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상자산) 지갑 메타마스크 개발사 컨센시스(ConsenSys)가 이더리움 지분증명 전환을 기념한 NFT(대체불가토큰)을 출시한다. 6일 블록체인 업계에 따르면 콘센시스는 이더리움 지분증명 전환을 기념해 '리제네시스(Regenesis) NFT 컬렉션을 출시한다. 리제네시스 NFT는 이더리움의 지분증명 전환 예정일인 14일 발행된다. 리제네시스 NFT는 콘센시스와 인비저블 노스가 제휴해서 제작했으며 일러스트레이터인 크리스 스키너가 디자인했고 NFT 애니메이션은 키이스시티 그룹이 담당했다. 리제네시스 NFT는 약간의 가스비(수수료)만 제공하면 무료로 획득할 수 있으며 메타마스크와 같은 웹3 디지털 월렛을 소유하고 있어야 한다. NFT 구매는 증명 전환 후 72시간동안 가능하다. 리제네시스 NFT가 기념하는 이더리움의 지분증명 전환은 '더 머지(The merge)'로 불리며 암호화폐 업계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이더리움은 현재 작업증명(PoW)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작업증명은 하드웨어인 컴퓨터를 이용해 연산, 채굴을 진행하고 작업을 한 만큼 코인을 가져가는 방식을 말한다. 이더리움 외에도 비트코인,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더구루=최영희 기자] 넵튠과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컬러버스가 메타버스 사업 및 서비스에 대한 협력을 골자로 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3사는 오픈형 3D 메타버스 플랫폼 ‘컬러버스’와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보유한 웹툰, 웹소설 및 케이팝 관련 IP(지식재산)를 연계해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웹툰을 대표 플랫폼으로 글로벌 웹툰, 웹소설 비즈니스를 영위하는 ‘스토리 부문’과 국내 최다 배우단 및 작가, 감독, PD가 소속된 독보적 스튜디오 네트워크와 영화, 드라마, 예능, 모바일 숏폼 콘텐츠 기획·제작 역량을 갖춘 ‘미디어 부문’, 음악의 기획·제작·유통과 뮤직 플랫폼 멜론을 운영하는 ‘뮤직 부문’ 등 콘텐츠 전 사업영역을 아우르는 독보적인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3사는 ‘컬러버스’를 활용해 메타버스안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논의할 전망이다. 예를 들어 케이팝을 테마로 한 메타버스 월드나 주요 스토리 IP를 이용한 가상공간 서비스를 함께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난 6월 카카오 미디어 데이에서 공개된 넵튠과 컬러
[더구루=최영희 기자] 국내 최초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 산하 코빗 리서치센터는 ETHPoW(하드포크로 분기될 난이도 폭탄이 없는 작업증명 기반 이더리움 체인)의 경제적 가치를 분석한 ‘ETHPoW 체인은 경제적 가치가 있을까’를 발간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리포트에서는 이더리움 머지 업그레이드를 앞두고 기존의 작업증명(PoW) 방식을 유지하기 위해 채굴자들을 중심으로 이더리움을 하드포크하자는 제안이 제기되면서 그 경제적 가치 여부에 대한 찬반 논쟁의 근거를 살펴보는 데 주안점을 뒀다. 리서치센터에 따르면 우선 이더리움 재단을 중심으로 한 주류 이더리움 커뮤니티는 ETHPoW 하드포크의 가치를 부정하고 있다. 첫 번째 근거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법정화폐 담보형 스테이블코인인 USDT, USDC가 지분증명(PoS) 체인을 지지한다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두 번째 근거는 ETHPoW상의 USDT, USDC가 가치를 잃게 되면 이를 기반으로 한 디파이(De-Fi) 서비스도 정상적인 작동이 어려워져 가치 폭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마지막으로 이더리움상에서 작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유지 보수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개발 리소스가 필요한데 리소스가 한정된
