G 통신망 개인 이용자 보급률을 85%를 이상으로 높이고, 이용자 1만명당 5G 기지국 수도 38개로 늘려 5G 통신망의 트래픽 점유율을 75%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사물인터넷(IoT)의 경우에도 5G 통신망에 연결된 단말기를 1억대 이상 확보한다. 중국 정부는 확대된 5G 통신망을 기반으로 스마트 로봇, 클라우드 장비 등에 대한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확장현실(XR) 서비스, 3D 디스플레이,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
[더구루=진유진 기자] 칠레 정부가 리튬 산업 부가가치를 극대화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국가 리튬 전략'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칠레는 '국가 리튬 전략'을 통해 리튬 추출부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글로벌 리튬 공급망에서 입지를 공고히 한다는 포부다. 30일 코트라(Kotra)에 따르면 칠레는 가브리엘 보리치 대통령이 지난해 4월 발표한 '국가 리튬 전략'을 바탕으로 풍부한 리튬 매장량을 활용해 다양한 염호에서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세계 최대 규모인 아타카마 염호에서는 국영 광업 기업 코델코(Codelco)와 칠레 SQM이 오는 2025년 합작법인을 설립해 리튬 개발에 나선다. 2030년까지는 SQM이 운영을 주도하며, 2031년부터 2060년까지는 코델코 중심으로 운영될 전망이다. 합작법인이 설립되면 SQM이 보유한 광업권 전체가 코델코로 양도됨에 따라 칠레 리튬 산업에서 코델코의 영향력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마리쿵가 염호는 아타카마 염호에 이어 리튬 부존량이 풍부한 지역으로 꼽힌다. 코델코는 지난 3월 호주 리튬파워인터내셔널(LPI)을 인수해 MSB 프로젝트를 흡수하고, 5월 SQM과의 협정을 통해 마리쿵가
[더구루=진유진 기자] 마다가스카르 암바토비 니켈 광산 프로젝트가 채무 조정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한국광해광업공단(KOMIR)과 일본 스미토모 상사가 공동 참여하는 암바토비 프로젝트는 오는 12월 초 부채 구조조정을 완료할 예정이다. 스미토모 상사는 28일(현지시간) "이번 주 초 영국 런던 법원이 암바토비 프로젝트 운영사들이 제출한 채무 조정안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주주로서 모든 이해 관계자에게 최선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모든 정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암바토비 광산은 지난 2005년 시작된 대규모 프로젝트로, 마다가스카르 수도 안타나나리보에서 약 80km 떨어진 모라망가 지역에 위치한다. 1만6000㏊에 달하는 광산에는 니켈과 코발트, 황산암모늄 등이 풍부하며, 세계 3대 니켈 광산 중 하나로 꼽힌다. 연간 최대 니켈 4만8000t과 코발트 4000t을 생산할 수 있는 습식제련(HPAL)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오는 2050년까지 운영될 전망이다. 앞서 암바토비 광산은 지난 9월 파이프라인 문제로 생산을 일시 중단했으나, 한 달이 채 안 된 10월 말 가동을 재개했다. <본보 2024년 11월 1일 광해광업공단·日스미토모,
[더구루=진유진 기자] 마다가스카르가 미국 우라늄 생산업체 에너지 퓨얼스(Energy Fuels)가 소유한 희토류 프로젝트 중단 조치를 해제했다. 이번 결정은 에너지 퓨얼스의 아프리카 진출과 미국 희토류 공급망 강화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마다가스카르 정부는 전날 에너지 퓨얼스가 100% 소유한 톨리아라(Toliara) 핵심 광물 프로젝트에 대한 중단 조치를 해제했다. 이는 정부가 지난 2019년 11월 재정 조건 협상을 이유로 프로젝트를 중단시킨 지 5년 만이다. 이번 조치로 톨리아라 프로젝트가 본격 재가동될 전망이다. 이날 마크 찰머스 에너지 퓨얼스 최고경영자(CEO)는 "프로젝트의 재정 투자 결정을 2026년 초로 목표하고 있다"며 "사회 프로그램 재수립과 기술·환경·사회적 활동을 발전시키는 중요한 단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톨리아라 프로젝트를 "미국과 세계에 수십 년 동안 핵심 광물을 공급할 잠재력을 가진 세대의 광산 프로젝트"라고 평가했다. 에너지 퓨얼스는 지난 4월 호주 광산 기업 베이스 리소스(Base Resources)를 총 3억7500만 호주달러(약 3400억원)에 인수하며 톨리아라 프로젝트를 소유하게
