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이 니켈과 아연을 새로운 핵심 광물로 분류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전기차 배터리의 주요 소재로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높은 해외 수입 의존도에 따른 공급망 리스크 우려 때문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니켈과 아연을 새롭게 작성된 중요 광물 목록에 추가할 것을 제안했다. 자국 생산량이 많고 수입 의존도가 낮은 헬륨, 칼륨, 레늄, 스트론튬 등 4가지 광물은 제외됐다. USGS에 따르면 미국은 연간 니켈 소비량의 절반 가량을 수입산 정제 니켈에 의존한다. 지난해 기준 상위 3개 공급국인 캐나다(42%), 노르웨이(10%), 핀란드(9%)와 모두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어 니켈을 중요 광물 목록에 포함하지 않았었다. 니켈은 배터리 4대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양극재의 주 원료다. 시장조사기관 CRU에 따르면 글로벌 니켈 수요는 2020년 239만t에서 2024년 332만t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당국은 배터리 핵심 소재인 니켈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본격적인 전기차 시장 확대에 앞서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봤다. 특히 니켈을 채굴할 수 있는 곳은 미시간주 소재 이글(Eagle) 광산이 유일해
[더구루=오소영 기자] 영국 존슨매티가 배터리 소재 사업에서 손을 뗀다. 치열한 저가 경쟁에 밀려 투자 대비 수익 창출 효과가 낮다고 판단해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존슨매티는 최근 이사회에서 배터리 양극재 사업에서 철수하고자 사업 전체 또는 일부 매각하는 안을 의결했다. 존슨매티는 "배터리 소재 사업의 잠재적인 수익이 추가 투자를 정당화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원인으로 경쟁 심화를 꼽았다. 존슨매티는 "배터리 소재 수요가 증가하는 동안 경쟁이 가속화됐고 결과적으로 대량의 상품화된 시장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며 "최근 몇 달간 전략적 파트너십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우리의 자본 집약도가 다른 대규모 저비용 제조사보다 매우 높다는 점이 분명해졌다"고 설명했다 세계 3대 촉매제 생산회사인 존슨매티는 하이니켈 양극재를 수년간 개발해왔다. 지난해 폴란드 중부 코닌에 양극재 공장 건설을 발표했다. 올해 4월에는 핀란드 광업회사 피니시미네랄그룹(FMG)과의 파트너십을 토대로 핀란드에 하이니켈 양극재 공장을 짓겠다고 밝혔었다. 연간 생산량 3만t을 갖춘 공장으로 올해 착공할 예정이었다. 양극재 생산을 위해 세계 2위 리튬 생산업체 SQM, 핀란
[더구루=윤진웅 기자] 테슬라가 중국에 설치한 급속 전기차 충전기 '슈퍼차저'(SuperCharger)가 8000기를 돌파했다. 테슬라의 충전 인프라를 토대로 중국 전기차 시장 발전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현재까지 중국 360여개 도시에 슈퍼차저 충전소 1000여곳을 설치했다. 이곳에 마련된 슈퍼차저는 8000기를 넘어섰다. 여기에 일반 완속 충전소 700여곳, 완속 충전기 1750개 설치까지 총 1700여곳의 충전 인프라를 구축했다. 테슬라는 이들 충전소를 자사 전기차뿐 아니라 다른 전기차 브랜드 차량의 충전도 가능하게 했다. 다만 테슬라 차량이 아닌 경우 두 배가량 높은 요금을 부과한다. 테슬라의 충전 인프라를 토대로 중국 전기차 시장 규모 성장이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에 힘입어 신에너지차 수가 급증하고 있어서다. 중국 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에서 생산·판매된 신에너지차는 각각 39만7000대, 38만3000대다. 이는 전월 대비 각각 12.5%, 7.2% 상승한 수치다. 올해 누적 생산량은 256만대를 초과했으며, 판매량은 254만2000대를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판매량
[더구루=홍성환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ublic Investment Fund·PIF)가 전기차 스타트업 루시드모터스의 상장으로 대박을 친 반면, 테슬라 주가가 본격 상승 국면에 접어들기 직전인 지난해 초 모두 처분해 또 다른 대박을 놓쳐 눈길을 끈다. 18일 미국 경제 매체 마켓인사이더에 따르면 모하메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가 이끄는 PIF는 3분기 말 현재 루시드 주식 10억1525만2523주를 보유 중이다. 17일 종가(52.55달러) 기준 지분 가치는 534억 달러(약 63조원)에 이른다. PIF는 앞서 지난 2018년 루시드에 10억 달러(약 1조1820억원)를 투자했다. 투자 3년 만에 50배가 넘는 수익을 거둔 셈이다. 루시드는 지난 7월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합병을 통해 미국 나스닥에 상장했다. 최근 들어 주가가 폭등하면서 포드와 BMW 등 전통의 완성차 업체를 제치고 글로벌 자동차업계 시가총액 8위에 오르기도 했다. 루시드는 최고급형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에 도전하고 있는 회사다. 내년 생산 목표치를 2만대로 잡고 있을 정도로 아직 양산 체제를 갖추지는 못했다. 루시드는 올해 3분기 5억2400만 달러(약 6190
