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이연춘 기자] 제일헬스사이언스는 비타민 라인업 ‘투엑스비 시리즈’의 새로운 제품인 ‘투엑스비트리플’이 출시 약 4개월만에 완판됐다. ‘투엑스비트리플’은 지난 6월 25일 출시되어 국내 약국으로 유통된 비타민 제품으로, 품절 기간 약 한 달 반의 기간을 포함해 출시 4개월 만에 물량 10만 개가 모두 완판을 기록했다. 26일 제일헬스사이언스에 따르면 이 제품은 B1에서 B12까지 활성형 및 비활성형의 다양한 비타민 B군 성분과 함께 비타민 C, D, E, 마그네슘, 아연, UDCA, COQ10, 타우린 등 다양한 기타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국내 최초로 B12 성분 3종을 함유한 것이 큰 특징이다. 또한 비타민 B군에서 다양한 활성형이 포함되어 있어 월등히 우수한 성분 구성을 자랑한다. 제품 대표 문구인 ‘강한 피로엔 강한 비타민’처럼, 육체적 피로뿐 아니라 신경 피로, 항산화, 간 건강까지 하루 한 알로 빠르게 효과를 볼 수 있다. 최준혁 제일헬스사이언스 매니저는 “올해 6월 출시 이후, 비타민 시장에서 많은 소비자와 약사님들로부터 복용과 효과 면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은 제품”이라며 “투엑스비트리플을 통해 겨울철 면역력이 떨어져 고민이 많은
[더구루=한아름 기자] GC녹십자가 혈액제제 알리글로의 북미 영토 확장을 위해 숀잼(Sean Zam) 전 화이자(Pfizer) 출신을 영입했다. 미국 시장에 처음 진출한 알리글로의 매출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GC녹십자는 향후 4년 내 매출 3억달러(약 4120억원) 이상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GC녹십자가 미국법인 GC바이오파마USA 영업책임자로 화이자, 그리폴스 등에서 영업 및 거래처 관리 업무 등을 총괄했던 숀잼 이사를 발탁했다. 숀 잼 영업책임자는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에서 광고커뮤니케이션 학사 학위를 취득한 후 세이트존스대학교에서 마케팅 MBA를 졸업했다.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에서 약 6년간 발기부전 치료제 비아그라(성분명 실데나필), 항생제 지스로맥스(성분명 아지스로마이신), 조현병치료제 세로켈(성분명 쿠에티아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넥시움(성분명 에소메프라졸) 등의 판매 마케팅을 챙겼다. 이후 2009년부터 그리폴스에서 근무하며 약 16년간 원발성 면역결핍증 치료제 면역글로불린, 저혈량증 치료제 알부민 등 혈액제제 분야에서 폭넓은 마케팅 경험을 토대로 북미 영업 및 마케팅을 총괄하는 등
[더구루=한아름 기자] CJ제일제당이 오스트리아 인증 기관으로부터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 'PHA'의 해양 생분해 능력을 인정받았다. 국내외 전문기관으로부터 연달아 관련 인증을 획득함에 따라 글로벌 사업 확대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CJ제일제당은 PHA는 다양한 소재와 혼합해 뛰어난 물성을 구현할 수 있어 '기존 플라스틱 완전 대체'를 목표로 하고 있다. 25일 오스트리아 생분해성 인증 기관 'TÜV 오스트리아'(TÜV Austria)에 따르면 CJ제일제당 자회사 CJ바이오머티리얼즈(CJ Biomaterials)를 통해 개발된 빨대 컴파운드 'CB0400A'가 '오케이 바이오디그래더블 마린'(OK Biodegradable Marine) 인증을 받았다. TÜV 오스트리아는 지난 1972년 설립된 국제 생분해성 시험·검사 기관으로, △제품 △시스템 등에 대한 안전 및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인증 서비스를 제공한다. 오케이 바이오디그래더블 마린은 원재료는 물론, 제품 생산 과정 및 분해까지 모두 친환경적인 제품에만 부여한다. CJ제일제당은 빨대로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비결정형 aPHA(amorphous PHA) △반결정형 scPHA(semi crystalli
[더구루=한아름 기자] 중국 생명공학회사 에베레스트 메디신(Everest Medicines)의 원발성 면역글로불린A 신장병증(IgA) 치료제 '네페콘'(Nefecon·성분명)이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로부터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 향후 건보 혜택을 받고 환자 접근성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SK바이오팜이 유럽 파트너사 안젤리니 파마(Angelini Pharma)와 함께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유럽 제품명 온투즈리) 영토 확장에 나선다. 세노바메이트를 투약한 유럽 환자의 실제 경험담을 담은 데이터를 발표한다. 이를 통해 유럽 시장에서 세노바메이트의 인지도와 경쟁력을 끌어올린 다음 미진출국 개척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24일 안젤리니 파마에 따르면 내년 SK바이오팜의 세노바메이트 관련 환자 경험 조사(Patient Reported Exprience Measure·PROM)과 환자 치료결과 조사(Patient Reportd Outcome measure·PREM) 데이터를 공개한다. PROM은 환자 관점에서 바라본 자신의 삶의질, 병의 진행상황, 건강 SK상태 등을 평가하는 지표로, 약물 치료의 효과성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활용된다. PREM은 환자 관점에서 바라본 진료 기간 동안 일어났던 일을 수집·분석하는 지표로,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약물 투약 등의 적시성 등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이는 SK바이오팜이 안젤리니 파마와 함께 지난 3년간 유럽에서 세노바메이트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노력해 온 결과다. 양사는 설문 조사, 인
