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금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은 가격도 들썩이고 있다. 이에 은과 관련된 주식 종목도 주목 받고 있다. 20일 미국주식 종합 정보사이트 마켓비트(MarketBeat)는 주목할만한 은 관련 주식으로 팬 아메리칸 실버(Pan American Silver)와 포투나 실버 광산(Fortuna Silver Mines)을 꼽았다. 팬 아메리칸 실버는 다양한 산업군에 은을 공급하는 업체로 미주, 페루, 아르헨티나, 캐나다, 볼리비아 전역에서 은 광산을 탐사·개발·운영하고 있다. 팬 아메리칸 실버는 지난해 4분기 480만 온스의 은을 채굴했으며 지난해 총 채굴량은 2040만 온스에 이를 전망이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6억6960만 달러(약 9200억원)를 기록했으며, 연간 매출은 23억 달러(약 3조1700억원)에 달했다. 팬 아메리칸 실버는 금도 채굴하고 있다. 지난 한 해 동안 총 88만2900온스의 금을 채굴했으며, 지난해 4분기 267.8온스의 금을 채굴한 야마나 골드(Yamana Gold) 인수도 마무리했다. 포투나 실버 광산은 라틴아메리카와 서아프리카 중 특히 아르헨티나, 페루, 멕시코, 코트디부아르, 부르키나파소에서 은·귀금속 광산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국투자증권이 올해 1분기 베트남에서 우수한 사업 실적을 거뒀다. 이를 바탕으로 올해 베트남 증권시장 점유율 상위 10위권 내로 진입한다는 각오다. 한국투자증권 베트남 법인인 KIS 베트남은 18일(현지시간) 올해 1분기 영업수익 6032억3000만 동(약 33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한 수치로 세후이익은 전년 대비 96% 증가한 1545억 동(약 80억원)을 기록했다. 비용을 공재한 중개업 수수료는 전년 대비 146억 동(약 8억원) 증가했으며, 마진 대출과 이에 따른 이자 수입은 468억 동(약 25억원) 증가했다. 자체 거래 활동과 유가증권 및 워런트 거래로 인한 이익은 작년보다 530억 동(약 30억원) 늘어났다. 올해 1분기 말 기준 KIS 베트남의 대출 잔액은 8조1016억5000만 동(약 44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21% 증가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했을 땐 52.4% 증가한 수치다. KIS 베트남은 올해 정기주주총회를 통해 베트남 증권시장 점유율 상위 10위권 진입을 공식화 한다는 계획이다. 세전이익 목표치는 6782억 동(약 370억원)으로 설정할 방침이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2010
[더구루=홍성환 기자] '돈나무 언니'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캐시 우드의 주력 상장지수펀드(ETF)가 '테슬라 쇼크'의 직격탄을 맞았다. 글로벌 전기차 성장세 둔화로 테슬라 주가가 급락한 데 따른 것이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국투자증권 베트남 법인이 대규모 개발자 채용에 나섰다. IT 부문 강화 차원으로 해석된다.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국투자증권 베트남 법인인 KIS 베트남은 최근 개발자 채용 공고를 내고 IT 부문 강화에 나섰다. 지원자는 전문적인 업무 환경과 외국어에 익숙해야 하며 증권, 금융, 은행 관련 프로그래밍 지식을 갖춰야 한다. 또한 자바(Java)와 노드JS(NodeJS) 중 하나의 언어를 마스터 해야 하며 REST API와 테스트 프레임워크를 다룰 줄 알아야 한다. KIS 베트남은 개발자 채용 후 전문 교육 과정을 거쳐 직무 능력을 향상 시킨 후 근무 현장에 투입시킨다는 계획이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2010년 현지 법인을 설립하며 베트남 시장에 첫발을 내디뎠다. 이후 브로커리지와 IB(투자은행), 파생상품운용 등 다양한 수익원을 확보하며 베트남 종합증권사로의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KB증권 베트남(KBSV)이 올해 총영업이익 목표를 14% 상향했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KB증권 베트남은 올해 총영업이익 목표치를 6830억 동(약 380억원)으로 설정했다. 이는 지난해 총영업이익 5968억 동(약 330억원)보다 14% 높은 수치다. 올해 세전이익은 2970억 동(약 160억원)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세전이익 2987억 동(약 165억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이에 대해 KB증권은 "자본금 추가 확보 계획은 없으며, 현지법령에 의거하여 주주총회 이후 임의적립금 중 일부를 자본금으로 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KB증권 베트남은 전문철 법인장을 법률대리인이자 사장으로 선임했으며, 노종갑 KB증권 글로벌사업본부장과 최윤선 KB증권 베트남 최고재무책임자(CFO)를 신임 이사회 후보로 포함 시켰다. KB증권은 지난 2017년 현지 증권사 마리타임증권을 인수하며 베트남 시장에 진출했다.