[더구루=홍성일 기자] 암호화폐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중동의 아랍에미리트(UAE)에 거주하는 사람 10명 중 1명이 코인 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UAE통신규체청(Telecommunications and Digital Government Regulatory Authority, TDRA)이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UAE 거주자 중 약 11.4%가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가별로도 상위 10개국 안에 포함되는 수치다. UAE는 두바이를 중심으로 암호화폐 등 미래 먹거리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두바이에는 가상자산 규제청(VARA)를 설치하고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에 대해 적극적인 라이센스 발행을 진행하고 있다. VARA의 라이센스를 발급받은 암호화폐 거래소는 바이낸스, FTX, OKX, 후오비 등이 있다. 또한 두바이 왕세자이자 두바이 집행 위원회 의장인 셰이크 함단 빈 모하메드 빈 라시드 알 막툼을 중심으로 한 '두바이 메타버스 전략'을 발표 웹3 생태계 구축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두바이는 이번에 발표한 메타버스 전략을 통해 오는 2030년까지 4만개 이상의 가상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디지털자산 거래소 코어닥스가 ㈜테슬라바이오페이로부터 220억원 규모의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테슬라바이오페이의 단독 투자로 진행됐으며, 테슬라바이오페이는 테슬라바이오랩의 독자적 기술을 활용하여 핀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테슬라바이오랩의 계열사이다. 이번 투자를 통해 코어닥스는 자사의 시장 가치를 1,000억원으로 인정받았다. 코어닥스는 삼성증권, 대신증권, 한국투자증권 등 약 20여년간 증권거래 IT 솔루션을 공급하던 기술력을 기반으로 설립된 가상자산 거래소로 2020년 임요송 대표이사가 인수, 그랜드 리뉴얼을 통해 지속적인 보안 및 트레이딩 시스템 업그레이드와 UI·UX 고도화 등 서비스 품질 개선을 이어 오고 있다. 또한 디지털자산과 레거시 금융시장을 결합한 디지털자산 종합서비스 플랫폼을 목표로 투자자들과 꾸준히 신뢰 관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건강한 가상자산 생태계 조성과 시장질서 확립을 선도하는 거래소로 평가받고 있다. 코어닥스는 2021년 4월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최초로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 체계인 ISMS-P 인증을 획득했으며, 같은 해 12월 특정금융정보법에 따라 금융정보분석원(FIU)의
[더구루=홍성일 기자] 분산형 오라클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는 에스토니아의 웹3스타트업 '레드스톤'이 코인베이스 등으로부터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레드스톤은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700만 달러(약 95억원)를 조달했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렘니스캡이 주도했으며 코인베이스 벤처스, 블록체인 캐피탈, 디스트리뷰티드 글로벌, 랫티스, 알위브, 브링 워터스, 마븐11, 세븐X 벤처스 등이 참여했다. 레드스톤은 에스토니아의 수도 탈린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분산형 오라클과 워프라는 알위브의 모듈식 데이터 처리 스마트 계약 기술을 개발했다. 블록체인 오라클은 스마트 계약과정에 외부 정보를 제공하는 제3자 서비스로 블록체인과 외부 세계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는 기술로 정의된다. 레드스톤은 분산형 레드스톤 오라클을 통해 스마트 계약과 분산형 금융(DeFi) 프로토콜에 대한 가격 데이터를 제공하고 알위브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한 데이터 저장소를 개발한다. 레드스톤은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분산형 오라클 등의 추가 개발에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레드스톤 관계자는 "우리는 설립 첫 날부터 블록체인과 실제 데이터 간의 빠르고 저렴한 연결을 위한 표준을 만든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솔라나 블록체인 기반 결제 프로토콜 제벡(Zebec)이 투자와 토큰 판매로 추가 유동성 확보에 성공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제벡은 써클 벤처스, 시마 캐피탈, 리솔루트 벤처스 등으로부터 800만 달러(약 115억원)를 투자받았다. 제벡은 이번 투자로 10억 달러(약 1조3400억원) 가치를 인정받았다. 또한 제벡은 자체 토큰 비공개 판매로 2100만 달러, 공개 판매로 700만 달러를 합쳐 2800만 달러(약 380억원)도 확보, 총 3600만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을 추가했다. 제벡은 지난해 11월 설립됐으며 솔나라, 디스트리뷰티드 글로벌, 코인베이스 벤처스, 써클, 라이트스피드, 제미니 등의 지원을 받고 있다. 제벡 프로토콜은 솔라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결제 프로토콜을 제공하고 있다. 제벡은 올해 초 비자와 제휴를 맺고 핀테크 패스트 트랙 프로그램에 합류했다. 