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대한항공이 영국 버진애틀랜틱과 공동운항에 나선다. 영국 런던을 시작으로 베트남과 일본, 호주 등 인기 노선의 운항에 협력한다. 일부에서는 영국 경쟁시장청(CMA)이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을 승인하는 과정에서 대한항공이 독과점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알짜 노선을 양보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버진애틀랜틱은 지난 24일(현지시간) 대한항공과 공동운항 계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25일 '인천-런던 히드로'를 시작으로 5월 △베트남 다낭·하노이·호찌민 △호주 브리즈번·시드니 △뉴질랜드 오클랜드 노선을 공동으로 운항한다. 6월에는 일본 도쿄 하네다·도쿄 나리타·나고야·간사이·후쿠오카·오키나와 홍콩 노선을 추가한다. 버진애틀랜틱은 올해 초 대한항공이 참여하는 글로벌 항공 얼라이언스 '스카이팀'에도 합류했다. 영국 항공사 중 유일하게 스카이팀에 가입하며 버진애틀랜틱 플라잉 클럽 회원은 '스카이 프라이어리티'(Skypriority) 혜택을 누리게 됐다. 스카이 프라이어리티는 전용 탑승수속 카운터 이용, 수화물 우대 처리 등을 통해 수속부터 항공기 탑승까지의 모든 과정을 더 편리하고 빠르게 밟을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민간 우주기업 로켓랩(Rocket Lab)과 실시간 지리정보 플랫폼 기업 블랙스카이(BlackSky)가 위성 발사에 성공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팬오션에 대한 관찰 기간을 4년 연장했다. 노후화된 선박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환경·인권 침해를 완전히 해소했는지 확인한다. 노르웨이 국부펀드 운용기금인 NBIM(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은 지난 22일(현지시간) 팬오션에 대한 관찰(Observation)을 4년 연장했다고 밝혔다. NBIM은 북해산 원유에서 나오는 '오일머니'를 밑천으로 1조3000억 달러(약 1670조원) 상당의 자산을 운용한다. 지난해 상반기 달러 강세로 14%가 넘는 손실을 내며 중국에 선두를 내주기 전까지 세계 최대 규모의 국부펀드로 통했다. 기업의 인권 침해와 환경 파괴, 부패 등을 평가해 관찰 기업 리스트를 발표하고 있다. 2018년 대한해운이 투자 대상에서 제외됐으며 작년에는 현대글로비스가 관찰 대상에 올랐다. NBIM은 노르웨이 재무부 산하 윤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2018년 1월 팬오션을 관찰 기업 리스트에 올렸다. 노후화된 선박을 방글라데시·파키스탄 해변에서 해체해 심각한 환경 피해를 초래하고 열한 작업 환경을 개선하지 않았다는 혐의다. NBIM은 4년 동안 감시하기로 하고 관찰 기간 동
[더구루=오소영 기자] 영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Vertical Aerospace, 이하 버티컬)가 배터리 센터를 열었다.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VX4' 맞춤형 배터리 연구에 집중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영국 원웹이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위성통신 사업에 협력한다. AWS의 클라우드·엣지 컴퓨팅 기술을 활용해 고품질 우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원웹은 지난 13일(현지시간) AWS와 협력의향서(Letter of Intent)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AWS의 클라우드 서비스와 엣지 컴퓨팅 기술을 활용해 끊김없는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데이터를 원시 형태로 저장하는 데이터 레이크를 통해 우주에서 수집한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안정적인 위성 운영을 돕는다. 원웹은 세계 최초로 저궤도 통신위성을 발사한 기업이다. 2019년 2월 첫 발사 이후 작년 중순까지 총 462기의 위성을 지상 1100~1200㎞ 고도에 쏘아 올렸다. 올해 하반기까지 총 648기를 배치해 1세대 위성망 구축을 끝낼 계획이다. 올해 전체 위성 배치 시 3~5년 내로 10억 달러(약 1조3000억원)의 연수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원웹은 이미 고객사를 확보했다. 프랑스 통신사 오렌지와 통신 계약을 체결하고 카자흐스탄 철도공사와 양해각서(MOU)도 맺었다. <본보 2023년 2월 7일 참고 원웹, 카자흐스탄 철도공사와 저궤도 위성 연결 MOU>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어택시 기업 아처 에비에이션(Archer Aviation)이 양산형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1호기 생산을 눈앞에 뒀다. 