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며 베트남 하노이증권거래소(HNX) 시장 점유율 톱10에 진입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사모펀드(PEF) IMM인베스트먼트가 배터리 서비스 플랫폼 리뉴언스(Renewance)에 투자했다. IMM인베스트먼트 홍콩법인은 11일 리뉴언스의 시리즈A 자금조달 라운드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는 IMM인베스트먼트와 록크릭이 공동으로 주도했다. 기존 투자자인 에버그린클리메이트이노베이션도 참여했다. 구체적인 투자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리뉴언스는 미국 시카고에 본사를 둔 스타트업이다. 에너지저장장치, 전기자동차 등을 위한 배터리 수명주기 서비스를 제공한다. 리뉴언스는 "이번 투자 유치는 회사의 중요한 이정표"라며 "배터리 수명주기 관리, 지속가능성 촉진, 고객·파트너를 위한 가치 창출에 중점을 둘 것"이라고 전했다. IMM인베스트먼트는 에너지 전환 기술기업에 대한 투자에 지속해서 나서고 있다. 지난해 최대 3억 달러(약 3960억원) 규모로 IMM클린에너지트랜지션펀드(IMM Clean Energy Transition Fund) 2호를 조성했다. IMM인베스트먼트는 앞서 지난 2021년 1억5000만 달러 규모로 IMM클린에너지트랜지션펀드 1호를 조성한 바 있다. 한국 투자자들이 80% 이상 출자했고, 홍콩·싱가포르 투
[더구루=홍성환 기자] 영국 푸르덴셜그룹 계열 부동산 자산운용사 M&G리얼에스테이트가 서울 강남구 소재 오피스 빌딩을 매각했다. 최근 미국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으로 시장 금리가 하락하면서 수익성 높은 상업용 빌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모습이다.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M&G리얼에스테이트는 서울 강남구 역삼동 선릉역 인근에 위치한 사무실 건물인 아이콘역삼빌딩을 2043억원에 매각했다. 이는 지난 2020년 인수가 대비 44% 많은 액수다. 아이콘역삼빌딩은 2017년 준공된 신축급 건물이다. 지하 7층~지상 15층, 전체면적 1만9600㎡ 규모다. 앞서 캐피탈랜드투자운용은 2017년 펀드를 활용해 아이콘역삼을 매입했다. M&G리얼에스테이트는 2020년 9월 해당 펀드의 수익증권을 인수하는 셰어딜(Share Deal) 방식으로 투자했다. 최근 서울 주요 지역 오피스 임대료가 오름세를 보임에 따라 오피스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글로벌 부동산 컨설팅 업체 컬리어스의 2023년 1분기 국내 오피스 임대차 시장 보고서를 보면 서울 주요 권역 A등급 오피스 평균 공실률은 2%대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1분기 평균 임대가는 인플레이션과 프라임급
[더구루=정등용 기자] 전 세계적인 억만장자로 유명한 켄 그리핀이 아마존 주식을 추가 매입했다. 아마존이 클라우드와 이커머스 플랫폼에서 AI(인공지능) 리더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켄 그리핀의 시타델(Citadel) 헤지펀드는 아마존 주식에 대한 투자를 세 배 이상 늘렸다. 시타델 포트폴리오는 AI 주식으로 가득 차 있으며 절반 이상이 상위 50개 보유 종목에 포함돼 있다. 특히 아마존은 지난해 말 기준 시타델의 4번째로 큰 보유 종목이다. 지난해 4분기에만 아마존 주식 432만 주를 매입해 보유 지분을 227% 가까이 늘렸다. 그리핀은 오랫 동안 아마존에 관심을 가져왔다. 지난 2013년 2분기 아마존 주식에 처음 포지션을 시작한 이후 같은 해 3분기 97% 가량을 매각했다. 하지만 다시 아마존 지분을 늘렸으며 지난 2016년 4분기에는 아마존 주식을 전량 매각했다. 그리핀은 지난 2017년 1분기 아마존 주식을 다시 매입했으며 그해 남은 기간 동안 아마존 지분을 추가로 늘렸다. 이 기간 동안 그리핀은 막대한 수익을 올렸다. 아마존 주가는 시타델 포트폴리오에 편입된 첫 번째 기간 동안 200% 이상 급등했다. 두 번째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투자 전문매체 더 모틀리 풀(The Motley Fool)이 현재 500달러로 매수할만한 배당주 3선을 선정·공개했다. 10일 더 모틀리 풀에 따르면 이번 배당주 3선 명단에는 홈디포(Home Depot)와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맥코믹(McCormick)이 포함됐다. 더 모틀리 풀은 홈디포에 대해 라이벌 업체인 로우스(Lowe's)보다 수익성이 높은 업체라고 평가했다. 특히 시장 호황기와 불황기에 더 빠른 속도로 매출을 확장한다고 분석했다. 또한 인상적인 현금 흐름을 창출하고 투자 자본에 대한 높은 수익률을 보인다고 강조했다. 홈디포는 넉넉한 배당금을 제공한다. 투자자는 홈디포 주식을 통해 2.2%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지만 로우스의 경우 수익률이 1.8%에 불과하다는 게 더 모틀리 풀 설명이다. 다만 홈디포는 금리 변동과 주택 시장 전반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하지만 홈디포는 모든 유형의 경제 사이클을 성공적으로 관리해오며 검증된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이 같은 안정성이 향후 몇 년 동안 주주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주식은 1% 미만의 비교적 낮은 배당 수익률을 지급한다. 그러나 배당금
