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올해 해커들에 의한 해킹으로 도난당한 암호화폐 피해액이 지난해보다 2배 늘어난 것으로 추정됐다. 피해액 증가에는 암호화폐 가치 상승이 있었다는 분석이다. 9일 암호화폐 시장분석기관 TRM랩이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1월 1일부터 6월 24일까지 해킹으로 인해 도난당한 암호화폐 가치가 13억8000만 달러(약 1조9000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피해규모는 지난해 같은 기간 6억5700만 달러(약 9080억원)에 2배 이상 큰 금액이다. 하지만 2022년보다는 3분의 1 규모에 불과했다. TRM랩은 올해도 몇 차례의 대규모 해킹으로 피해액이 커졌다고 밝혔다. 실제로 피해규모 상위 5개 해킹 사건이 전체 피해액에 70%를 차지했기 때문이다. 올해 발생한 해킹 사건 중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사건은 지난 5월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DMM 비트코인에서 발생한 4500비트코인 도난 사건이다. 당시 피해규모는 3억 달러에 달했다. TRM랩은 지속적으로 해킹 사건이 발생하고 있지만 암호화폐 시장 보안 프로세스의 근본적인 변화는 없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2023년과 2024년을 비교해 해킹 공격 횟수나 빈도가 큰 차이가 없었기
[더구루=홍성일 기자] SK플래닛이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RB 클라우드'를 앞세워 글로벌 시장을 공략한다. SK플래닛은 스마트 TV 등으로 고객층을 확대하면서 인공지능(AI) 기능도 추가해 서비스를 강화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SK플래닛은 RB클라우드 VCS(Video Cloud Streaming)의 글로벌 서비스 확대한다. SK플래닛은 RB 클라우드 VCS를 앞세워 글로벌 PAY TV(유료 텔레비전 방송), OTT 시장을 공략하기로 했다. SK플래닛의 RB클라우드는 셋톱박스, 스마트 TV, OTT 플랫폼, AR 글래스, VR 헤드셋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고성능 애플리케이션 가상화 서비스로 사용자 환경, 서비스 운영 등이 클라우드 서버에서 처리된다. 업체들은 RB 클라우드를 통해 다양한 디바이스에 끊김 없는 유저 인터페이스(UI)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으며 중앙 집중식 관리 기능을 통해 시스템 배포와 업데이트 효율성도 끌어올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용자들에게 맞춤형 콘텐츠 추천, 시청 이력 추적, 쇼핑 연동 등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RB클라우드 VCS 기술은 이미 지난해 12월 SK브로드밴드를 통해 업계 최초로 국내 IPTV 서비
[더구루=홍성환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업 자파타AI(Zapata AI)와 양자컴퓨팅 기업 디웨이브퀀텀(D-Wave Quantum)이 협력 관계를 확대한다. 생성형 AI 플랫폼 개발에 속도를 높일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양사는 9일 공동 상업 파트너십을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현재 양사는 디웨이브 리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통합 양자 및 생성형 AI 솔루션 개발 및 제공을 촉진하는 데 협력 중이다. 두 회사는 새로운 계약에 따라 자파타AI의 독점적인 유니버셜 제너레이티브 AI(Universal Generative AI)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신속한 개발을 수행한다. 아울러 디웨이브의 리프 양자 서비스를 기반으로 양자·하이브리드 양자·전통적 AI 솔루션 등을 지원한다. 크리스토퍼 사부아 자파타AI 공동 창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양자컴퓨팅 분야 선도 기업과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해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기업이 복잡한 사업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성형 AI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투자를 확대함에 따라 이번 협력이 기업에 귀중한 컴퓨팅 용량을 제공할 수 있다"고 전했다. 앨런 바라츠 디웨이브 CEO는 "양사간 파트너십을 강화해 알고리즘 역량과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최대 게임기업 텐센트가 미국과 유럽에서 신규 상표를 등록했다. 신작 게임 타이틀로 추정되는 상표 등록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텐센트는 지난달 20일(현지시간) 유럽지식재산청(EUIPO)에 '더 그레이 스테이트(THE GREY STATE)'라는 상표를 등록했다. 25일에는 미국 특허청(USPTO)에도 동일한 내용으로 등록작업을 진행했다. 