[더구루=한아름 기자] 셀트리온이 국제암관리연합(UICC)과 함께 암 치료법에 대한 최신 정보를 제공하고 경쟁력 강화에 팔을 걷었다. 셀트리온은 앞으로 암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 개발에 적극 나서 암 정복을 앞당기고 글로벌 제약·바이오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23일 UICC에 따르면 셀트리온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암 인식 개선 캠페인 '리라이팅 캔서'(Rewriting Cancer)를 진행했다. UICC는 지난 1933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설립된 세계 최대 규모의 암 퇴치 기구로, 전 세계 170여개국의 △암 연구 관련 학회 △보건당국 △제약사 △환자 단체 등 약 1200개가 가입해 있다. 암 치료 교육 및 최신 연구 동향 공유, 공동 연구개발·협력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한다. 서정진 회장이 캠페인 전면에 나서 암 정복에 대한 셀트리온의 헌신과 노력을 강조했다. 서 회장은 셀트리온의 연구 역량을 소개하고 암 환자가 필요로 하는 바이오시밀러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겠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서 회장은 "오리지널 약물 대비 가격이 저렴한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함으로써 환자가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을 기회를 제공해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며 "
[더구루=한아름 기자] 고한승 대표가 이끄는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올해 25건의 글로벌 송사에 진땀을 흘리고 있다. 계속되는 소송 리스크에 경영 활동이 위축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적지않다. 소송 장기화로 사법리스크가 불거지면서 전반적으로 어수선한 분위기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혹여나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판단에 특별한 입장도 없다. 2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글로벌 곳곳에서 25건의 법적 분쟁에 휩싸여 있다. 소송 건수는 지난해 10건 보다 두배 이상 증가했다. 절반 이상은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직접 도했다. 총 25건의 소송 중 14건이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제기했으며, 나머지 11건은 피소됐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법무팀, 대외협력(CR)팀 등을 운영하며 리스크 관리에 애쓰고 있다. 다만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특허 소송 특성상 장기화해 막대한 법률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미국 바이오기업 리제네론(Regeneron)과 특허 다둠이 주요 소송으로 꼽힌다. 황반변성 치료제 '아일리아'(성분명 애플리버셉트)을 두고 8건의 소송전이 진행 중이다. 이밖에 미국 알렉시온(Alexion)과 야간혈색소뇨증(PNH) 치료제 '솔리
[더구루=한아름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조사에서 1위를 차지했다. 셀트리온, 유한양행이 뒤를 이었다. 22일 한국기업평판연구소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이달 브랜드평판지수가 1696만을 달성하며 제약 상장기업 129곳 중에서 1위에 올랐다. 이번 순위는 지난달 15일부터 한달간 제약 상장기업 129곳의 빅데이터 6555만건을 분석해 소비자와 브랜드 간 관계 분석을 한 결과를 토대로 한 결과다. 소비자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눠 분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참여지수 33만6676 △소통지수 22만5156 △커뮤니티지수 112만6817 △시장지수 1528만1035로 집계됐다. 지난달보다 브랜드평판지수 2.5% 증가하며 탄탄한 입지를 다졌다. 2위 셀트리온은 브랜드평판지수는 지난달보다 9.3% 줄어든 1045만8395로 드러났다. 참여지수 87만9309 △소통지수 52만8001 △커뮤니티지수 86만5238 △시장지수 818만5847로 집계됐다. 유한양행의 브랜드평판지수는 484만7460로 3위에 랭크됐다. 지난달보다 20.3% 하락한 수치다. 유한양행은 △참여지수 121만2615 △소