[더구루=진유진 기자] 세계 2위 원자재 거래 기업 트라피구라(Trafigura)가 대규모 아연 매수에 나서며 아연 가격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단기적인 가격 상승세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변화가 시장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트라피구라는 최근 런던금속거래소(LME) 창고에서 수천 톤(t)의 아연을 인출 주문했다. 이로 인해 지난 이틀 동안 아연 인출 주문은 9만7225t 급증하며 10년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이는 LME 창고에서 사용 가능한 재고를 줄이고, 지난 25일부터 이어진 아연 가격 상승을 부채질했다는 분석이다. 이번 대규모 매수 이후 LME 창고에서 사용 가능한 아연 재고는 지난 27일 기준 15만4125t으로 1년 만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LME에서 아연 가격은 29일 t당 3129.50 달러로 1.8% 상승하며, 이 주에만 5.5%의 상승률을 보였다. 트라피구라는 세계 최대 아연 거래자이자 주요 생산자로 여러 아연 제련소를 운영하고 있다. 이번 인출 배경은 트라피구라가 수요 증가에 대응하거나 비용 절감을 위해 보관 장소를 옮기려는 목적으로 해석된다. 올해 아연 시장은 수요 약세 속에서
[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가 내년 금값 상승을 전망했다. 미국 정부의 재정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질 것이란 이유에서다. 29일 원자재 전망에 관한 골드만삭스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 미국 정책의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포트폴리오 내 원자재의 다변화 역할도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금과 석유 매수 포지션은 관세 인상과 지정학적 석유 공급 차질, 부채 우려 등 시나리오에서 중요한 인플레이션 및 지정학적 헤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골드만삭스는 미국의 재정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 금값이 현재 수준보다 19% 상승한 온스당 3150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서 금의 역할과 지정학적 긴장 고조에 기인한다는 것이다. 골드만삭스는 “인플레이션과 재정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 투기적 포지션과 ETF 자금 유입이 늘어날 수 있다”며 “미국 부채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 대규모 미 국채를 보유한 중앙은행이 금을 더 많이 매입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와 함께 골드만삭스는 공급 측면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주요 상승 리스크는 높은 관세, 추방, 이란 석
[더구루=진유진 기자] 중국 국영 광산기업 유색광업집단유한공사(CNMC)가 브라질 희토류 기업 미네라써웅 타보카(Mineração Taboca)를 인수했다. 최근 글로벌 자원 수요 증가와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친환경·전자기술 산업에 필수적인 희토류 공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려는 중국의 전략적 행보로 풀이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CNMC은 브라질 아마조나스주에 위치한 피팅가(Pintinga) 광산 운영사 미네라써웅 타보카를 3억4000만 달러(약 4740억원)에 인수했다. CNMC는 세계 최대 구리 생산업체 중 하나로, 이번 인수를 통해 자원 생산 체인 다각화를 도모하고 첨단 기술과 청정에너지 시장으로 진출을 확대할 계획이다. 미네라써웅 타보카는 지난 1969년 설립된 브라질 최대 정제 주석 생산업체로, 해외에 생산량 대부분을 수출하고 있다. 현재 브라질 상파울루대학교(USP) 산하 광물가공추출연구소(LAREX)와 협력해 원석에서 희토류를 분리·추출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오는 2028~2030년 생산 개시를 목표로 하며, 연간 최대 1만t(톤)의 희토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중 75%는 고부가가치 중희토류로, 글로벌 첨단 산업의
