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철강기업 뉴코(Nucor Corporation)가 독일의 프리미엄 자동차 제조사 메르세데스-벤츠의 철강 공급망 탈탄소화 실현을 돕는다. 뉴코는 벤츠에 저탄소 철강을 공급함으로써 자동차 제조 과정에서 탄소 배출을 줄인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카타르에너지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2차 발주 프로젝트에서 발주한 62척의 선박 용선처가 확정됐다. 카타르 선사와 중국, 일본, 말레이시아 선사에 선박이 배정됐지만 국적 선사와는 용선계약이 전무하다. 중국은 카타르 가스전에 투자하면서 신조 물량과 주요 선주사로 이름을 올렸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카타르 에너지는 2차 발주 프로젝트에서 발주한 62척의 선박을 용선할 선주사 명단을 공개했다. 우선 HD현대중공업이 건조하는 17만4000㎥ LNG 운반선 17척은 카타르 국영선사 나킬라트(Nakilat)가 모두 용선한다. 나킬라트는 62척 중 35척을 용선한다. HD현대중공업 선박 17척 외 한화오션이 건조하는 동급 선박 8척 그리고 후동중화조선이 건조하는 27만1000㎥ Q-max급 LNG 운반선 10척을 용선한다. <본보 2024년 2월 13일 참고 카타르에너지, LNG선 25척 용선계약 체결...발주 본격화 시동> 삼성중공업이 수주한 LNG 운반선 15척은 중국 산동해운이 6척, 초상국그룹 자회사 차이나머천트에너지쉬핑(CMES) 6척, 말레이시아 선사 MISC가 3척을 배정받았다. <본보 2024년 1월 15일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오션이 건조 중인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4척에 노르웨이 선박용 압축 공기 시스템을 탑재한다. 에너지 효율을 높여 선박의 수명 주기를 늘리고자 장착한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오션은 TMC 컴프레서(이하 TMC)와 17만4000㎥급 LNG 운반선 4척에 LNG 탱커용 해상 압축 공기 시스템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TMC는 4척의 LNG 선박 각각에 제어, 서비스 공기 및 질소 압축기를 포함한 완전한 해상 압축 공기 시스템을 공급할 예정이다. 계약 금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압축 공기 시스템은 선박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필수 장비다. 기포를 사용해 선체와 해수 사이의 저항을 줄이는 데 사용된다. 선체 표면 전체에 기포가 분포됨으로써 선체에 작용하는 마찰 저항이 감소해 에너지 절약 효과가 있다. 공기 소비량이 적으면 컴프레서에 필요한 속도가 줄어들어 전력 소비가 줄어든다. 연료 소비와 관련된 배기 가스 배출량도 크게 줄일 수 있다. 한스 피터 타눔(Hans Petter Tanum) TMC 영업·사업 개발 이사는 "과거 한화오션에 동급 선형에 해상 압축 공기 시스템을 납품한 바 있다"며 "TMC 압축 공기 시스템은 선박 승무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말레이시아의 국영기업 페트로나스(Petronas)와 아르헨티나 국영 에너지기업 YPF(Yasimientos Petroleo Fiscales)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부유식액화설비(FLNG) 기본설계(FEED)에 도전장을 낸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중공업은 페트로나스와 YPF로부터 FLNG FEED 입찰에 초청받았다. 입찰 마감 기한은 5월 말이다. 이번 FEED는 연간 400만~450만 톤(t) 용량의 FLNG를 기본 설계한다. 소요 기간은 8개월 정도 걸린다. FLNG는 해상에서 시추한 천연가스를 액화시킨 뒤 자체 저장, 운송할 수 있는 종합설비다. 페트로나스와 YPF는 "기본설계가 두 개의 FLNG 유닛에 적합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FEED 입찰전은 삼성중공업 외 △일본 JGC △이탈리아 사이펨(Saipem) △중국 위슨(Wison) △프랑스 테크닙에너지(Technip) 등이 참여한다. 입찰전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페트로나스의 FLNG 건조 이력이 있는 삼성중공업이 이번 FEED를 수주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YPF에는 예산 제약이 있고, 페트로나스가 FEED에 자금을 조달하는데 건조 실적이 있는 삼성중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일본 화물용 승강기 1위업체 모리야(MORIYA)에 선박용 엘리베이터 일감을 맡겼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중공업은 모리야수송기공업(守谷輸送機工)에 선박용 엘리베이터 32대(16척×2대)를 발주했다. 주문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모리야의 선박용 엘리베이터는 삼성중공업이 수주한 대만 에버그린 마린(Evergreen Marine)의 컨테이너선 16척에 설치된다. 엘리베이터는 오는 2025년 11월부터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다.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7월 에버그린으로부터 1만6000TEU급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16척을 수주했다. 척당 1억9400만 달러, 총 31억 달러(약 3조9593억원)에 수주했다. 에버그린이 총 24척을 발주했는데 일본 니혼조선소(Nihon Shipyard)와 나눠서 수주했다. <본보 2023년 7월 3일 참고 [단독] 삼성중공업, '5.5조 규모' 대만발 컨테이너선 대거 수주 성공> 모리야의 엘리베이터는 △진동(롤링·피칭) 대책 △다양한 선급·선적에 대응이 가능하다. 