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스웨덴이 우크라이나에 볼보 엔진을 장착한 고이동성 보병전투차(IFV) '판사르반드방(Pansarbandvagn) 302'(PBV 302) 240여대를 기증한다. 스웨덴에서 2014년에 퇴역했지만 우크라이나 전장에 투입돼 우크라이나의 대공방어와 공세 능력을 향상시킨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업계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스웨덴이 자국 군대에 기부한 PBV 302 배치를 공식적으로 승인했다. 스웨덴의 IFV 지원은 스톡홀름이 지난 5월에 우크라이나에 3년간 총 750억 스웨덴 크로나(약 9조8000억원)에 달하는 상당한 군사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발표한 데 따른 것이다. 이 지원의 일환으로 스웨덴은 스웨덴 군이 소유한 239대의 PBV 302를 인도하기로 확정했다. 1960년대에 개발한 PBV 302는 1966년 스웨덴군에 도입돼 2014년 퇴역할 때까지 주요 IFV로 사용됐다. 현재 스웨덴군은 PBV 302 후속 차량인 CV90(Combat Vehicle 90)을 운용하고 있다. PBV 302는 보병을 태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궤도 차량에는 20mm 대포라는 유기적 무기가 있다. 해글룬드&쇠너(Hägglund &
[더구루=오소영 기자] 수렌 파피키안(Suren Papikyan) 아르메니아 국방장관이 방한 기간 현대로템의 K2 전차 구매를 모색했다는 현지 보도가 나왔다. 폴란드와 루마니아 등에 이어 아르메니아도 러브콜을 보내면서 세계 방산 시장에서 K2 전차의 인기가 날로 치솟고 있다. 아르메니아 유력매체 Oxu.Az는 12일(현지시간)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파피키안 국방장관이 지난 9~10일 방한 기간 K2 전차 구매 가능성을 검토했다고 보도했다. 파피키안 장관은 9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4 인공지능(AI)의 책임있는 군사적 이용에 관한 고위급회의(REAIM 고위급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찾았다. 이튿날 조태열 외교부 장관을 비롯해 주요국 장관과 오찬 미팅도 가졌다. Oxu.Az는 파피키안 장관의 방한 목적에 대해 REAIM 고위급 회의 참석은 표면적인 이유라고 분석했다. 한국 무기 구매에 대한 협상에 나섰다며 K2 전차를 거론했다. K2 전차는 노후 전차를 대체하고자 지난 2008년 개발됐다. 120㎜ 활강포가 적용됐으며 자동 장전 장치를 채택, 이전 K1 전차 대비 1명이 줄어든 3명의 승무원으로 임무 수행이 가능하다. 기동 간 6초 이내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로템과 폴란드 정부 사이에 논의되고 있는 K2전차 추가 계약이 오는 11월 안에 체결될 전망이다. 이의성 현대로템 고문은 12일(현지시간) 미국 군사전문지 브레이킹 디펜스와 인터뷰를 갖고 "폴란드와 K2전차 계약이 11월로 지연될 것"이라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폴란드에서 열리는 국제 방위산업전시회(MSPO 2024)에서 계약이 체결될 예정으로 알려졌었다. 현대로템은 폴란드 국영방산그룹 PGZ, PGZ 산하 WZM과 폴란드형 K2 전차 'K2PL' 생산 협력을 이어가기로 했다. PGZ, WZM과 체결한 컨소시엄 이행합의서를 연장하는 제반 사항을 논의했다. <본보 2024년 7월 3일 참고 현대로템, 폴란드 PGZ와 K2전차 생산·납품 컨소시엄 이행합의서 연장> 현대로템은 PGZ, WZM과 협력해 K2PL을 납품한다. 현대로템은 폴란드와 1000대 중 820대를 K2PL로 공급하기로 했다. 180대 규모의 1차 실행계약을 맺어 올해 1분기까지 46대를 전달했고 2차 실행계약을 앞뒀다. <본보 2024년 3월 20일 참고 현대로템, K2전차 폴란드 속속 추가 인도…3월에만 18대 전달> 이의성 고문은 현대로템과 폴란
[더구루=오소영 기자] 루벤 브레켈만스 네덜란드 국방장관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LIG넥스원과 연쇄 회동했다. 내년 국방 예산 확대를 앞두고 한국의 무기 구매를 논의했다. 적기 인도 능력을 호평하며 유럽에서 'K-방산'이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12일 네덜란드 국방부에 따르면 루벤 브레켈만스 장관은 9일 경기 판교 소재 한화에어로스페이스 R&D센터를 찾았다. 김대영 해외사업총괄 글로벌지원실장을 비롯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임직원을 만나 사업 소개를 듣고 다연장로켓포 '천무' 모형도 관람했다. 또한 서울 강남구 한 식당에서 강구영 사장을 비롯해 KAI 경영진과 오찬 미팅을 가졌고, LIG넥스원 판교하우스를 방문해 방산 기술력을 확인했다. 