[더구루=진유진 기자] 볼리비아 정부가 중국 CBC 컨소시엄과 협력해 대규모 리튬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CBC 컨소시엄은 세계 1위 배터리 제조 업체 CATL과 BRUNP & CMOC로 구성됐다. 이들은 볼리비아 리튬 공장 프로젝트에 10억 달러(약 1조3930억원)를 투자한다. 볼리비아 정부는 지난 26일(현지시간) CBC와 최소 10억 달러 규모의 직접 리튬 추출(DLE) 공장 두 곳을 건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볼리비아 정부는 프로젝트 지분의 51%를 보유하며, 공장은 볼리비아 남서부 우유니 소금사막에 건설될 예정이다. 우유니는 칠레, 아르헨티나와 함께 세계 최대 리튬 매장지로 꼽히는 '리튬 삼각지대'에 속한다. 오마르 알라르콘 볼리비아리튬공사(YLB) 대표는 "연간 1만t(톤) 규모의 탄산리튬 생산 공장과 연간 2만5000t 규모의 배터리용 탄산리튬 생산 공장이 각각 세워질 예정"이라며 "이번 계약은 공장 설계, 건설, 운영, 유지보수 전반을 포함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CBC가 자체 기술과 자금으로 공장을 건설하며, 10억 달러는 초기 건설 비용으로 사용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볼리비아는 세계 최대 리튬 매장량을
[더구루=정등용 기자]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와 옥시덴탈 페트롤리움(Occidental Petroleum)의 리튬 합작사가 미국 아칸소주 리튬 염호 개발에 나선다. 아칸소주 리튬 염호는 전세계 수요량 이상의 리튬이 매장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비키 홀럽 옥시덴탈 페트롤리움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영국 런던에서 열린 에너지 인텔리전스 포럼에 참석해 아칸소주 리튬 염호 개발 계획을 공개했다. 홀럽 최고경영자는 “현재 우리가 한 일은 임대 계약을 체결한 것뿐”이라며 “이번 임대 계약은 옥시덴탈 페트롤리움 자회사인 테라리튬이 버크셔 해서웨이 에너지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캘리포니아 살톤해 리튬 사업을 확장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양사는 지열 에너지 생산 방식으로 염수에서 리튬을 추출할 예정이다. 올해 첫 번째 직접리튬추출(DLE) 파일럿 플랜트 건설을 시작할 예정이며, 프로젝트가 성공할 경우 사업을 확장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홀럽 최고경영자는 “옥시덴탈 페트롤리움이 아칸소주 리튬 염호에 대한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지만, 버크셔 해서웨이 에너지도 기존 협력 관계에 따라 향후 개발 사업에
[더구루=진유진 기자] 인도네시아가 미국 전기차 기업 테슬라에 전기차 배터리 전구체를 납품하기 시작한다. 인도네시아는 이번 수출을 통해 글로벌 전기차 공급망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을 것으로 기대된다. 바흐릴 라하달리아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 장관은 지난 25일(현지시간) 자카르타에서 열린 미네르바 엑스포에서 "북말루쿠주 할마헤라섬 웨다베이 산업단지에서 생산된 배터리 전구체를 이달부터 미국으로 수출해 테슬라에 공급하게 된다"고 밝혔다. 이는 니켈 원광 중심 수출 구조에서 고부가가치 가공 제품 수출로 전환한 인도네시아 니켈 산업 고도화의 주요 성과로 평가된다. 특히 인도네시아산 전구체는 주로 중국으로 수출되고 있으며, 미국 수출은 이번이 처음이다. 바흐릴 장관은 "인도네시아는 단순히 원료를 수출하는 국가가 아니라 전기차 배터리 생산까지 아우르는 완성형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인도네시아 니켈 산업이 단순 채굴을 넘어 전기차 배터리 생산까지 이어지는 통합 생태계를 구축했다는 설명이다. 현재 전기차 배터리 생태계의 8%가 구축된 상태로, 주요 시설은 서부 자바주 까라왕에 위치해 있다. 그는 "향후 완제품 단계의 다운스트림 제품 생산까지 확대할 것"이
