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독일 에어택시 제조업체 릴리움(Lilium)이 자체 개발한 전기 수직이착륙 비행체(eVTOL) 전용 배터리 생산에 돌입했다. 에어택시 상용화에 속도를 높이는 모습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외항 중량화물 전문 해상 운송업체 청양해운이 네덜란드 해운업체와 중국 조선소에 중량물운송선을 주문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청양해운은 네덜란드 화물자동차운송업체 빅리프트해운(BigLift Shipping, 이하 빅리프트)과 함께 중국 징장난양조선소에 2만5000DWT급 중량물운반선(HTV) 2척 발주했다. 거래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HTV 2척 중 1척은 2025년 4분기에 청양해운에 인도되고, 또 다른 1척은 2026년 2분기에 빅리프트에 납품될 예정이다. 초대형 혹은 무거운 모듈식 화물을 전 세계적으로 운송하기 위해 주문한 선박은 청양해운과 빅리프트가 'BC-Class'로 공동 설계했다. 서비스 속도와 낮은 가속도, 최적화된 선적 및 하역 시간에 중점을 뒀다. 신조선 HTV는 길이 180m, 폭 43m, 총 화물데크 6020㎡에 초대형 및 중량 모듈을 운송하기 편하도록 설계, 건조된다. BC-Class급은 수심 12m, 최대 재하중량 2만5000mt이다. 로로(Ro-Ro) 또는 스키딩(Skidding) 방식으로 선미 또는 측면 위로 화물을 적재 및 하역할 수 있다. 청양해운 관계자는 "빅리프트와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하게 돼 매
[더구루=길소연 기자] 벨기에 위성 제조업체 '에어로스페이스랩'(aerospacelab)이 위성 기술 발전을 위해 미국 상업용 위성 항법 전문업체 '소나 스페이스 시스템즈'(Xona Space Systems, 이하 소나)의 신규 위성 항법 시스템을 활용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에어로스페이스랩은 고성능 항법 위성 시스템 서비스 제공업체인 소나와 위성 항법 시스템 혁신을 위한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이번 협력에 따라 에어로스페이스랩은 자사의 다목적 위성 플랫폼(VSP) 역량을 활용해 소나가 곧 출시할 위성 항법 시스템을 설계, 제조한다. 또 소나가 필요한 사업자 면허 취득을 지원하며, 2년 동안 발사 운영을 지원할 예정이다. 소나는 에어로스페이스랩의 플랫폼에 통합할 위치, 항법 및 타이밍(PNT) 페이로드를 제공할 예정이다. 양사의 파트너십은 다양한 페이로드를 수용할 수 있는 에어로스페이스랩의 능력과 위성 시스템 통합에 대한 전문성을 강조하고, 고객에게 맞춤형 위성 솔루션을 제공한다. 티나 가토어(Tina Ghataore) 에어로스페이스랩의 최고 전략 및 매출 책임자는 "소나와의 협력은 위성 항법 분야의 전반적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며 "우리는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미국법인인 '슈퍼널'이 투자한 미국 레이더 플랫폼 기업 '에코다인'(Echodyne)이 영국에서 최첨단 레이더 기술을 선보이며 유럽 방위 및 보안 부문에서 영향력을 강화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최근 품질 문제가 드러나며 추락하고 있는 보잉의 또 다른 내부 고발자 증언이 나왔다. 보잉에서 15년 이상 근무한 현직 보잉 엔지니어는 보잉이 품질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수백 명이 사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현대글로비스가 세계 4대 항만 운영 업체인 홍콩 '허치슨(Hutchison Ports)'의 최고 파트너사로 선정됐다. 대규모 투자를 통한 물류 인프라 혁신 등을 통한 효율성·수익성 개선 노력이 인정을 받았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허치슨은 지난 10일(현지시간)부터 이틀간 멕시코시티에서 열린 글로벌 물류 박람회 '로지스틱스 월드 서밋&엑스포(The Logistics World Summit & Expo)’에서 멕시코 라자로카르데나스항 내 자사 터미널을 이용하는 파트너사 중 작년 한 해 뛰어난 성과를 보인 5대 기업을 뽑았다. 현대글로비스와 △하이센스 △프라이멕스 △벨루가로지스틱 △트루퍼가 이름을 올렸다. 허치슨은 이들 파트너사가 자사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물류 업무를 효율적으로 발전시켰다고 평가했다. 전체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밀려드는 화물을 적기에 처리했다는 설명이다. 가브리엘라 나바스 갈린도 허치슨 상업관리자는 "이들 회사는 4개월 만에 집중된 이례적인 바쁜 시즌을 극복했을 뿐만 아니라 우리와 협력하여 상당한 개선을 구현했다"며 "표준 프로세스를 변화시켜 훨씬 더 효율적으로 만드는 개선 사항을 모색하고 달성했다"고 밝
