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정부가 우한 등 4개 도시를 국가 블록체인 발전 시범구로 선정했다. 중국 정부는 이들 지역을 국가 블록체인 사업 선도 도시로 키워간다는 계획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우한, 쑤저우, 정저우, 쿤밍 등 4개 도시를 국가 블록체인 시범구로 건설하는 계획을 승인했다. 중국 당국은 이들 지역의 블록체인 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도 진행한다. 이번에 시범지구로 선정된 우한의 경우 현재 총 143개의 블록체인 기업이 있는 것으로 보고됐으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정부 행정 솔루션 개발 업체들이 관심을 받고 있다. 중국 정부는 블록체인 기술을 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 보고 지난 2018년 9월 하이난을 블록체인 특구로 지정했다. 하이난성 하이코우시는 중국의 12번째 자유무역지대로 지정되면서 블록체인 산업의 중심지로 떠올랐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암호화폐 분야에 있어서는 민간 주도의 성장을 규제하고 있다. 이에 후오비 등 중국 기반 암호화폐 거래소의 해외진출이 속도를 내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정부는 국가 주도 블록체인 서비스인 BSN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글로벌 진출도
[더구루=홍성일 기자] 캐나다의 게임 엔터테인먼트 기업 '게임온 엔터테인먼트 테크놀로지스(GameOn Entertainment Technologies)'가 항공기 NFT 기업 '크립토젯클럽(Crypto Jets Club)'과 손잡고 NFT(대체불가토큰)을 출시한다. 게임온 엔터는 13일(현지시간) 크립토젯클럽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두 회사는 2차례에 걸쳐 NFT를 출시한다. 크립토젯클럽은 미래 게임, 멤버시 유틸리티를 중점으로 하는 항공매니아 특화 메타버스다. 크립토젯클럽 생태계는 AR/VR로 구동되는 메타버스 속 NFT 개인 제트기 자산으로 구성된다. 클립토젯클럽은 제트기 NFT를 출시하기 위한 개발 작업을 진행 중이며 유저 참여, 유지와 수익 극대화를 위해 게임온의 기술을 사용할 계획이다. 게임온은 기술을 공유해주는 댓가로 15%의 지분을 획득, 수익을 공유받는다. 게임온 엔터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웹3 생태계 확장에 속도를 낸다. 게임온 관계자는 "크립토젯클럽과 함께 일하게 돼 매우 기쁘다"며 "게임을 통해 웹3 생태계에서 브랜드를 확립하고 비즈니스 수익성 확대를 촉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멋쟁이사자처럼이 개발·운영하는 글로벌 대체 불가능 토큰(NFT) 게임 프로젝트 '실타래(SYLTARE)'가 필리핀 블록체인 마케팅 기업과 손잡고 동남아 시장 확대에 나선다. 멋쟁이사자처럼은 14일 필리핀의 BNP(Blockchain Network Philippines)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BNP는 암호화,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중점으로 원스톱 마케팅,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멋쟁이사자처럼은 BNP와의 MOU 체결과 함께 필리핀 디스코드 채널도 런칭했다. 멋쟁이사자처럼은 실타래의 동남아 시장 확대를 위해 현지 기업들과의 MOU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지난 7일에는 인도네시아의 대표 NFT(대체불가토큰) 기업인 카칭(KACHING)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따. 카칭은 인도네시아 현지 빅테크 대기업 '부칼라팍(bukalapak)' 산하의 NFT 프로젝트 전문 기업이다. 부칼라팍은 부카 게임즈, 아이템쿠 등 현지 코어 게이머들이 밀집돼 있는 게임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압도적인 커뮤니티 규모를 보유하고 있다. 멋쟁이사자처럼은 BNP와 MOU를 통해 향후 필리핀은 물론 인근 동남아 시장에 대한 마케팅도 강화할 것으
[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가 사실적인 오프월드 메타버스 플랫폼 '헬릭스(HELIX)'를 개발하고 있는 스타트업 '하이퍼소닉 랩스(Hypersonic Laboratories, 이하 하이퍼소닉 랩스)에 투자했다. 하이퍼소닉 랩스는 14일(현지시간) 프리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350만 달러(약 49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플레이벤처가 주도했으며 삼성넥스트, GSR, 써드 카인드가 투자사로 참여했다. 또한 지피의 설립자인 알렉스 청, 비핸스 설립자 스콧 벨스키 등 다수의 앤젤투자자들로 이름을 올렸다. 삼성넥스트 투자를 유치한 하이퍼소닉 랩스는 초현실적인 그래픽, 방대한 오픈월드, NFT(대체불가토큰) 지원 등 기존의 블록체인 게임의 한계를 뛰어넘겠다며 헬릭스를 개발하고 있다. 