[더구루=진유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석유와 가스 생산 확대에 중심으로 한 포괄적인 에너지 정책을 통해 미국 에너지 산업 재편을 준비하고 있다. 이는 미국을 에너지 강국으로 자리매김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27일 트럼프 정권 인수팀 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 차기 정부의 에너지 정책은 △액화천연가스(LNG) 수출 확대 △원유 시추 기회 증대 △바이든 행정부 기후 규제 철회를 골자로 한다. 이는 에너지 독립과 글로벌 에너지 리더십 강화를 목표로, 트럼프 당선인이 공약했던 화석 연료 산업 부흥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당선인은 LNG 수출 확대가 세계 최대 천연가스 생산국인 미국의 에너지 수출국 지위를 공고히 할 '레이업' 문제라고 강조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가 지난 1월 환경영향평가를 이유로 중단했던 신규 LNG 수출 허가를 신속히 재개하고, 보류 중인 연방 토지와 연안 시추 허가를 적극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당선인은 바이든 정부의 기후 정책을 되돌리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전기차 세금 공제 폐지와 청정 발전소 기준 강화 철회 등을 통해 바이든 정부가 석탄과 천연가스를 단계적으로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Lucid Group)가 약 1조5000억원 규모로 전환사채를 발행한다. 최대 주주인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공공투자기금(PIF)이 이를 지원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루시드는 3일 최대 10억 달러(약 1조4600억원) 규모로 2030년 만기 전환선순위채권Convertible Senior Notes)을 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선순위전환채권은 약정 시점이나 투자자 전환권 행사 시점에 주식으로 전환, 원금을 상환받을 수 있는 채권이다. 다만 일반 전환사채(CB)와 달리 전환 가격이 정해져 있지 않다. 루시드의 선순위전환채권 발행과 관련해 PIF 자회사인 '아야르서드 컴퍼니'가 특정 투자자와 선불 선도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는 미래 보유 주식 매각을 담보로 미리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이다. PIF는 루시드의 지분 60%를 보유한 최대 주주이다. 2022년 12월 15억 달러, 2023년 5월 18억 달러를 지원한 데 이어 작년에도 3월 10억 달러, 8월 15억 달러의 유동성을 공급했다. <본보 2024년 8월 6일자 참고 : 사우디 국부펀드, 루시드에 '2조' 자금 투입> 루시드는 또 작
[더구루=홍성일 기자] 구글이 인공지능(AI) 수요 급증에 따라 엔비디아 AI칩 추가 조달에 나섰다. 구글의 AI칩 추가 조달이 'AI반도체 수요 고점론'을 약화시킬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3일 경제전문매체 디 인포메이션에 따르면 구글은 AI 데이터센터 임대기업 코어위브(CoreWeave)와 엔비디아 블랙웰(Blackwell) AI칩 임대를 위한 사전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상세한 조달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구글이 코어위브와 협상에 나선 배경에는 AI 수요 급증이 있다는 분석이다. AI관련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데 맞춰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설치하기 위해 서버 임대를 선택했다는 것. 코어위브는 미국 전역에 32개 데이터센터를 구축했으며 탑재된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는 25만 장이 넘는다. 특히 이번 계약으로 AI칩 수요 고점론이 약화될 것으로 보인다. AI칩 수요 고점론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코어위브 기업공개(IPO) 결과가 기대에 못미치면서 고개를 들었다. 당초 코어위브는 주당 공모가를 47~55달러로 목표했지만 시장의 미온적 반응에 공모가격을 40달러 낮췄다. 지난해 매출의 62%를 담당한 마이크로소프트(MS)가 미국 내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