신규 등록된 상표는 EUIPO에서는 상표에 대한 심사를 진행 중이며 USPTO에서는 심사관 배정을 기다리고 있다. 이번에 등록된 상표의 클래스(분류)는 9, 41, 42가 부여됐다. 9는 컴퓨터 게임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41은 온라인 게임, 42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설계 등을 포괄한다. 텐센트의 새로운 상표 중 관심을 받고 있는 대목은 클래스 9에 포함된 내용이다. 분류에 대체불가능토큰(NFT)가 포함됐기 때문이다. 이에 일부에서는 새로운 게임에 NFT가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텐센트의 신작 게임에 대한 정보는 상표 등록 사실 뿐이기 때문에 어떤 게임인지는 알 수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향후 텐센트도 신작 게임에 블록체인 기술을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유럽에서 에픽게임즈 스토어를 허용했지만 싸움이 끝날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애플이 에픽게임즈 스토어를 임시 승인한 것이라고 밝히자 에픽게임즈는 끝까지 싸움을 이어갈 것이라는 것을 시사했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에픽게임즈 스토어의 유저 인터페이스(UI)가 자사 앱스토어와 유사하다며 변경을 요구했다. 에픽게임즈는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위한 디자인이라며 수정할 수 없다며 즉각 반발했다. 앞서 애플은 지난 5일(현지시간) 에픽게임즈의 앱스토어인 '에픽게임즈 스토어'의 아이폰, 아이패드용 앱마켓 출시를 허용했다. 이번 결정은 2020년 8월 시작된 애플과 에픽게임즈 간의 싸움의 변곡점이었다. 에픽게임즈는 2020년 8월 애플과 구글의 30%에 달하는 인앱 결재 수수료가 과도하다며 포트나이트 자체 결제시스템을 도입했다. 이에 애플과 구글은 약관을 위반했다며 앱 마켓에서 포트나이트를 퇴출시켰고 에픽게임즈는 이에 반발, 전세계적인 반독점 싸움에 돌입했다. 에픽게임즈는 애플이 시장 지배력을 이용해 독점적 지위를 행사하고 있다며 반독점법 위반 소송을 진행했다. 3년여가 넘는 싸움은 미국에서부터 에픽게임즈의 손을 들어주기 시작
[더구루=홍성일 기자] 구글이 구글지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그룹 내비게이션' 기능을 개발했다. 구글은 해당 기능을 통해 단체 여행 경험을 향상시킨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특허청(USPTO)은 지난달 25일(현지시간) 구글이 출원한 '내비게이션 지시를 다른 장치에서 제공하는 방법(Providing navigation instructions to one device in view of another device)'이라는 특허를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구글의 특허는 구글의 대표 생활 애플리케이션인 구글지도에 적용되는 기능이다. 그룹 내비게이션으로도 불리는 해당 기능은 구글지도 이용자가 목적지를 지정하고 구글지도를 사용하는 일행들을 그룹에 초대한다. 초대된 일행들은 목적지를 공유받게 되며 최적화된 경로도 안내받는다. 해당 기능이 업데이트되면 구글지도 이용자들은 일정 조율이 쉬워질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예상 도착시간이 공유되는 만큼 일행들도 이동 일정을 조절할 수 있게 돼 시간을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그룹 내비게이션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가장 먼저 이동하고 있는 차량의 교통 정보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여
[더구루=홍성일 기자] 약 100억개의 비밀번호가 포함된 대규모 비밀번호 모음 파일이 유출됐다. 이전에 사용한 비밀번호를 재사용하는 경우 위험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대규모 비밀번호 모음 데이터인 락유(rockyou)의 최신 버전이 공개됐다. 락유 2024로 명명된 해당 파일은 지난 6일(현지시간) 오바마 케어(ObamaCare)라는 닉네임을 사용하는 이용자가 업로드했다. 해당 파일은 총 99억4857만5739개 비밀번호가 텍스트 형태로 입력된 파일로 용량은 약 155기가바이트(GB)에 달한다. 이는 올해 초 공개된 '모든 침해 사건의 어머니(Mother of all Breaches, 이하 모압)'의 260억개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비밀번호 모음집이다. 이번에 공개된 락유 2024는 2009년 발생한 락유 해킹 사건에서 파생된 파일로 보인다. 해당 사건은 소셜 애플리케이션 락유가 해킹되며 총 3200만 개 비밀번호가 해킹된 사건이다. 이번에 공개된 락유 2024에도 해당 내용이 포함돼 있다. 락유 파일은 이후 꾸준히 새로운 형태로 등장했으며 지난 2021년에는 락유 2021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 바 있다. 당시 포함된