솔라나 기반 결제 프로토콜로는 처음 비자 프로그램에 합류한 것이다. 제벡은 현재 실시간 유동성을 블록체인 기축통화로 빠르게 전환할 수 잇는 맞춤형 직불카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으며 해당 직불카드는 비자와 제휴해 메탈 카드 형태로 출시될 예정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바레인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동 암호화폐 거래소 레인이 암호화폐 겨울에 따른 수익성 악화로 수백 명의 직원을 해고했다. 블룸버그는 1일(현지시간) 레인이 수백 명의 직원을 해고했다고 보도했다. 레인은 해고한 직원 수를 정확하게 공개하지는 않았다. 레인은 중동 최대의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로 2017년 설립됐다. 올해 초에는 패러다임과 클레이너 퍼킨스가 주도한 시리즈B 투자 라운드를 통해 1억1000만 달러(약 1400억원)를 조달하기로 했다. 레인은 시리즈B 투자 라운드 투자금을 바탕으로 당초 직원 규모를 2배 확장하려고 했지만 오히려 직원 규모를 감축하는 상황을 맞이하게 됐다. 레인이 수백 명의 직원을 해고한 것은 암호화폐 겨울로 촉발된 유동성 위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레인 측은 "운영상의 필요와 시장 상황을 고려해 해고를 진행했다"며 "어려운 시장 상황을 감안할 때 이 침체기를 헤쳐나갈 수 있도록 미래 계획을 조정해야만 했다"고 밝혔다. 레인이 수백 명의 직원을 해고하면서 암호화폐 겨울로 인한 가상자산 시장 해고 도미노가 중동지역으로까지 확장됐다. 레인 이전에도 코인베이스, 크립토닷컴, 블록파이 등이 대규모 해고를 진행했으며
[더구루=최영희 기자] 국내 최초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은 국내 대표 재즈 페스티벌인 ‘제19회 자라섬재즈페스티벌’의 대체불가능토큰(NFT) PASS를 판매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NFT PASS는 오는 5일부터 코빗 홈페이지에서 판매되며 NFT PASS를 구매한 고객은 10월 1~3일 가평 자라섬에서 열리는 ‘제19회 자라섬재즈페스티벌’에 입장할 수 있다. NFT PASS 구매자에게는 스페셜 입장 밴드를 제공하며 페스티벌 하이라이트 영상을 담은 추가 NFT 에어드랍도 지원한다. 단, NFT PASS는 일별로 구매할 수 있으며 구매한 NFT PASS에 해당하는 날짜만 입장할 수 있다. 구매 방법은 다음과 같다. 코빗에 회원가입 한 후 고객 확인 및 신한은행 계좌 연동을 완료한다. NFT PASS 구매를 위한 이더리움(ETH)을 충분히 매수한 후 구매 링크를 통해 구매하면 된다. NFT PASS 구매 고객은 페스티벌 입장 시 현장에서 NFT 소유자임을 증명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며 한번 구매한 NFT PASS는 출고 및 양도가 불가하다. 자세한 내용은 코빗 홈페이지 이벤트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오세진 코빗 대표는 “코로나19 여파로 3년 만에 정상적으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의 인수를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진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FTX의 미국 자회사가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상임위원 출신 인사를 영입하며 파생상품 시장 진입에 속도를 낸다. FTX US 디리버티브(파생상품)은 1일(현지시간) 질 소머스 전 CFTC 상임위원을 영입했다고 밝혔다. 질 소머스 전 상임위원은 FTX US 디리버티브의 이사진에 합류했으며 파생상품 부문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예정이다. 질 소머스 이사는 선물, 옵션 등 파생상품 분야의 전문가로 경력을 쌓아왔다. 질 소머스 이사는 1991년 미국 공화당의 거물이었던 로버트 조셉 돌(밥 돌) 상원의원의 인턴으로 경력을 시작했으며 농업 문제 전문 컨설팅 회사인 클라크&물돈, 타가트 앤 어소시에이츠에서 근무했다. 2005년부터는 국제 스왑 파생상품 협회(ISDA)의 정책 총괄, 대관업무 책임자로 활동했으며 2007년 8월에는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에 의해 CFTC의 상임위원으로 임명됐으며 2009년 7월에는 공화당 출신임에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지명으로 재차 CFTC 상임위원에 임명되기도 했다. 2013년 CFTC 상임위원 임기가 종료된