네덜란드는 내년도 국방 예산을 전년 대비 24억 유로(약 3조5400억원) 늘어난 총 240억 유로(약 35조4700억원)로 편성할 계획이다. 러시아이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안보의 중요성이 커져서다. 네덜란드는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를 직접 제공하고 있다. 향후 늘어난 예산으로 대규모 무기 구매를 추진하며 한국에도 큰 관심을 보여왔다. 한국과 네덜란드의 방산 협력은 국제 회의체 '2024 REAIM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로템의 K2 전차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9 자주포가 폴란드에 잇달아 전달되고 있다. 폴란드군에 대한 무기와 전차가 적기에 입성하면서 신속한 생산과 출고 관리로 현지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폴란드 군비청(Agencja Uzbrojenia)은 11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엑스(X, 옛 트위터)에 155mm K9A1 썬더 자주포 12문, 5대의 K2 흑표(Black Panther) 전차, 12대의 호마르-K(Homar-K) 다연장 로켓 발사기 모듈이 폴란드에 도착했다고 밝혔다. 파베우 베이다(Paweł BEJDA) 폴란드 국방차관은 "멀리 떨어진 한국에서 폴란드로 장비가 배달됐다"며 "K2 전차 5대, K9 자주포 12문, 호마르-K 발사대 12대를 추가했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하역 중인 모듈은 폴란드 섀시, 구성 요소 및 시스템과 통합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폴란드는 지금까지 89문의 K9 자주포를 수령했다. 12문을 추가로 인도하며 적기 사업 이행에 속도를 내고 있다. △2022년 12월 24문 △작년 2월 12문 △작년 3월 12문 △작년 12월 18문 △지난 6월 6문을 납품했다. <본보 2024년 6
[더구루=길소연 기자] 오스탈USA가 미국 해군의 마지막 원정 고속 수송함 건조를 위해 용골(龍骨)을 놓았다. 용골은 선박 하단의 중앙부를 앞뒤로 가로지르는 배의 중심 축을 말한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업계에 따르면 오스탈USA는 미국 앨라배마주 모바일 조선소에서 용골 진수식을 갖고 미 해군의 마지막 원정 고속 수송함(EPF)인 USNS 랜싱(EPF 16)의 건조를 공식적으로 시작했다. 용골거치식은 목재선박을 건조하던 시대에 선박의 바닥 중앙에서 선체를 버티는 장대한 골조역할을 하는 용골에 특정인의 이름 첫 글자를 새겨 넣어 용골이 제대로 설치됐음을 인증하는 의식과 같다. 배의 선수에서 선미까지의 바닥을 받치는 중심 뼈대인 용골을 놓는 과정을 의미한다. 지금의 선박 건조공법에선 미리 만든 선체 블럭을 도크에 앉히는 공정으로, 본격적인 건조를 알린다. 이날 용골식에서는 함선의 스폰서로 활동하는 그레첸 휘트머(Gretchen Whitmer) 미시간 주지사와 오스탈USA에서 9년간의 경력을 가진 숙련된 용접공이 에미자 콜먼(Emija Coleman)이 참석해 중요한 역할을 했다. 휘트머 주지사는 콜먼과 함께 용골 판에 그녀의 이니셜을 용접해 용골을 인증했으며,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하 한화에어로)의 파트너인 폴란드 최대 민간 방산업체 WB그룹이 인도에서 방공 무기 생산을 추진한다.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이니셔티브에 동참해 인도에서 무기를 생산한다는 목표이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업계에 따르면 WB그룹은 인도 육군에 대한 폴란드산 자폭 드론인 '워메이트'(warmate)를 인도군에 판매하면서 현지 방산 시장에 대한 장기 투자를 설명했다. WB그룹은 인도에서 생산 활동을 기반으로 'WB 일렉트로닉스 인디아 주식회사'(WB Electronics India Pvt. Ltd.) 합작 회사를 설립했다. 규정에 따라 인도 파트너와 지분을 대부분 소유했다. WB그룹은 인도 합작법인을 생산 활동의 기반으로 삼는다는 복안이다. 피오트르 보이치에코프스키(Piotr Wojciechowski) WB그룹 최고경영자(CEO)는 "인도 시장을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 중 하나이자 생산 파트너로 보고 있다"며 "인도 시장을 시스템 개발에 활용하고 싶다"고 밝혔다. 그는 "인도 시장이 무기 생산을 위한 다양한 장비의 큰 공급업체가 될 수도 있다"며 "복합재, 전자 제품, 소프트웨어 등을 공급받고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방한한 말레이시아 국방부 장관과 회동한다. 