[더구루=홍성일 기자] 태국이 글로벌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서비스 핵심 '허브'로 부상했다. 태국 정부는 적극적인 유치 전략을 펼치며 디지털 경제 성장 동력을 강화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7일 업계에 따르면 태국 데이터센터 투자는 아마존웹서비스(AWS), 넥스트DC, STT GDC 등 글로벌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다. 태국이 글로벌 기업들의 데이터센터 허브로 관심을 받는 것은 △전략적 위치 △높은 보안성과 낮은 자연재해 위험 △고품질 인프라 △국내 시장 확대 △정부의 인센티브 정책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나릿 테르드스테라숙디(Narit Therdsteerasukdi) 태국 투자청 사무총장은 정부 승인을 받은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서비스 투자 규모가 985억3900만 바트(약 3조 7160억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AWS는 2037년까지 태국 데이터센터 걸설에 2000억 바트(약 7조5400억원)를 투자하기로 했다. AWS는 이미 데이터센터 3곳에 250억 바트(약 9400억원)를 투자한 상황이다. 이외에 STT GDC는 45억 바트(약 1700억원), 에볼루션 데이터센터는 40억 바트(약 1500억원)를 투자했으며 중국 알리바바 클라우드, 화웨이 테크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이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생성형 인공지능(AI) 특허를 가장 많이 출원한 국가로 확인됐다. 중국이 AI산업 분야에서 경쟁력을 빠르게 강화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7일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거주 개발자들은 지난 2014년부터 2023년까지 10년간 총 3만8210건의 생성형 AI 특허를 출원했다. 이 기간 전체 출원 건수는 약 5만 4000건이었다. 중국에 이어서는 미국이 6276건으로 2위에 위치했으며 한국이 4155건으로 3위를 차지했다. 4위는 3049건의 일본이었으며 인도는 1350건으로 5위에 이름을 올렸다. 기업별로는 중국 텐센트가 2074건으로 1위에 올랐다. 이어 △핑안보험(1564건) △바이두(1234건) △중국과학원(607건) △IBM(601건) △알리바바(571건) △삼성전자(468건) △알파벳(443건) △바이트댄스(418건) △마이크로소프트(377건) 순이다. 부문별로는 이미지 및 비디오 부문이 1만7996건으로 가장 많이 출원됐으며 텍스트 1만3494건, 음성 및 음악 1만3480건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분자, 유전자, 단백질 기반 데이터를 사용하는 생성형 AI 특허가
◇코인원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원이 지난 4일 여러 산업군의 PO(프로덕트 오너, Product Owner)를 초청해 '포케 나이트([PO]KE NIGHT)' 네트워킹 행사를 개최했다. 코인원 포케 나이트에는 IT, 금융, 통신, 이커머스,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 재직 중인 PO 30여 명이 초청됐으며 코인원 임직원들의 주제 발표와 참석자 네트워킹 등 2부에 걸쳐 2시간 반가량 진행됐다. 먼저 코인원 차명훈 대표가 기업과 서비스를 소개하며 1부의 문을 열었다. 블록체인 1세대 기업으로 설립 10주년을 맞은 소회를 비롯, 최근 서비스 고도화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을 소개했다. 다음으로 장준호 최고기술책임자(CTO)가 '블록체인 생태계 및 비전'에 대해 발표하고 질의 응답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리고 코인원 현직 PO와 데이터 분석가가 연사로 나서 각각 '코인원 PO가 제품 만드는 방법', '데이터로 일 잘하는 방법'을 주제로 발표했다. 2부는 참석자 간 네트워킹 시간으로 마련됐다. 행사 운영진 포함 모든 참석자가 어우러져 소통하며 각자의 경험과 지식, 인사이트를 교류했다. 1부 발표 내용을 비롯해 각자 PO로서 가지고 있는 고충, 일 잘하는 PO가 되는 법, 좋은
[더구루=홍성일 기자] 경기 둔화로 '소비 다운그레이드' 추세를 보이고 있는 중국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알뜰소비가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가성비와 실용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AI가 쇼핑 도우미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있다. [유료기사코드] 6일 코트라 난징무역관은 'AI를 활용한 알뜰 소비, 중국 '가성비 대체품' 검색 서비스' 보고서를 통해 중국 소매 시장과 AI 알뜰소비에 대해서 소개했다. 중국 시나닷컴에 따르면 2023년 이후 중국 소비재 소매 총액은 시장 예상치를 크게 밑돌고 있다. 성장률도 2023년 2분기를 정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해 현재는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 이런 중국 소매시장 역성장에는 '소비 다운그레이드' 추세가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중국에서는 소비자들이 의사결정 과정에서 '가성비'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중국 쇼핑 플랫폼에서는 가성비 대체품을 뜻하는 '핑티', 공동구매를 뜻하는 '핀투안'이 주요 키워드로 자리잡았다. 