헬릭스는 뉴욕을 가상에 재현한 패러럴 시티를 배경으로 하며 유저는 그 안에서 차량, 의류, 비즈니스, 재산 축적 등 다양한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으며 타 유저와의 경쟁도 가능하다. 또한 이 과정에서 헬릭스 자체 토큰을 획득할 수 있어 실제 수익도 획득할 수 있다. 하이퍼소닉 랩스는 웹3, 블록체인 기술을 게임의 백그라운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하고 전면에는 재미있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블록체인 유저들에 대한 데이터를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스타트업 서드웨이브(Thirdwave)가 시드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사업을 본격화한다. [유료기사코드] 서드웨이브는 14일(현지시간)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700만 달러(약 98억원)를 투자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프레임워크 벤처스가 주도했으며 애니모카 브랜즈, 플레이 벤처스, 시마 캐피탈, 허슬 펀드, 오션스 벤처스 등이 투자자로 참여했다. 서드웨이브는 모바일로의 생태계 변화가 일어났던 웹2 혁신을 이끌었던 전문가들이 설립한 회사로 웹3 게임을 개발하고자 하는 개발자들에게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 인사이트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 툴을 개발하고 있다. 서드웨이브는 커뮤니티, 소셜, 온체인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해 개발자들이 고개 분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인프라와 툴을 개발한다는 목표다. 서드웨이브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검색 엔진 핵심 요소 구축에 투입한다. 이를 통해 고객들에게 보다 정교한 온체인, 커뮤니티 분석 내용을 담은 대시보드 형태의 데이터를 제공, 시장에 대한 인사이트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서드웨이브 관계자는 "우리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래에셋벤처투자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는 미국의 블록체인 기반 핀테크 기업 '오아시스프로 마켓(Oasis Pro Markets, 이하 오아시스프로)'이 암호화폐 보안 솔루션 업체 '솔리더스 랩스(Solidus Labs)'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유료기사코드] 오아시스프로는 14일(현지시간) 솔리더스 랩스를 전략적 파트너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오아시스프로는 이번 솔리더스 랩스 파트너십 체결로 암호화폐 거래 중 모니터링, 규제 준수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아시스프로는 미국 최초의 디지털 자산과 디지털 현금을 거래하도록 설계된 대체 거래 시스템(ATS)을 제공하고 있으며 솔리더스 랩스는 거래 모니터링, 감시, 지능형 위협 감시 등 3개 축을 중심으로 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솔리더스 랩스는 자사의 솔루션을 통해 모든 중앙집중식, 분산형 암호화 화폐 거래를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솔리더스 랩스의 감시 제품인 'HALO'는 현재 150개 이상의 시장에서 1조 개 이상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2500만 개 이상의 소매, 기관 투자자들을 보호하고 있다. 오아시스프로는 향후 솔
[더구루=홍성일 기자]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 인수를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진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FTX가 추가 자금 조달에 나섰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해당 주장이 사실이라면 FTX의 빗썸 인수 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데스크는 14일(현지시간) 업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FTX가 인수 작업을 진행하며 추가 자금 조달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FTX는 1월 완료된 시리즈C 투자 라운드에서 인정받은 320억달러 가치를 바탕으로 추가 자금 조달에 나서고 있다. 