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말레이시아 국왕이 자국 군수품 조달 비리 척결에 '칼'을 빼들었다. 현지 방산 산업 환경이 급변하면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우리 기업의 현지 무기 공급 사업과 향후 신규 입찰이 불확실성에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국방부는 최근 블랙호크(UH-60A+) 헬기 4대 임대 입찰 사업을 중단했다. 이브라힘 술탄 이스칸다르 국왕이 지난 16일(현지시간) 열린 특수부대 창설 60주년 행사에서 국방부의 조달 절차를 강하게 비판하며 취소를 지시한 데 따른 것이다. 국방부는 2023년 5월 현지 업체 '에어로트리 디펜스 & 서비스(Aerotree Defence & Services)'와 블랙호크 헬기 4대의 5년 임대 계약을 체결했으나 납품 지연으로 인해 2024년 11월 계약을 해지했다. 이후 올해 재입찰이 공고돼 마감일을 오는 9월 26일로 잡았지만 국왕의 공개 경고로 중단된 상황이다. 이브라힘 국왕은 60주년 행사 연설에서 "국방부는 에이전트나 판매원으로 변신한 전직 장성들로 가득 차 있다"며 "섬유업체가 드론을 팔겠다고 나서는 경우도 있다"며 국방 조달의 문제점을 신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이 말레이시아의 원전 도입에 참여할 파트너사로 부상했다. 다툭 세리 파딜라 유소프(Datuk Seri Fadillah Yusof) 말레이시아 부총리 겸 에너지전환수자원부(PETRA) 장관이 두산에너빌리티와 한국원자력수력원을 찾는다. 한국의 원전 기술을 살피고 향후 협력을 논의할 전망이다. 25일 말레이시아차이나 인사이트 등 외신에 따르면 유소프 장관은 26일 한수원 새울원자력본부를 방문한다. 한국형 원전 APR1400 모델을 적용한 새울 1·2호기와 동일 노형으로 내년 준공을 목표로 건설 중인 새울 3·4호기를 둘러본다. 두산에너빌리티 창원 본사도 찾는다. 원자로와 증기발생기 등 원전용 기자재부터 차세대 원전인 소형모듈원자로(SMR) 핵심 부품 제작 기술을 살핀다. 이번 방한은 27일부터 양일간 부산 누리마루 APEC 하우스와 파라다이스 호텔에서 열리는 제15차 APEC 에너지장관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이뤄졌다. 유소프 총리는 한국의 원전 기술력을 확인하고 협력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화석 연료 비중을 줄이고자 원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6개의 기술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예비타당성 조사를 마쳤고, 타당성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