[더구루=최영희 기자] 엔비디아(NVDA)가 3분기 기록적인 매출을 기록했다. 17일(현지 시간) 엔비디아는 3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50% 늘어난 71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분기의 희석 주당 GAAP 이익은 0.97 달러로 1년 전보다 83% 증가했으며 희석주당 비GAAP 수익은 1.17달러로 1년 전보다 60% 늘었다. 엔비디아의 창립자이자 CEO인 젠슨 황(Jensen Huang)은 "3분기는 기록적인 매출로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NVIDIA AI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하이퍼스케일 및 클라우드 스케일아웃에 힘입어 2만5000개 이상의 기업이 채택을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엔비디아는 3분기에 분기별 현금 배당금 1억 달러를 지급했다. 12월 2일 모든 주주에게 주당 0.04 달러의 다음 분기 현금 배당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또한 회사는 4분기엔 매출이 74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최근 미국 반도체 설계업체인 엔비디아의 시총이 대만 반도체 파운드리 서비스업체인 TSMC의 시총을 넘어서면서 엔비디아는 반도체 업계에서 제일 비싼 회사가 됐다. 이제 반도체 업계의 시총은 엔비디아, TSMC, 삼성전자 순이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전기차 회사 리비안이 상장 5일 만에 완성차 업계 시가총액 3위 회사로 부상하며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의 희비가 갈렸다. GM 또한 리비안에 관심을 보였지만 비슷한 시기 포드가 적극적으로 구애해 협력을 성사시키며 투자 기회를 놓쳐서다. 리비안은 16일(현지시간) 주당 172.01달러(약 20만4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시총 분석사이트 컴퍼니스마켓캡의 조사 결과 리비안 시총은 1519억5000만 달러(약 180조원)로 폭스바겐을 제치고 3위를 기록했다. 리비안이 매섭게 성장하며 과거 GM·포드와의 인연이 주목을 받고 있다. GM은 한때 리비안에 투자를 모색해왔다. 메리 배라 GM 최고경영자(CEO)와 마크 로이스 사장은 리비안 창업자 겸 CEO인 로버트 스캐린지를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최종 협의만 남겨둔 상황이어서 양사의 파트너십이 거의 확정되는 것처럼 보였다. 분위기를 반전시킨 건 당시 포드의 글로벌 사업을 맡았던 조 힌리치 사장이었다. 그는 GM에 앞서 스캐린지 CEO와 회동했었다. 포드는 전기차 사업 로드맵을 세우고 있었고 파트너사로 리비안을 검토 중이었다. 리비안이 아마존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했다는 소식을 접한
[더구루=정예린 기자] 캐나다 발라드파워시스템즈(Ballard Power Systems·이하 발라드파워)가 영국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통합업체 '아르콜라 에너지(Arcola Energy·이하 아르콜라)'를 인수한다. 잇단 파트너십을 통해 수소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에 속도를 낸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발라드파워는 4000만 달러(약 473억원)에 아르콜라 지분 100%를 인수한다고 지난 11일(현지시간) 밝혔다. 3400만 달러(약 402억원)은 현금으로 즉시 지급하고 나머지 대금은 2년 내 성과에 따라 추가 지불한다. 아르콜라는 2010년 설립된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엔지니어링 전문 회사다. 버스와 같은 대형 상용차에 연료전지 시스템을 통합하는 데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영국에서 가장 큰 수소연료전지 상용차를 관리하고 있다. 특히 영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수소 회사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지방 정부 기관, 차량 운영업체, OEM 등과 다방면에서 협력하고 있다. 