[더구루=홍성환 기자]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해서웨이가 올해 첫 사무라이본드 발행에 나섰다. 일본이 마이너스 금리를 해제했음에도 엔화 약세가 이어짐에 따라 자금 조달 이점에 여전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9일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버크셔해서웨이는 엔화 표시 채권 발행을 준비 중이다. 버크셔해서웨이가 실제 사무라이본드를 발행하면 일본의 금리인상 이후 첫 번째 비금융사 발행이다. 사무라이본드는 외국 정부나 기업이 일본 내 투자자를 대상으로 일본에서 발행하는 엔화 표시 채권이다. 원리금 상환과 지급은 엔화로 계산하며, 이율은 일본 국채금리를 기준으로 한다. 초저금리와 역대급 엔저가 장기화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사무라이본드 발행 수요가 늘었다. 버크셔해서웨이는 그동안 사무라이본드를 적극적으로 발행했다. 앞서 작년 6월 11억 달러 규모로 엔화 채권을 발행했고, 작년 11월에도 8억300만 달러 규모로 사무라이본드를 찍었다. 최근 일본 중앙은행이 마이너스 금리를 해제했음에도 엔화 약세가 지속하고 있다. 앞서 일본은행은 지난달 금융정책결정 회의에서 마이너스 금리를 해제했다. 1990년대 거품경제 붕괴 이후 ‘잃어버린 30년’이라는 장기
[더구루=홍성환 기자] 싱가포르 자산운용사 케펠(Keppel)이 그린빌딩 재건축 등 도시 재생 사업에 투자하는 펀드를 조성했다. 한국 기관투자자 다수가 자금을 댔다. 케펠은 한국 기관투자자의 자본을 유치해 KSURF(Keppel Sustainable Urban Renewal Fund)의 1차 마감을 완료했다고 9일 밝혔다. 구체적인 투자자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로써 케펠이 운용하는 지속가능한 도시 재생 전략의 총 관리기금은 17억 달러(약 2조3000억원)에 이르게 됐다. KSURF는 한국과 싱가포르, 일본, 호주, 중국 1선 도시 등 지역의 상업시설, 생활시설, 생명공학시설, 숙박시설, 물류시설 등 고품질 자산에 투자한다. 건물을 인수한 뒤 그린빌딩으로 재개발해 부동산 가치를 높이는 전략으로 운용된다. 케펠에 따르면 건물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가운데 4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2050년까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연간 3% 이상 건물을 재개발해야 하는데, 현재 주요 도시의 재개발 비율은 1~2% 수준에 그친다. 케펠은 싱가포르 대기업으로 부동산, 인프라 및 자산 관리 사업을 전문으로 하는 여러 계열사로 구성돼 있다. 그동안 여의도 파이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일본 합작법인 글로벌X 재팬이 ETF 상장 건수 4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현지 투자자의 다양한 요구에 적극적으로 부응한 결과란 분석이 나온다. 글로벌X 재팬은 8일(현지시간) 일본 도쿄증권거래소에 신규 상장한 ETF 수가 4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글로벌X 재팬은 현재까지 총 39개의 ETF를 상장했으며 지난해에만 12개의 ETF를 신규 상장했다. 글로벌X 재팬은 지난 2019년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미국 ETF 운용 자회사 글로벌X와 일본 다이와증권그룹이 합작해 설립된 일본 유일의 ETF 전문 운용사다. 지난 2020년 8월에는 ‘글로벌 X MSCI 슈퍼디비던드 일본 ETF’를 첫 상장했다. 일본 ETF 시장은 약 60조 엔(약 535조원) 규모로 TOPIX(토픽스), Nikkei225(니케이225) 등 지수추종형 ETF가 전체의 85%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X 재팬은 설립 당시부터 테마·인컴형 ETF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테마형과 인컴형, 코어형 등 ETF에 주력해왔다. 대표 상품으로는 글로벌 반도체 시장을 이끄는 일본 반도체 장비·소재 기업에 투자하는 ‘글로벌X 일본 반도체 ETF’와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모바일 게임 시장이 다운로드 수 정체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용자당 평균 수익(ARPU)을 기반으로 아시아 2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충성도 높은 이용자 기반과 효과적인 수익화 전략이 일본 시장의 강점이자 한계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