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을 비롯한 한국 금융사들이 영국 런던에 위치한 오피스 빌딩에 자금 투입을 확대하고 있다. 총 규모만 3억5000만 파운드(약 5527억 원)에 이른다. 24일 영국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미래에셋과 NH인베스트먼트는 발레스코의 자문을 받아 런던에 위치한 28만7000 SF 규모의 ‘캐논 브리지 하우스(Cannon Bridge House)’에 1억4900만 파운드(약 2354억 원)의 대출을 실행했다. 해당 건물은 지난 2018년 2억4800만 파운드(약 3918억 원)에 매입됐으며 독일 금융사인 아레알(Aareal)이 대출을 제공했다. 아레알은 다음 달 만기 예정이었던 대출을 1년 연장했다. 삼성SRA자산운용도 런던에 자리한 38만5000 SF 규모의 ‘200 앨더스게이트(200 Aldersgate)’에 2억 파운드(약 3160억 원)의 대출을 3년 연장하는 데 동의했다. 이 건물은 지난 2018년 3억1500만 파운드(약 4976억 원)에 매입됐으며 미국 누빈(Nuveen) 자산운용이 대출을 지원한 바 있다. 두 건물 모두 이미 부동산 시장에 매물로 나오기도 했다. 캐논 브리지 하우스는 지난 2021년 3억2000만 파운드(
[더구루=최영희 기자] 신성이엔지는 분당 본사에서 ‘제44기 정기 주주총회’를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날 주주총회에서는 △재무제표 승인 △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입 승인 △정관 변경 승인 △사내이사 선임 등에 대한 의결이 진행됐다. 먼저 2022년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가 승인됐다.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6641억원, 210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46%, 781%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343억원으로 흑자전환 했다. 국내 반도체 전방 산업과 2차전지 산업에서의 글로벌 투자가 확대되며 클린환경(CE) 사업부문서 수주가 크게 늘었다. 재생에너지(RE) 사업부문 역시2015년 이후 7년 만에 흑자로 돌아섰다. ‘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입의 건’ 안건이 통과됐다. 상법 제460조에 따르면, 자본준비금을 활용해서 결손금을 보전할 수 있도록 정하고 있다. 신성이엔지의 지난해 말 기준 결손금은 약 1113억원으로 자본 항목 내 자본준비금(기타불입자본) 1831억원 중 일부를 활용해 결손금을 전액 보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향후 당기순이익이 발생할 경우 배당 가능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안건이 통과된 만큼 올해 경영성과를 냄과 동시에 주주환원 정책을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화투자증권 베트남법인 파인트리증권이 테마형 투자 상품을 새롭게 선보였다. 투자 상품을 다양화하며 현지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파인트리증권은 특정 테마에 투자하는 상품인 '파인폴리오(PineFolio)'를 출시했다고 24일 밝혔다. 파인트리증권은 우선 친환경 소비·먹거리와 베트남 경제 성장 등에 초점을 맞춘 투자 상품 2종을 내놨다. 파인트리증권은 "장기적인 성장 기회와 합리적인 자산 배분, 적절한 투자 자본을 위해 파인폴리오를 선보였다"며 "글로벌 경제는 그 어느 때보다 복잡해지고 연결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맞춰 투자 전략도 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파인트리증권은 최근 특정 대기업 채권에 투자하는 상품인 '파인비(PineB)' 선보이는 등 투자 상품을 다양화하며 현지 투자자 공략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한화투자증권은 지난 2019년 온라인 전문 증권사 HFT증권을 인수하며 파인트리증권을 설립했다. 설립 이후 지속적인 실탄 충전을 통해 영업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웹툰·웹소설 플랫폼 기업 미스터블루가 일본 아마존 웹툰서비스 ‘아마존 플립툰(Amazon Fliptoon)’에 웹툰을 독점 공급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에 미스터블루가 아마존 플립툰에 제공하는 작품은 로맨스 장르 11개이며 약 400화에 달한다. 지난 2020년부터 자체 IP(지식재산)를 활용해 픽코마, 라인망가 등의 플랫폼에 무협 만화를 서비스한 이후 로맨스 웹툰으로 장르 확장에 성공했다. 