중국 소비시장에서 가성비가 중요해진 것은 경기둔화와 고용불안으로 고가 명품의 주요 소비층이었던 젊은 세대의 소비 패턴이 변화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관심 받고 있는 것이 AI를 활용한 가성비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AI)으로 고객의 사용 패턴을 분석해 요금제·혜택 등을 관리할 수 있는 '익시(ixi) 통신 플래너'를 디지털 채널 '유플러스닷컴'과 고객센터 애플리케이션(앱)인 '당신의U+'에 도입한다. LG유플러스가 자체 개발한 AI기술 익시가 활용된 익시 통신 플래너는 △고객이 사용 중인 요금제 진단 △고객 맞춤형 요금제 추천 △혜택 추천 및 관리 등을 제공한다. LG유플러스는 최근 실시한 현장 조사에서 고객들이 지불하는 통신 요금 대비 받게 되는 혜택을 쉽게 알고 매월 본인이 혜택을 잘 이용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싶다는 의견이 많았다는 점에 착안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익시 통신 플래너는 데이터, 맴버십, 관심사, 할인, 사용기간 등 5가지 속성을 바탕으로 고객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현재 고객이 사용 중인 요금제가 최적인지를 판단하는 '진단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후 고객에게 꼭 맞는 요금제를 추천한다. 예를 들어 멤버십 사용량이 많은 고객에게는 VIP 멤버십 승급이 가능한 요금제를 추천하거나 OTT 선호도가 높은 고객에게는 OTT 요금제를 안내하는 방식이다. 고객별 맞춤형 혜택 추천 기능도 8월 내 도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 모터스(Lucid Motors, 이하 루시드)가 첫 번째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그래비티(Gravity)’ 고객 인도를 실시한다. 지난해 12월 생산을 시작한 지 약 4개월 만이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루시드는 이달 말 그래비티 고객 인도를 시작한다. 이는 마크 윈터호프(Marc Winterhoff) 루시드 임시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밝힌 내용이다. 그는 개인 SNS 계정을 통해 "전시 차량과 시승 차량 제작 마무리 단계를 거치고 있다"며 "4월부터 미국 내 주요 매장에 배치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닉 트워크(Nick Twork) 루시드 대변인 역시 "초기 그래비티 생산은 내부 테스트 등을 목적으로 일부 제한된 고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나 이제 일반 고객 인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루시드는 지난해 12월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 그래비티 생산을 개시했으며, 같은 달 직원 및 가족, 일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첫 차량을 인도한 바 있다. 그래비티는 루시드가 지난해 LA 오토쇼에서 처음 공개한 전기 SUV 모델이다. 전기 세단 ‘에어(Air)’에 이어 SUV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샤오미가 신형 증강현실(AR) 스마트 글래스를 출시했다. 샤오미는 신형 AR 스마트 글래스를 30만대 이상 출하해 메타 레이벤 스마트 글래스와 경쟁한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를 공개하고, 크라우드 펀딩을 개시했다. 크라우드 펀딩은 오픈 당일 매진됐다. 정식 출시가(1199위안, 약 24만원)보다 20%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었던 것이 매진 이유라는 분석이다.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는 샤오미에서 자체 개발한 미지아 글래스앱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샤오미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은 이전 세대 모델에 비해 프레임이 더 얇아져 템플(안경 다리)의 두께가 5밀리미터(mm)에 불과하다. 무게는 27.6g이다.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 1년간 개발한 힌지를 적용했다. 샤오미는 해당 힌지가 1만5000번을 굽혔다 펴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고 설명했다. 프레임 옵션은 총 5가지 스타일이 제공되며 압력을 분산시키는 디자인을 적용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는 지능형 알고리즘이 적용된 4개 마이크가 장착돼 통화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