에어택시 상용화에 속도를 높이는 모습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독일 에어택시 기업 볼로콥터(Volocopter)가 일본 도심항공교통(UAM) 시장 진출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볼로콥터는 일본 세키스이화학(Sekisui Chemical)과 선진항공교통(AMM) 전기 수직이착륙 비행체(eVTOL) 및 드론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맺었다. AAM은 UAM 등을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세키스이화학의 소재·기술을 볼로콥터 항공기에 적용하는 등 eVTOL 개발에 협력할 방침이다. 볼로콥터는 오는 2025년 일본 오사카 엑스포에서 에어택시를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일본 민간 항공국 승인 절차에 돌입했다. 볼로콥터는 2011년 설립한 독일 UAM 기업이다. 단기리 에어택시 볼로시티를 개발하고 있다. 2인용 기체의 경우 1회 충전으로 최고속도 110㎞/h로 최장 35㎞ 비행이 가능하다. 또 18개의 모터를 탑재하고 있어 일부 모터가 고장나더라도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다. 볼로콥터는 또 200㎏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볼로드론', 최대 100㎞까지 비행 가능한 장거리 에어택시 '볼로커넥트' 등도 개발하고 있다. 볼로콥터는 지난해 한국법인을 설립하며 국내
[더구루=홍성환 기자] 국내 도심항공교통(UAM) 스타트업 민트에어가 네덜란드 에어택시 제조업체의 5인승 전기 수직이착륙 비행체(eVTOL)를 도입한다.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사업 준비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독일계 투자은행(IB) 도이체방크가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에 대한 잿빛 전망을 내놨다. 전기 수직이착륙 비행체(eVTOL) 관련해 기술적으로 '중요한 위험(important risks)'을 시장이 간과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국내 하이브리드 기반 수직이착륙 전기추진항공기(eVTOL) 개발기업 플라나(PLANA)가 한국과 일본간 에어택시 국제노선 개발에 나선다. 아시아 지역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시장 선점에 속도를 높이는 모습이다. 일본 버티포트(수직이착륙 비행장) 개발기업 스카이스케이프(SkyScape)는 플라나와 한국과 일본을 연결하는 에어택시 노선을 공동 개발하는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아시아 최초의 에어택시 국제노선을 개발하기 위해 인프라 구축 등에 협력할 방침이다. 2021년 7월 설립된 플라나는 하이브리드 기반 eVTOL 개발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이다.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항공기를 개발 중이다. 터빈 발전기와 배터리 시스템이 상호 보조하는 직렬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으로 순항 시속 300km, 최대 시속 350km으로 500km 이상 장거리 비행을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차세대 항공유(SAF)를 이용해 기존 항공 교통 수단 대비 최대 90% 이상 탄소 배출을 저감한다. 플라나가 개발 중인 하이브리드 방식은 기체에 배터리 외에 자체 발전이 가능한 친환경 터빈 발전기를 함께 탑재해 운항 중
[더구루=홍성환 기자] 에어택시 라이벌인 아처 에비에이션(Archer Aviation)과 위스크 에어로(Wisk Aero)가 영업비밀 유출 소송을 해결하기 위해 다시 얼굴을 맞댄다. 2년간 이어진 소송전에 마침표를 찍을지 주목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영국 스카이포츠가 국내 해상 배송 드론 스타트업과 합작사를 꾸린다. 전남 여수와 부산에 지사를 설립한 데 이어 합작사를 출범하며 한국 드론 시장을 본격적으로 공략한다. 스카이포츠는 지난 24일(현지시간) 해양드론기술(Marine Drone Tech)과 한국에 합작사를 세운한다고 밝혔다. 합작법인의 사명은 스카이포츠 드론 서비스 코리아(Skyports Drone Services Korea)다. 맞춤형 드론 솔루션 공급에 중점을 둔다. 우선적으로 부산과 여수에서 드론 배송 서비스를 구현한다. 2018년 설립된 해양드론기술은 한국해양대 기술지주의 자회사이자 해양벤처진흥센터 입주기업이다. 지난해 드론 물류배송 플랫폼 '나라온'(naraon)을 개발해 이목을 모았다. 나라온은 바다 위에 정박 중인 선박에서 선원들이 간편하게 상품을 주문하면 드론으로 배송해주는 서비스다. 2021년 3월 정식 서비스가 시작된 후 배송 실적만 작년 9월 기준 500회를 넘었다. 스카이포츠는 해양드론기술의 기술력과 결합해 아시아 사업을 확장한다. 스카이포츠는 2019년 세계 최초로 싱가포르 도심에 에어택시용 시범 도심공항을 만들어 이름을 알렸다. 2021년 5월 한화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모바일 게임 시장이 다운로드 수 정체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용자당 평균 수익(ARPU)을 기반으로 아시아 2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충성도 높은 이용자 기반과 효과적인 수익화 전략이 일본 시장의 강점이자 한계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