익명의 업계 관계자는 코인데스크에 FTX가 현재 몇 가지 인수 후보를 평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FTX가 몇 가지 가능한 인수 후보를 평가하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소매 거래 플랫폼을 운영하는 회사"라며 "현재는 예비 단계에 있고 만약 인수 협상이 결렬되면 FTX의 추가 자금 조달 가능성도 낮아진다"고 말했다. FTX의 추가 자금 조달 추진은 국내에서도 큰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빗썸과의 인수가 결정되면 투입될 자금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FTX측은 코인데스크의 보도에 대해서 별도의 논평을 내지 않고있다. 한편 FTX는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더구루=홍성일 기자] 기업 대상 암호화폐 지갑·커스터디(수탁) 서비스 업체인 빗고(Bitgo)가 인수합병을 포기한 갤럭시디지털(Galaxy Digital)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13일(현지시간) 빗고는 성명을 통해 12일 델라웨어 주 법원에 갤럭시디지털을 합병 계약의 의도적인 위반 혐의로 손해배상을 청구했다고 밝혔다. 빗고는 갤럭시디지털에 1억 달러(약 1390억원) 이상의 손배소를 제기했다고 덧붙였다. 암호화폐 전문 투자사인 갤럭시디지털은 지난해 5월 빗고를 12억 달러(약 1조6680억원)에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갤럭시디지털의 인수발표에 암호화폐 산업 첫 10억달러 이상 규모 인수 사례라며 업계의 관심을 받았다. 하지만 갤럭시디지털은 지난달 15일 빗고가 인수합병 과정에서 2021년 재무기록을 2022년 7월 31일까지 제공하지 못했다며 인수합병을 포기하기로 했다. 빗고는 같은 날 15일 갤럭시디지털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갤럭시디지털은 지난달 인수포기를 발표하며 "갤럭시디지털이 인수 과정에서 SEC(미국 증권거래위원회) 서류 제출을 위해 필요한 재무제표를 요구했지만 빗고가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인수를 포기했다"고 강조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상자산) 거래소 FTX가 인기 NFT(대체불가토큰) 프로젝트인 두들스(Doodles)에 베팅하며 NFT 생태계 확장에 속도를 낸다. 두들스는 13일(현지시간) 5400만 달러(약 750억원)를 투자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은 776이 주도했으며 FTX 벤처스, 어크루 캐피탈, 10T 홀딩스 등이 투자자로 참여했다. 두들스는 이번 펀딩을 통해 7억400만 달러(약 9800억원)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번 두들스의 펀딩이 눈길을 끈 것은 세계적인 뮤지션 '퍼렐 윌리암스'가 최고 브랜드 책임자로 합류한 이후 진행됐기 때문이다. FTX의 투자를 유치한 두들스는 지난해 10월 출시 이후 큰 인기를 끌고 있는 NFT 프로젝트로 인간, 유인원, 해골 등의 캐릭터를 밝은 파스텔 톤 색상으로 꾸민 캐릭터들의 모습을 담고 있다. 두들스 NFT 프로젝트는 총 1만 개의 NFT를 출시했으며 컬렉션의 총 가치는 약 1억2100만 달러(약 1680억원)이며 판매량 기준 11번째로 큰 NFT 프로젝트다. 세상에서 가장 큰 가치를 가진 NFT 프로젝트인 '지루한 유인원 요트클럽(Bored Ape Yacht Club, BAYC)'의 가
[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는 웹3.0 인프라 스타트업 미스틴랩스(Mysten Labs)가 수천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미스틴랩스는 대규모 투자금을 기반으로 기업 규모를 빠르게 확장한다. 미스틴랩스는 8일(현지시간) 시리즈B 투자 라운드를 통해 3억 달러(약 4120억원)를 투자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FTX의 VC인 FTX벤처스가 주도했으며 코인베이스 벤처스, 점프 크립토, 앤드리슨 호로비츠(a16z), 써클 벤처스, 바이낸스 랩스, 오리어리 벤처스 등이 참여했다. 미스틴랩스의 추가 투자 유치 소식은 지난달 전해졌다. 미스틴랩스는 이미 지난달 초 기준 1억4000만 달러를 조달했고 추가 협상을 통해 최대 2억 달러를 조달한다는 목표였다. 하지만 최종 유치 금액은 목표치를 1억 달러 상회한 3억 달러였다. 미스틴랩스의 투자 규모가 당초보다 커진 것은 투자자들이 수이(Sui) 블록체인 토큰을 보장받았기 때문이다. 당초 미스틴랩스의 시리즈B 투자 라운드 진행 과정에서 가장 관심받았던 것이 투자자들이 수이 토큰을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받는지 여부였다. 해당 권리 보장 여부로 협상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상자산) 거래소 FTX가 미국의 대형 헤지펀드인 스카이브릿지 캐피탈(SkyBridge Capital)의 지분을 인수하기로 했다. FTX와 스카이브릿지는 디지털 자산 투자에 대한 협력관계를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스카이브릿지 캐피탈은 9일(현지시간) FTX 벤처스가 자사의 지분 30%를 인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FTX 벤처스의 투자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FTX 벤처스는 30% 지분 인수와 함께 스카이브릿지 캐피탈에 추가 유동성도 공급한다. 