[더구루=김형수 기자] 씨젠이 'K진단키트 대표주자'로 부동의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차별화된 기술력을 토대로 글로벌 보건 비상사태에 발빠르게 대응하며 K진단키트 시장을 선도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22일 영국 시장조사기관 글로벌데이터(GlobalData)는 국내 PCR(종합효소연쇄반응) 진단키트 시장이 오는 2033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5.0%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PCR을 포함한 국내 분자진단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1억5227만달러(약 2130억원)다. 감염성 질병 발병 증가,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 기술에 대한 수요 증대 등이 시장 성장 요인으로 꼽힌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 2020년 3월 코로나19 팬데믹을 선언한 데 이어 지난 8월 엠폭스(MPOX·원숭이두창)에 대해 최고 수준의 보건 경계태세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하면서 국제사회의 경각심이 고조되고 있는 것도 영향을 미칠 것이란 평가다. 글로벌 데이터는 씨젠을 국내 PCR시장을 이끌 핵심 기업으로 선정했다. 씨젠은 WHO의 엠폭스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 선언 직후 PCR 검사시약 공급에 나서며 엠폭스 대응에 앞장서고 있다. 지난 8월 말 기존에
[더구루=이연춘 기자] 바이오빌이 젬백스 및 개인을 상대로 제기한 부당이득금, 손해배상 소송 중 일부 승소했으나 일부는 패소하는 결과를 얻었다. 1심 재판부는 젬백스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건에 대해 원금과 이자를 지급하라는 판결내렸으나, 젬백스 외 개인 피고에 대한 부당이득과 손해배상 청구에 대해서는 기각해 김상재 젬백스 회장 외 6인은 사실상 이에 대한 법적책임에서 벗어나게됐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제29민사부는 지난 21일 바이오빌이 젬백스 및 김 회장 등 6명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했다. 재판부는 젬백스 측에 175억원과 2012년 6월 25이런 부터 판결 이행일까지 연 5%의 이자(108억원)를 포함해 총 283억원을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다만 바이오빌이 청구한 손해배상 중 주당 취득가격(1만1200원)과 법원 감정인의 주식 평가 가액(주당 6732원)의 차액에 해당하는 112억원 및 젬백스 외 개인 피고에 대한 부당이득과 손해배상 부분은 기각했다. 이 같은 1심 재판부의 판단에 따라 바이오빌은 일부 승소하며 배상액 수령과 관련된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됐다. 김 회장 역시도 개인 피고에 대한
[더구루=김형수 기자] 대웅제약이 인도네시아 인력 채용에 팔을 걷었다. 품질, 생산, 인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수 인력을 모집하고 현지 사업을 확대하기 위한 대웅제약의 행보로 분석된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지난 15일부터 이틀 동안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보고르(Bogor)에서 진행된 'IPB 취업박람회'에 참가했다. 취업박람회 현장에 부스를 설치하고 △품질 보증 △품질 관리 △생산 △인사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인력을 모집한다. 이번 채용을 통해 입사한 사람들은 대웅제약 현지 법인 대웅바이오로직스인도네시아(Daewoong Biologics Indonesia), 현지 의약품 제조 및 판매 계열사 셀라톡스 바이오파마 인도네시아(Selatox Bio Pharma Indonesia), 현지 지사 대웅 파마슈티컬 컴퍼니 인도네시아(Dawoong Pharmaceutical Company Indonesia) 등에서 근무하게 된다. 인도네시아 줄기세포 생산 기지를 조성한 대웅제약이 현지 사업 역량 제고를 위해 우수 인재 확보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9월 인도네시아 치카랑 자바베카 산업단지 내 대웅제약 줄기세포 공장이 현지 식약처로부터 GMP 인증을 획
[더구루=김형수 기자] 대웅제약이 올해 실적 우상향에 일등 공신 보툴리눔톡신 '나보타(미국제품명 주보)'의 해외 성장에 함박웃음이다. 미국 파트너사 에볼루스(Evolus)가 멤버십 프로그램을 론칭하고 현지 보툴리눔 톡신 시장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보툴리눔 톡신 '주보'(JEUVEAU) 현지 판매 확대에 따라 고스란히 대웅제약 해외 매출이 증가가 기대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에볼루스는 이달 미국에 구독형 멤버십 프로그램 '클럽 에볼루스'(Club Evolus)를 론칭했다. 락인효과(소비자를 특성 제품·서비스 등에 붙잡아 두는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구독 서비스 형태로 기획한 것으로 풀이된다. 클럽 에볼루스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가입할 수 있다. 클럽 에볼루스는 매달 49달러(약 6만8300원)를 지불하면 90일에 한번씩 주보 20유닛으로 구성된 시술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유닛당 주보 가격이 약 13달러(약 1만8100원)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클럽 에볼루스 가입 시 시술 1회당 약 113달러(약 15만7500원)를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클럽 에볼루스 회원은 가까운 진료소를 방문해 주보 시술을 받을 수 있다. 현재 미국에 자리한 10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모바일 게임 시장이 다운로드 수 정체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용자당 평균 수익(ARPU)을 기반으로 아시아 2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충성도 높은 이용자 기반과 효과적인 수익화 전략이 일본 시장의 강점이자 한계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