미스터블루 관계자는 “현재 국내 플랫폼에서 서비스 중인 일부 작품에 대해 아마존 플립툰과 독점 공급 계약을 완료했다”며 “번역, 채색 등 현지화 작업을 마치는 대로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무협, 로맨스 장르뿐 아니라 다양한 장르에서 양질의 콘텐츠를 발굴해 4조원 규모의 일본 디지털 만화 시장을 공략하겠다”며 “보유하고 있는 무협 작품들의 해상도를 높이고 컬러 보정 등을 통해 검증된 IP를 유용하게 활용할 방법들을 모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마존은 스마트폰에 최적화된 웹툰서비스 아마존 플립툰을 지난 7일 일본에서 출시했다. 아마존 플립툰은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앱) 설치 없이 웹 브라우저 상에서 실행할 수 있다. 아마존 플립
[더구루=홍성환 기자]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의 후계자인 그렉 아벨 버크셔해서웨이 부회장이 약 320억원 규모로 자사주를 매입했다. 책임 경영을 강화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24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그렉 아벨 부회장은 지난주 버크셔해서웨이 클래스A 보통주 55주를 매수했다. 매수액은 한 주당 44만7259.99달러로, 총 2460만 달러(약 320억원) 수준이다. 이에 그렉 아벨이 보유한 자사주는 228주로 늘었다. 지분 가치는 23일 종가(45만2750.00달러) 기준 1억300만 달러(약 1320억원)에 이른다. 이는 책임 경영 강화의 일환이다. 앞서 워런 버핏은 최근 주주 서한에서 "우리의 미래 CEO는 자신의 순자산의 상당 부분을 투자해 버크셔해서웨이 주식을 보유하게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아벨은 버핏의 후계자로 지목된 인물인다. 버핏은 지난 2021년 연례 주주총회에서 "만약 오늘 밤 나에게 무슨 일이 일어난다면 내일 아침 그렉이 내 업무를 인수할 것이라는 데 의견을 함께 하고 있다"고 말했다. 버핏의 오른팔인 찰리 멍거 부회장도 "그렉이 (버크셔해서웨이의) 문화를 지킬 것"이라고 전했다. 아벨은 버크셔해서웨이가
[더구루=최영희 기자] 엔케이맥스 미국 자회사가 뉴욕증권거래소(NYSE) 상장을 본격화한다. 상장 시 국내 바이오텍으로는 첫 번째 NYSE 상장 사례가 된다. 엔케이맥스는 미국 자회사 엔케이젠바이오텍(NKGen Biotech)이 Graf Acquisition CORP ⅳ(NYSE:GFOR, 이하 그라프)와 인수의향서(Letter of Intent·LOI)를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그라프는 비상장 기업 인수를 목적으로 NYSE에 상장된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이하 스팩)다. 대표이사 제임스 그라프(James Graf)는 스팩 시장 베테랑으로 라이다 센서 전문기업 벨로다인(Velodyne Lidar)의 스팩합병 상장을 이끌었다. 이번에는 합병을 위한 유망 비상장 기업으로 엔케이젠바이오텍을 택했다. 엔케이젠바이오텍은 그라프와의 인수합병을 통해 올해 3분기 NYSE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엔케이젠바이오텍은 엔케이맥스의 NK세포치료제 ‘슈퍼NK’(SNK)의 미국 임상을 주도하고 있다. 미국에서 육종암에 대한 SNK01 임상 1상을 머크 및 화이자와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또한 알츠하이머 임상 1상 등 뇌신경질환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아울러…
[더구루=정등용 기자]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이 멀티플랫폼 미디어 업체 매크로(MACRO)에 투자했다. 블랙록은 유색인종 콘텐츠 제작에 초점을 맞춘 매크로의 사업 방향에 높은 점수를 부여했다. [유료기사코드] 매크로는 23일 블랙록이 주도한 소액 투자 라운드를 통해 9000만 달러(약 1152억 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 라운드에는 하버뷰 에쿼티 파트너스와 에머슨 콜렉티브, AMC 네트워크, 에센스 벤처스, MNM 크리에이티브 같은 기관투자자 외에 레이몬드 J. 맥과이어, 안드레 윌리엄스, 클라라 우 등 개인 투자자도 대거 참여했다. 블랙록은 매크로의 유색인종 콘텐츠에 주목했다. 매크로는 그동안 흑인을 비롯한 유색인종 관련 TV·영화 콘텐츠를 제작하면서 업계 내 확고한 입지를 구축해왔다. 특히 블랙록은 미국 내 흑인계과 라틴계, 아메리카 원주민 커뮤니티에 중점을 두고, 유색인종이 소유한 기업 및 프로젝트에 투자함으로써 새로운 투자 기회를 모색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팸 챈 블랙록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매크로 경영진과 협력해 미디어 업계 전반에 유색인종의 대표성을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2015년 설립된 매크로는 유색인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래에셋증권이 올해 베트남 사업 실적 목표를 보수적으로 잡았다. 