스카이브릿지 캐피탈은 추가 유동성 중 4000만 달러(약 550억원)를 암호화폐 자산을 구매하는 데 사용할 예정이다. FTX 벤처스와 스카이브릿지 캐피탈은 이번 지분 인수를 통해 협력관계를 강화한다. FTX 벤처스는 스카이브릿지 캐피탈의 디지털 자산 부문 투자에 협력하며 스카이브릿지 캐피탈은 FTX 벤처스의 비 암호화 관련 투자에 대한 협력을 강화한다. 스카이브릿지 캐피탈 관계자는 "이번 거래는 크립토 바하마스(Crypto Bahamas) 컨퍼런스 공동주최를 위한 다년간의 파트너십에 이은 새로운 파트너십"이라며 "두 회사는 현재는 물론 미래의 벤처, 디지털 자산 투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NFT(대체불가토큰) 검증 솔루션 업체 토큰프루프(tokenproof)가 시드 투자를 받으며 본격적으로 사업을 확대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토큰프루프는 페니 자가 주도한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500만 달러(약 68억원)를 조달했다. 이번 투자 라운드에는 코라존 캐피탈, 식스맥 벤처스, 캐노니칼 크립토 등이 투자자로 참여했다. 토큰프루프는 2022년 설립된 회사로 NFT 소유자에게 보안 위협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NFT의 이점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검증 솔루션을 개발했다. 현재의 NFT는 소유를 증명할 때 소유자의 디지털 지갑과 연결된 증명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소유자의 디지털 지갑이 노출되면 NFT 외에도 모든 자산이 노출되는 상황이 생긴다. 토큰프루프는 이런 소유 증명 과정이 보안상의 큰 위험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하며 새로운 증명 시스템을 구현했다. 토큰프루프의 증명은 소유자가 디지털 지갑을 통해 1회만 증명하면 소유 증명권을 생성한다. 이를 이용해 디지털 지갑의 연결 없이도 NFT의 소유를 증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토큰프루프 앱에서 QR코드를 생성해 증명할 수 있는만큼 편리성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부동산을 추가로 확보했다. 애플은 2개월간 실리콘밸리 내 부동산 매입에만 1조원이 넘는 자금을 투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캘리포니아 지역매체인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에 따르면 애플은 상업용 부동산 개발기업 '킬로이 리얼티(Kilroy Realty Corporation)'로부터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마틸다 캠퍼스(Mathilda Campus)를 매입하기로 했다. 매입작업은 3분기 중 완료될 예정이다. 마틸다 캠퍼스는 노스 마틸다 애비뉴(North Mathilda Avenue) 505~599번지와 웨스트 모드 애비뉴(West Maude Avenue) 605번지에 위치한 4동짜리 오피스 건물 단지로, 건물면적은 총 6만1594제곱미터(㎡)에 달한다. 애플은 이미 이전부터 마틸다 캠퍼스의 88%인 5만3884㎡를 임대해 사용해왔다. 애플은 일찌감치 해당 건물 매입에 나서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 킬로이 리얼티는 2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실리콘밸리에 있는 캠퍼스 건물을 매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킬로이 리얼티는 매각 계약 사실만 발표했으며, 당시 매수자와 구체적인 건물에 대해서는 정보를 공개하지 않
[더구루=오소영 기자] 슬로바키아가 미국 웨스팅하우스를 신규 원전 공급사로 선정했다. 최종 계약서 서명만 남겼다. 공급사 선정을 둘러싼 슬로바키아 내부 잡음이 들려오지만 계약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웨스팅하우스의 주요 파트너인 두산에너빌리티도 유럽에서 수주 소식이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유러티브와 프라바다 등 외신에 따르면 슬로바키아 정부는 신규 원전 건설을 위한 사업자로 웨스팅하우스를 선정했다. 로베르트 피초(Roberta Fico) 총리가 이끄는 대표단이 미국을 방문해 웨스팅하우스와 정식 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계약 규모는 최대 150억 유로(약 24조원)로 추정된다. 슬로바키아는 국영 원전 기업 자비스(JAVYS)와 체코전력공사(CEZ)가 51대 49로 설립한 합작사 'JESS'의 주도로 원전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2040년 보후니체 원전 인근에 1250㎿ 규모 신규 발전소를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6월 원전 건설을 위한 정부 승인을 완료했다. 현지에서는 당초 10월 입찰을 예상했다. 한국수력원자력과 프랑스 EDF, 웨스팅하우스의 경쟁 구도로 점쳐졌다. <본보 2024년 6월 2일 참고 슬로바키아 1.2GW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