초음속 경공격기 'FA-50'의 추가 수출을 노리고 장갑차 유지·보수·정비(MRO) 사업 협력도 모색한다. 군 현대화를 추진하는 말레이시아가 'K-방산'의 핵심 파트너로 떠오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9일(현지시간) 더스타와 말레이시아 트리뷴스 등 외신에 따르면 다툭 세리 모하메드 칼레드 노르딘(Datuk Seri Mohamed Khaled Nordin) 국방부 장관은 5일간 한국에서 머문다. 오는 11~12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리는 '2024 서울안보대화(SDD)'에 참석하고, KAI·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도 만나 방산 협력을 살핀다. 모하메드 칼레드 노르딘 장관은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양사와의 회담 소식을 알리며 "이번 방문의 목표는 국방 협력 강화에 있다"고 강조했다. KAI는 작년 2월 말레이시아 노후 전투기 교체 사업자로 선정됐다. 인도 테자스, 파키스탄 JF-17, 러시아 MIG-35, 튀르키예 휴르제트 등을 꺾고 현지 국방부와 FA-50 18대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사업 규모는 약 1조2000억원으로 K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로템이 폴란드 국제방산전시회(MSPO)에서 차세대 차륜 장갑차(N WAV)를 공개했다. 지난해 폴란드에 신형 차륜형 전투차량의 생산 공장 설립을 제안했던 현대로템은 한국과 폴란드 간 양국 방산 협력 기조를 이어가 폴란드는 물론 동유럽으로의 수출 가능성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로템은 지난 3일(현지시간) 폴란드 남부 도시 키엘체에서 개막한 '제32회 폴란드 국제방산전시회(MSPO)'에 참가해 차세대 차륜 장갑차를 선보였다. 현대로템은 30톤(t)급 N WAV로 울버린 차륜형 장갑차(KTO Rosomak)를 보완하고, 새로운 바퀴 달린 장갑차 프로그램과 관련된 계획된 경쟁 절차 참여를 신청할 예정이다. 현대로템의 차륜 장갑차 제안은 8x8 구성의 바퀴 달린 전투 차량의 공동 개발이 포함된다. 잠재적 컨소시엄인 현대로템과 폴란드 방산업체 PGZ S.A가 동등한 권리를 가지고 있다. 차량은 공동으로 만들어지지만, 양측이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더 잘 부합하도록 개발 단계에서 독립적으로 설계에 개입할 수 있다는 뜻이다. 현대로템은 지난해 폴란드에서 열린 과학기술회의에서도 N-WAV의 한국산 K808 백호 차륜
[더구루=오소영 기자] 현대로템이 폴란드 국영방산그룹 PGZ 산하 '오브룸(Obrum)'과 교량전차 개발에 협력한다. K2 전차를 적기 인도한 경험을 토대로 차기 교량전차 사업에도 뛰어들었다. 6일 오브룸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 4일(현지시간) 현대로템과 차세대 교량전차 'MG-20'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서준모 현대로템 유럽방산법인장(상무)과 토마스 크루체크(Tomasz Kurczek) 오브룸 최고경영자(CEO) 등 양사 관계자가 참석했다. 양사는 오브룸의 설계 역량에 K2전차로 입증한 현대로템의 전차 기술을 더해 교량전차 개발에 시너지를 낸다. 폴란드 교량전차 수요에 대응해 차체·부품 연구·개발(R&D)에 협업하고 추가 사업 기회를 논의한다. 현대로템은 앞서 폴란드 교량전차 도입 사업의 잠재 공급사로 거론됐었다. 폴란드 군비청은 2026년까지 120대 도입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4월 19일 교량전차 사업 관련 초청장을 발부하고 협상에 나서겠다고 밝히면서 현대로템과 독일 라인메탈, 오브룸 등이 후보로 등장했다. 현대로템은 이번 협력을 토대로 교량전차 개발에 나서며 폴란드 방산 사업을 확대한다. 현대로템은
[더구루=길소연 기자] 영국 밥콕 인터내셔널 그룹(이하 밥콕)이 폴란드 차기 잠수함 사업 '오르카'(ORKA)에 출사표를 던졌다. 밥콕이 폴란드 해군에 제공하는 미에추니크(Miecznik) 호위함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오르카 잠수함 사업에 참여한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밥콕은 폴란드 오르카 프로그램에 포괄적이고 효과적인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전문성, 경험, 인력과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자신했다. 폴란드 미에추니크(Miecznik) 호위함 사업 참여 기반으로 오르카 잠수함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밥콕은 최근 폴란드에서 PGZ-Miecznik 컨소시엄과 협력해 '밥콕 애로우헤드 140(Arrowhead 140)' 설계를 기반으로 하는 미에추니크(Miecznik) 호위함 사업에 참여했다. 미에추니크 호위함 사업은 밥콕 외 다국적기업 탈레스 UK(Thales UK), 미사일 방위산업체 MBDA UK가 협력했다. 밥콕은 "당사는 기술 설계, 엔지니어링 구축, 시스템 통합 및 플랫폼 관리를 제공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미션 파트너"라며 "폴란드 해군에 미에츠닉 호위함을 납품한 경험을 바탕으로 최첨단 기능을 최신 잠수함 플랫폼에 통합하는 입증된 능력을