모리야는 지금까지 쌓아온 기술력으로 최적의 강도 계산을 실시해 적절한 내구성을 실현하고, 높은 제어 기술을 바탕으로 검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액화천연가스(LNG) 생산업체 벤처 글로벌 LNG(Venture Global LNG)가 한화오션에 발주한 LNG 운반선으로 선단을 확충한다. LNG 운반선 선대를 늘려 자체 화물 판매와 운송 능력을 확대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벤처 글로벌 LNG(이하 벤처 글로벌)는 올해 말부터 한화오션에서 건조 중인 9척의 LNG 운반선을 인도받는다. 9척의 선박 모두 동급 최고의 친환경 및 효율성 기술이 적용되며 주로 벤처 글로벌의 액화천연가스로 연료를 공급받는다. 벤처 글로벌은 2022년 한화오션에 17만4000㎥급 LNG 운반선 6척, 20만㎥급 LNG 운반선 3척을 발주했다. <본보 2022년 2월 9일 참고 [단독] 대우조선해양 또 잭팟…'1.5조‘ LNG선 6척 수주> 인도될 선박은 최신 선형에 최신 2행정 메가(MEGA) 고압 이중연료 추진엔진(ME-GI)과 고도화된 재액화설비(Gas Management System)가 탑재돼 온실 가스의 주범인 메탄배기가스의 대기 배출을 대폭 줄인다. 또 LNG를 연료로 해 재래식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보다 이산화탄소 배출이 25% 낮다. 벤처 글로벌은 한화오션 발주 선박 외 최근에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오션이 국내 최초로 27만㎥급 초대형 큐맥스(Q-Max) LNG 운반선을 개발한다. 프랑스 선급 뷰로베리타스(BV)로부터 선박의 안전성을 검증받으면서 선체 개발이 가속화된다. 한화오션은 27만㎥급 초대형 선박 건조 기술력으로 큐맥스 선형 경쟁의 우위를 점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오션은 지난달 28일 BV로부터 독자적으로 개발한 27만㎥급 LNG 운반선의 선체 설계를 인정받았다. 한화오션은 이를 위해 BV의 요구사항과 관련 규정을 준수해 27만㎥ LNG 운반선 설계를 위한 선체 주요 도면 개발을 준비했다. BV는 선체 도면을 검증하기 위해 2D 로컬 스캔틀링과 3D 화물창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해 선체의 종방향 강도는 물론 종방향, 횡방향 부재의 항복 및 좌굴을 평가했다. 피로에 민감한 선체 구조의 세부 사항을 평가하기 위해 로컬 미세 메쉬를 사용한 피로 분석도 수행했다. 그 결과 한화오션은 BV로부터 이번 신형 선박의 구조적 신뢰성 확보와 원칙적 승인을 획득할 수 있었다. 1828년에 선박의 안정성 검사를 위해 창립된 BV는 선박 안전과 품질관리 분야의 세계적인 검사기관이다. 강상돈 한화오션 기본설계담당 상무는 "새롭게 개발된
[더구루=길소연 기자] 호주 석유가스 개발회사 우드사이드에너지(이하 우드사이드)의 멕시코 트리온(Trion) 초심해 석유 개발 프로젝트에 룩셈부르크 해저시스템 설치업체 '서브시세븐(Subsea 7)'이 참여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스웨덴 해상 배터리 공급업체인 에찬디아(Echandia)가 하이브리드 추진용 선박에 리튬티탄산화물(LTO) 배터리 시스템을 공급한다. LTO 배터리는 2차 전지의 음극재로 사용되는 흑연을 LTO로 대체해 극저온 성능, 수명, 안전성과 입출력 용량을 대폭 개선한 제품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영국 기후테크 스타트업 시바운드(Seabound)가 탄소 중립을 위한 대형 선박용 탄소 포집 시스템을 개발했다. 석회석을 이용해 탄소를 포획하고 더불어 황화합물 같은 오염 물질을 흡수해 탄소 배출량을 줄인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와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등 국내 조선소가 조선 인력난을 해결하기 위해 태국 노동자 수천명을 채용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피팟 랏차깃쁘라깐(Phiphat Ratchakitprakarn) 태국 노동부 장관은 최근 서울 롯데호텔에서 국내 조선소 관계자와 만나 고용 3000명 확대 및 태국 근로자 조선소 취업 기술훈련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 자리에는 솜차이 모라코쓰리완(Somchai Morakotsriwan) 태국 고용부 국장, 사마스 파타마수콘트(Samas Pattamasukont) 태국 노동부 감찰관, 태국노동촉진고용주협회 대표, 태국인해외고용협회 대표가 참석했다. 피팟 태국 노동부 장관은 "HD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등 조선소 운영사 5개사는 크고 잘 알려진 민간 기업"이라며 "한국 조선소와 협상을 거쳐 즉시 조선소 용접공 직종에 태국인 3000명을 채용하게 한다"고 말했다. 특히 태국 측은 기술개발부의 한국어 능력 교육을 통해 한국 조선소 산업에 취업할 수 있도록 조선소 엔지니어링 분야의 숙련된 인력을 파견하겠다고 제안했다. 솜차이 모라코쓰리완 고용부 국장은 "이번 한국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투자은행인 JP모건이 신조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을 사상 최고가로 리세일했다. JP모건은 신조선과 매입한 중고선을 되팔거나 용선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엑스박스(Xbox)가 에이수스(ASUS)와 협력해 새로운 휴대용 콘솔을 내놓으면서 하드웨어 전략이 변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등장했다. MS는 자체 콘솔도 개발하고 있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일각에서는 전략 자체가 잘못됐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