글로벌 경제 상황의 불확실성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데 따른 것이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 베트남법인은 올해 세전이익 목표를 전년 대비 3.1% 증가한 8520억 동(약 470억원)으로 설정했다. 영업이익 목표는 4.6% 늘어난 2조7630억 동(약 1530억원)을 제시했다. 미래에셋증권 베트남법인은 "올해 상반기 글로벌 경제 여건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미국 경기 침체가 우려되는 만큼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경제 연착륙을 위해 금리 운용에 큰 변화를 주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올해 중국 재개방은 하반기 베트남 수출과 관광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베트남 거시 경제는 지난해보다 나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국내외 투자 흐름도 개선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금융·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도 해소되고 유동성도 다시 풍부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래에셋증권 베트남법인은 지난해 2조6400억 동(약 1460억원)의 영업이익과 8260억 동(약 460억원)의 세전이익을 기록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 글로벌X가 디파인 아웃컴(Defined Outcome) ETF 2종을 출시했다. 글로벌X는 22일 ‘글로벌X S&P 500 쿼터리 버퍼 UCITS ETF(Global X S&P 500 Quarterly Buffer UCITS ETF·SPQB)’와 ‘글로벌X S&P 500 태일 헤지 UCITS ETF(Global X S&P 500 Quarterly Tail Hedge UCITS ETF·SPQH)’를 공개했다. SPQB는 매 분기 S&P 500 손실의 첫 5%를 흡수하는 동시에 투자자에게 상한선까지 자본 성장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투자자는 S&P 500 성장에 참여할 수 있고 제한적인 매도에 대한 우려가 있을 경우 주식 위험과 변동성을 제한할 수도 있다. SPQH는 투자자에게 S&P 500 지수의 첫 3% 손실 이후 9%의 버퍼를 제공한다. 잠재적으로 12%의 손실을 커버하는 동시에 최대 한도까지 자본 성장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투자자는 S&P 500 성장에 참여하는 동시에 대규모 매도세가 발생할 경우 하락을 억제할 수 있는 기회를 늘릴 수 있다. 한편, 글로벌X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지난해 미국 증시 상장에 실패한 이스라엘 온라인 투자 플랫폼 이토로(eToro)가 약 3300억원의 신규 자금을 조달했다. 암호화폐 사업 확대와 글로벌 시장 진출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이토로는 신규 자금조달 라운드를 통해 2억5000만 달러(약 326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자금조달에는 소프트뱅크과 아이온그룹, 스파크캐피탈, 벨벳시벤처스 등이 참여했다. 이는 앞서 미국 증시 기업공개(IPO) 추진 당시 맺었던 투자 약정에 따른 것이다. 이번 라운드에서 기업가치는 35억 달러(약 4조5680억원)로 평가받았다. 이토로는 지난 2021년 3월 나스닥에 상장한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인 FTCV(FinTech Acquisition Corp V)와 합병 계약을 맺고 우회 상장을 추진했다. 애초 2021년 말 합병 완료가 목표였는데, 암호화폐 시장 위축과 스팩 규제 강화 등으로 합병 기한을 한차례 연기한 끝에 결국 작년 7월 상장 계획을 철회했다. 최초 기업가치를 104억 달러(약 13조5790억원)로 평가받았는데, 작년 초 88억 달러(약 11조4940억원)로 하락했고 현재는 현재 3분의 1…