[더구루=길소연 기자] 장금상선이 올 1분기 아시아에서 선박을 가장 많이 사들인 '큰 손'으로 부상했다. 17일 미국의 해운플랫폼업체 베슨노티컬(Veson Nautical)에 따르면 '한국의 선박왕' 정태순 회장이 이끄는 장금상선은 올 1분기 4억4500만 달러(약 6185억원)을 들여 8척의 선박을 매입해 아시아 최대 개인 투자자로 기록됐다. 장금상선이 인수한 8척은 모두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으로, 매입처는 노르웨이의 프론트라인(Frontline)과 벨기에의 유로나브(Euronav)였다. 장금상선에 이어 두번째 큰 아시아 투자자는 팬오션으로 확인됐다. 팬오션은 4척의 선박에 2억6150만 달러(약 3634억원)를 지출해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거래선사가 됐다. 3위는 중국 국유 공상은행 계열사인 공인금융리스(ICBC Financial Leasing)가 올랐다. 공인금융리스는 단 1척의 선박만 매입했지만 해당 선박이 2만 40000TEU 초대형 컨테이너선으로 매매가가 2억 3260만 달러에 달한다. 싱가포르의 위닝쉬핑(Winning Shipping)으로 6척을 2억600만 달러에 구매해 4위를 차지한다. 베슨노티컬은 "아시아 선주들은 올 1분기에 중
[더구루=길소연 기자] 장금상선이 선령이 30년 가까이 된 노후 컨테이너 선박을 '최고가'에 해체 매각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장금상선은 최근 1512TEU급 피더 컨테이너선 사와스디 싱가포르(Sawasdee Singapore, 1995년 건조)를 LDT(경배수톤·폐선 가격 단위)당 600달러(약 83만원), 총 418만 달러(약 58억원)에 거래했다. 사와스디 싱가포르는 독일 노르드제베르케 엠덴(NORDSEEWERKE-EMDEN)이 건조한 선박으로 길이 166m, 폭 28m, 총톤수 1만5707톤의 제원을 갖췄다. 미쓰비시의 엔진 7UEC60LSII를 사용했다. 선박은 방글라데시 치타공에서 해체 작업을 한다. 치타공에는 40개 이상의 재활용 시설이 운영되고 있다. HKC비준에 따라 조선소를 더욱 지속 가능하고 작업장 안전과 조선소 내 위험 물질 취급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선박해체 전문기업인 스타 아시아 쉽브로킹(Star Asia Shipbroking)와 폐선을 매입한 베스트 오아시스(Best Oasis)에 따르면 장금상선은 해체 매각가를 평균가 보다 50달러(약 7만원) 더 받았다. 현재 방글라데시에서 제공되는 컨테이너 선박의 현재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오션이 에너지 및 해운 산업 분야 베테랑 인재를 수혈해 해양사업부의 변화를 꾀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오션은 '쉘 쉬핑 앤드 마리타임(Shell Shipping and Maritime)' 출신 클레어 라이트 전 상업 및 전략 총괄 책임자를 런던지사에 채용했다. LNG 및 탈탄소화 전문가였던 클레어 라이트는 한화오션의 에너지 주요 사업에 집중할 전망이다. 신규 직책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런던정치경제대학교(LSE)에서 유럽 정치와 환경영향평가관리를 공부한 라이트는 머스크(Maersk) 연수생으로 경력을 시작했다. 지난 2013년 쉘에 합류하기 전에 컨설팅회사인 로이드 리스트 인텔리전스(Lloyd's List Intelligence)의 분석가로 일하다 책임자를 역임했다. 쉘에 합류하면서 선박 설계, 용선 및 벙커링을 포함한 LNG 운송 업무와 쉘의 해양 사업 및 LNG 연료 유조선에 대한 탈탄소화 전략에 참여했다. 그는 배출 감소, 기술 상용화와 새로운 해양 연료와 함께 프로젝트 평가, 개발, 선박 인수, 매각과 같은 전문 지식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LNG 부문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글로벌 해양 포럼 회의에서 쉘을 대표하거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하 한화에어로)가 싱가포르 해안 지속가능성을 위해 결성한 '코스탈 서스테인빌리티 얼라리언스(COASTAL SUSTAINABILITY ALLIANCE, CSA)'에 합류했다. 