[더구루=길소연 기자] 필리핀 국방장관이 의회에 전투기 40대 도입을 공식 요청했다. 후보군으로 한국 한국항공우주산업(KAI)와 미국 록히드마틴, 스웨덴 사브(SAAB)가 올랐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필리핀 군 당국은 최근 열린 하원 예산청문회에서 다목적 전투기 40대 구매 제안을 요청했다. 필리핀은 중거리 미사일과 첨단 전투기로 군을 업그레이드하고 싶어 한다. 길베르토 테오도로(Gilberto C. Teodoro Jr.) 필리핀 국방부 장관은 "필리핀이 영토 방위를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다목적 전투기 40대를 구매할 계획"이라며 "필리핀 의회 의원들에게 구매 제안을 요청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입찰자는 수 년에 걸쳐 분할 납부할 수 있는 자금 조달 패키지를 제안해야 한다. 구체적인 기종이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필리핀 국방부(DND)와 필리핀 공군(PAF)은 이전에 사브와 록히드마틴이 12~14대의 전투기 구매 계획에서 최종 후보에 올렸었다. 사브의 JAS 39 그리펜 E/F와 록히드마틴의 F-16 블록 70/72 바이퍼(Viper) 모델이 입찰에 참여한다. 필리핀 전투기 사업 입찰에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다쏘 항공도 참여한다. KAI의 KF-21 보
[더구루=김은비 기자] 포르쉐가 최고경영자(CEO) 교체 절차에 착수했다. 현직 CEO이자 폭스바겐그룹 수장을 겸임하고 있는 올리버 블루메가 포르쉐 경영 일선에서 한발 물러나 모회사인 폭스바겐 성장에 집중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포르쉐·피에히 가문과 폭스바겐 감독이사회, 노조 측은 블루메 후임 인선을 두고 막바지 논의를 진행 중이다. 후보군은 내부 경영진과 외부 전문경영인을 동시에 검토하고 있으며 올해 가을 최종 확정 뒤 내년 초 공식 교체가 이뤄질 것으로 전해졌다. 블루메 퇴진 배경에는 ‘겸임 체제’가 자리한다. 그는 지난 2022년 9월 포르쉐 기업공개(IPO) 직후부터 그룹과 브랜드 CEO를 동시에 맡아왔지만, 이중 리더십이 두 회사 모두의 전략 실행력을 저하시켰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됐다. 실제 포르쉐 주가는 상장 직후 폭스바겐 시가총액을 넘어섰으나, 블루메가 취임한 2022년 이후 45% 가까이 떨어졌다. 여기에 중국 내 수요 둔화, 전동화 전략 지연, 미국의 수입차 관세 변수 등 복합 위기까지 겹쳤다. 이로 인해 포르쉐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91.2% 급감하며 상장 후 최악의 성적표를 기록했다. 포르쉐의 모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이 북극 심해항 개발에 첫발을 내디뎠다. 북극 심해항은 희토류 광물 수송 등 미국의 핵심 광물 공급망 확보에 지역 거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8일 미국 국방부에 따르면, 미 육군공병대(USACE)는 최근 알래스카 놈(Nome) 항만 확장 프로젝트 1단계 공사를 위해 키위트 건설(Kiewet Construction)과 약 4억 달러 (약 55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키위트 건설은 항구에 1200피트(약 366m)의 방파제 연장부와 약 600피트(약 183m)의 부두를 건설한다. 후속 단계에서는 심수 정박지(deep-water basin)와 외항을 수심 -40피트(12.19m)까지 준설해 대형 선박의 접근성을 대폭 개선할 예정이다. 현재 놈 항만 입항은 선저 깊이가 18피트 미만인 선박으로 제한돼 있다. 이번 사업의 자금은 바이든 행정부 시절 발효된 ‘인프라 투자·일자리 법(IIJA,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 재원을 통해 조달된다. 내년 착공해 오는 2029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놈 항만은 베링해협 관문에 위치한 서부 알래스카의 보급과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