[더구루=최영희 기자] KB자산운용이 21일 ‘KBSTAR 미국S&P500(H) ETF’를 상장했다. 최근 금리 인상 사이클이 마무리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며, 금리 하락에 베팅해 높은 자본차익을 거두고자 하는 투자자가 늘고 있다. ‘KBSTAR미국S&P500(H)ETF’는 원달러 환율 변동에 성과가 연동되는 부분을 최소화하면서 우량주를 대표하는 S&P500지수의 수익률을 추구할 수 있는 환헷지형 상품으로 원화가 강세일 경우 투자자에게 유리한 상품이다. 이번에 출시한 ‘KBSTAR미국S&P500(H)ETF’의 연간 총 보수는 0.021%로 전세계 최저수준이다. 이로써 전세계 최저보수 ETF는 총 6종으로, 기존에 출시된 KOSPI200, KOSPI200TR,은 한국시장에, ‘KBSTAR미국S&P500’, ‘KBSTAR미국S&P500(H)’, ‘KBSTAR미국나스닥100’은 미국시장에 ‘KBSTAREurostoxx50’은 유럽 시장에 전세계 최저보수로 투자가 가능하다. KB자산운용 ETF마케팅본부 금정섭 본부장은 “기존의 환노출 상품과 마찬가지로 환헷지 상품에서도 대표지수에 대한 저보수 전략은 유효하다”며, “향후
[더구루=최영희 기자] 삼성자산운용은 21일 미국 S&P500 섹터 ETF 4종을 새롭게 상장한다고 밝혔다. 신규 상장하는 ETF는 ▲KODEX 미국S&P500 금융 ▲KODEX 미국S&P500 헬스케어 ▲KODEX 미국S&P500 필수소비재 ▲KODEX 미국S&P500 경기소비재 총 4종이다. 미국 S&P500 섹터 ETF는 대표지수 투자와 개별주식 투자의 중간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 만큼 미국 대표지수인 S&P500의 주요 기업들에 효율적으로 분산 투자가 가능하면서, 동시에 투자자가 원하는 섹터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수 있다. 실제로 미국 S&P500 섹터 ETF는 경기순환 사이클에 따라 차별화된 움직임을 보이는 섹터들을 선택해 투자하는 로테이션 전략을 취할 수 있다. 경기가 조정·하락하는 추세에서는 헬스케어, 필수소비재 섹터가, 경기가 회복·상승할 때는 경기소비재 섹터가 차별적인 상승세를 기록했다. 이처럼 경기 국면에 따라 유망한 섹터, 투자자가 원하는 섹터에 집중 투자할 수 있다. 삼성자산운용은 국내 투자자들의 미국 투자 수요에 부응하고자, 미국 섹터 중 기존에 상장되어 있던 에너지, 산업재 섹터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기반 암 예측, 테스트 기술 개발기업 아르테라(Artera)가 존슨앤존슨 등으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아르테라는 존슨앤존슨, 코트, 코흐 디스럽티브 테크놀로지스, 월든 카탈리스트 벤처스, 타임 벤처스, 브라이어 캐피탈, 더 팩토리 등 7개 기관과 11명의 앤젤투자자들로부터 9000만 달러(약 1200억원)를 투자받기로 했다. 아르테라는 이와함께 아르테라AI 프로스테이트 테스트라고 불리는 국소 전립선암 치료 효과 테스트도 본격적으로 배포한다고 덧붙였다. 아르테라는 암환자 맞춤형 치료를 위한 AI 테스트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아르테라의 기술을 활용하며 국소 전립선 암 환자에 대한 개인화된 치료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아르테라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기반으로 아르테라AI 프로스테이트 테스트의 미국, 글로벌 배포에 속도를 낸다. 또한 다른 암에 대한 테스트 기술 개발에도 투입할 계획이다. 아르테라 관계자는 "미국 암 협회는 2023년에만 28만8000건 이상의 새로운 전립선암 사례가 발생하고 3만4000명 이상이 사망할 것으로 추정했다"며 "의사들은 아르테라의 테스트를 활용해 환자를 검사하고 예후
[더구루=김형수 기자] 중국 최고의 명주로 꼽히는 마오타이가 아이스크림 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다. 중국에서 마오타이를 비롯한 백주 시장이 위축되는 양상을 보이자 신사업 진출을 모색하는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마오타이는 지난해 5월 마오타이 아이스크림을 처음 론칭하고 젊은층 공략에 들어갔다. 오리지널, 매실맛, 바닐라맛 등 다양한 라인업을 구축했다. 중국 백주 시장 규모가 쪼그라들자 발빠르게 활로를 찾기위해 움직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중국 전체 백주 생산량은 지난 2016년 1358만톤을 기록한 이후 하락세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해 백주 생산량은 절반에 가까운 671만톤에 그쳤다. 6년 사이에 반토막이 났다. 지난 2016년 생산량이 전년 대비 22.2% 증가한 3만9312톤에 달했던 마오타이 생산량 증가세도 한풀 꺾였다. 이후 증가율은 △2017년 8.9% △2019년 16.0% △2019년 0.5% △2020년 0.6% △2021년 10.2% △2022년 2.7%를 기록했다. 마오타이는 모바일에 친숙한 젊은층을 겨냥한 공식 앱 i마오타이(i茅台)도 출시했다. 앱 내 플랫폼을 통하면 각종 한정판매 주류에 대한 예약, 주력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