해운연합의 회원사로써 차세대 해안 생태계 구축에 함께 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는 쿠옥마리타임그룹(Kuok Maritime Group)이 주도하는 CSA에 가입했다. 한화에어로를 포함한 9개 회원사가 신규 회원으로 합류해 결성 초기 7개 회원사이던 CSA 회원사는 현재 27개로 확장됐다. 신규 회원사는 금융, 녹색 에너지, 기업·환경 컨설팅, 해양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다. △한화에어로 △중국 에너지저장업체 CIMC Energy Storage △싱가포르 DBS은행 △미국 경영컨설팅업체 그랜트 손튼(Grant Thornton) △싱가포르 예인서비스업체 KST 마리타임(Maritime) △싱가포르 운송업체 마리나 오프쇼어(Marina Offshore) △싱가포르 경영컨설팅 파이아 컨설팅(Paia Consulting) △독일 지멘스 에너지(Siemens Energy) △싱가포르 운송업체 트랜스포트 캐피탈(Transport Cap
[더구루=길소연 기자] 아시아나항공이 아랍에미리트(UAE) 항공우주 엔지니어링·임대 솔루션 선두업체 사나드 그룹과 에어버스 항공기 유지·보수·정비(MRO) 서비스 계약을 연장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사나드에 중동지역 A320·A321의 엔진에 대한 정비를 맡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은 사나드와 에어버스 항공기 A320·A321에 장착된 V2500 엔진의 유지보수·수리 파트너십을 재계약했다. 계약 규모는 5억3200만 디르함(약 2000억원), 서비스 기간은 5년이다. 재계약을 통해 아시아나항공은 5년간 아부다비에 있는 사나드 시설에서 V2500 엔진 30%의 정비 서비스를 받게 된다. 미국 IAE(International Aero Engines)가 생산한 V2500 엔진은 전 세계적으로 7600대의 A320와 A321CEO 항공기에 탑재됐다. UAE 무바달라(Mubadala) 투자회사가 전액 출자한 사나드는 35년 이상 세계적 수준의 유지보수, 수리 및 정비 서비스와 금융 솔루션을 제공해왔다. V2500 엔진 수리는 2012년부터 600대 이상의 서비스했다. 만수르 자나히(Mansour Janahi) 사나드그룹 최고경영자(CEO)는 "사나드는 UA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글로비스가 투자한 멕시코 최대 항구 '라자로 카르데나스(Lázaro Cárdenas)' 물류 인프라 확대가 순항하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글로비스 멕시코는 멕시코 미초아칸주 라자로 카르데나스 항구의 인프라 건설을 본격화한다. 현대글로비스는 라자로 카르데나스 항구 터미널의 7만2100제곱미터(㎡)가 넘는 면적에 새 하역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하역장에는 차량 보관, 에어 드라이 클리닝, 액세서리화, 터치업 조정 및 기타 추가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야드 건설은 2단계로 나눠 총 20개월 간 진행된다. 1단계 8개월, 2단계 12개월에 걸쳐 개발할 예정이다. 운영 및 유지관리는 40년이 걸릴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대글로비스는 라자로 카르데나스항에 1억3971만 멕시코페소(약 115억원)가 넘는 금액을 투자했다. <본보 2023년 12월 7일 참고 현대글로비스, 멕시코 최대 항구에 '100억원↑' 투자...라틴 지역 물류 인프라 확대> 현대글로비스 멕시코는 "성장 계획의 일환으로 자동차의 적재, 하역, 보관 및 처리를 위한 적절한 안전 및 운영 조건을 충족하는 설계로 라사로 카르데나스 항구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모바일 게임 시장이 다운로드 수 정체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용자당 평균 수익(ARPU)을 기반으로 아시아 2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충성도 높은 이용자 기반과 효과적인 수익화 전략이 일본 시장의 강점이자 한계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