[더구루=최영희 기자] K-POP 음악 콘텐츠 NFT 플랫폼 메타비트가 글로벌 거래소 크립토닷컴 NFT를 통해 전략적 제휴 파트너인 알비더블유(이하 RBW) 소속 아티스트 마마무와 관련된 실질적 특전 및 혜택이 주어지는 ‘마마무 NFT 스페셜 컬렉션’을 이달 19일 출시한다. 메타비트는 마마무의 글로벌 2000만 여명 팬덤과 함께 마마무 데뷔 8주년을 기념하고 나아가 마마무와 팬덤 간의 더욱 더 긴밀한 관계 형성을 위해 ‘마마무 NFT 스페셜 컬렉션’을 기획했다. ‘마마무 NFT 스페셜 컬렉션’은 미스터리 팩 형태로 8종의 특전을 포함하고 있는 3500개 NFT로 발매 된다. 각각의 NFT는 지난 8년 간 발매된 마마무 앨범 8개와 함께 문별, 휘인, 화사의 솔로 앨범과 콘텐츠에 대한 실질적 특전이 담겨있다. 이번 ‘마마무 NFT 스페셜 컬랙션’ 홀더에게는, 향후 마마무 아티스트와 관련한 다양한 실질적 혜택이 주어질 예정이다. 또한 마마무는 이번 콜라보레이션을 시작으로 색다른 형태로 팬덤들에게 다가간다. 메타비트는 이번 크립토닷컴 NFT와 협업을 통해 다양한 채널로 독창적인 K-POP 콘텐츠를 해외에 소개하고 글로벌 팬덤을 지원할 계획이다. 메타비트 스테파니
[더구루=홍성일 기자] '문버드 NFT(Moonbirds NFT)' 컬렉션을 개발한 웹3 스타트업 프루프(Proof)가 수백억 원 투자를 유치했다. 프루프는 신규 NFT 컬렉션 개발 등에 속도를 낸다. 프루프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향후 계획을 공개한 '퓨처 프루프'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안드레센 호로비츠(a16z)가 주도한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통해 5000만 달러(약 670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 라운드에는 세븐세븐식스를 비롯해 플라밍고 DAO, 콜랩+커런시, SV앤젤, 베이너펀드, 트루벤처스 등이 투자자로 참여했다. 프루프는 출시와 함께 가장 인기있는 NFT(대체불가토큰) 컬렉션으로 자리잡은 문버드(Moonbird) NFT 컬렉션을 개발한 스타트업이다. 문버드 NFT 컬렉션은 총 1만개의 올빼미 아바타로 이뤄진 컬렉션이다. 문버드는 지난 4월 16일 출시 이후 역대 가장 빠르게 가치가 상승한 NFT컬렉션 중 하나가 됐으며 출시 후 일주일간 3억6000만 달러에 달하는 거래액을 기록했다. 프루프는 문버드 컬렉션 이전에도 프루프 컬렉티브 NFT를 출시해 높은 가치를 인정받으며 NFT 생태계에서 강자로 평가받고 있다. 프루프는 투자 유치와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부동산을 추가로 확보했다. 애플은 2개월간 실리콘밸리 내 부동산 매입에만 1조원이 넘는 자금을 투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캘리포니아 지역매체인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에 따르면 애플은 상업용 부동산 개발기업 '킬로이 리얼티(Kilroy Realty Corporation)'로부터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마틸다 캠퍼스(Mathilda Campus)를 매입하기로 했다. 매입작업은 3분기 중 완료될 예정이다. 마틸다 캠퍼스는 노스 마틸다 애비뉴(North Mathilda Avenue) 505~599번지와 웨스트 모드 애비뉴(West Maude Avenue) 605번지에 위치한 4동짜리 오피스 건물 단지로, 건물면적은 총 6만1594제곱미터(㎡)에 달한다. 애플은 이미 이전부터 마틸다 캠퍼스의 88%인 5만3884㎡를 임대해 사용해왔다. 애플은 일찌감치 해당 건물 매입에 나서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 킬로이 리얼티는 2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실리콘밸리에 있는 캠퍼스 건물을 매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킬로이 리얼티는 매각 계약 사실만 발표했으며, 당시 매수자와 구체적인 건물에 대해서는 정보를 공개하지 않
[더구루=오소영 기자] 슬로바키아가 미국 웨스팅하우스를 신규 원전 공급사로 선정했다. 최종 계약서 서명만 남겼다. 공급사 선정을 둘러싼 슬로바키아 내부 잡음이 들려오지만 계약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웨스팅하우스의 주요 파트너인 두산에너빌리티도 유럽에서 수주 소식이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유러티브와 프라바다 등 외신에 따르면 슬로바키아 정부는 신규 원전 건설을 위한 사업자로 웨스팅하우스를 선정했다. 로베르트 피초(Roberta Fico) 총리가 이끄는 대표단이 미국을 방문해 웨스팅하우스와 정식 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계약 규모는 최대 150억 유로(약 24조원)로 추정된다. 슬로바키아는 국영 원전 기업 자비스(JAVYS)와 체코전력공사(CEZ)가 51대 49로 설립한 합작사 'JESS'의 주도로 원전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2040년 보후니체 원전 인근에 1250㎿ 규모 신규 발전소를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6월 원전 건설을 위한 정부 승인을 완료했다. 현지에서는 당초 10월 입찰을 예상했다. 한국수력원자력과 프랑스 EDF, 웨스팅하우스의 경쟁 구도로 점쳐졌다. <본보 2024년 6월 2일 참고 슬로바키아 1.2GW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