랜디 맥이웬 발라드파워 최고경영자(CEO)는 "아르콜라 인수로 파워트레인과 차량 통합,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등 우리의 수소연료전지 모터를 차량 플랫폼에 통합하는 데 더 많은 지원을 제공, 전 세계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판 테슬라'로 불리는 전기차 스타트업 패러데이퓨처(Faraday Future)가 3분기 실적 공개 연기를 결정했다. 지난 10월 행동주의 헤지펀드 제이캐피탈리서치(J Capital Research)가 제기한 사기 논란 관련 조사부터 마무리 짓겠다는 것. 17일 업계에 따르면 패러데이퓨처는 지난 15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내고 "3분기 실적 공개를 연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다만 해당 분기에 2억8000만 달러(한화 약 3319억원)의 손실을 봤다고 알렸다. 패러데이퓨처는 일단 최근 불거진 사전 예약 주문 대수 조작 등 사기 논란 진화를 위해 관련 조사에 적극 임한다는 계획이다. 의혹을 해소하기도 전에 실적 공개를 할 경우 또 다른 의혹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앞서 제이캐피탈리서치는 지난 10월 보고서를 통해 "패러데이퓨처의 공장을 수차례 방문했지만 여전히 생산이 시작되지 않은 상태였다"며 "미국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설립자가 만든 부채 블랙홀을 메우기 위해 사람들을 속이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본보 2021년 10월 12일 참고 中 패러데이퓨처, 사기 논란 점화…'제2의 니콜라' 될까?> 아울러 패
[더구루=정예린 기자] 현대차그룹과 삼성전자가 투자한 음성인식 인공지능(AI) 솔루션 회사 '사운드하운드'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과의 합병을 통한 상장을 추진한다. 자율주행차, 스마트홈 등 시장 확대로 AI 비서가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관련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글로벌 기업들의 경쟁이 치열하다. 사운드하운드는 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하기 위해 스팩인 '아르키메데스 테크 스팩 파트너스 유닛(Archimedes Tech SPAC Partners Unit·이하 아르키메데스)'와 합병 계약을 맺었다고 지난 1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내년 1분기 합병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합병 회사명은 '사운드하운드 AI'다. 상장 절차가 완료되면 나스닥 증권거래소에서 종목 기호 'SOUN'로 거래된다. 기업가치는 21억 달러(약 2조4854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폭스콘 자회사인 FIH모바일을 비롯해 오라클, 비지오홀딩스, 코크인더스트리, HTC와 1억1100만 달러(약 1315억원) 규모 상장지분사모투자(PIPE) 약정도 맺었다. 사운드하운드는 2005년 설립된 음성인식 AI 기술 전문 기업이다. 자체 플랫폼을 통해 22개 언어로 음성인식 AI 서비스를 제공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스페이스X 대항마'로 꼽히는 소형발사체 시장 선두주자 로켓랩이 우주 소프트웨어 회사를 인수한 지 한달 만에 우주선 분리 시스템 회사를 인수한다. 로켓랩의 통합 우주 서비스 성장 목표에 한걸음 더 다가간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로켓랩은 우주선 분리 시스템 회사인 PSC(Planetary Systems Corporation, PSC)를 현금 4200만 달러(약 498억원)와 회사 보통주 172만824 주에 인수하기로 최종 합의했다. 이같은 사실은 로켓랩의 3분기 실적 발표에서 공개됐다. 이번 인수 거래는 4분기에 마무리될 예정이다. 뉴욕주 메럴랜드에 기반을 둔 PSC는 우주선 분리 시스템 회사이다. 100개 이상의 임무에서 기계 분리 시스템과 위성 디스펜서를 사용했다. 이 회사는 발사 중 로켓과 우주선을 분리하는 동시에 로켓을 보호하기 위한 분리하는 시스템 '캐니스터라이즈드 위성 디스펜서'를 만들고 있다. PSC의 하드웨어는 민간 우주탐사 기업 스페이스X(SpaceX)와 유나이티드 런치 얼라이언스(United Launch Alliance), 나사 스페이스 셔틀(NASA Space Shuttle)이 개발한 발사체와 통합됐다. 이번 인수는
[더구루=오소영 기자] 폭스콘이 전기차를 비롯해 신성장동력으로 선정한 6대 분야에 2년간 1조원 넘게 쓴다. 특히 전기차에서 중국과 미국 등으로 글로벌 영토를 확장해 5년 동안 40조원가량의 매출을 거둔다는 포부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폭스콘은 전기차와 디지털 헬스케어 로봇, 인공지능(AI)과 반도체, 통신을 육성하는 '3+3' 전략에 내년 200억 대만달러(약 8510억원)를 쏟는다. 올해 투자액은 100억 대만달러(약 425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가장 힘을 쏟는 분야는 전기차다. 폭스콘은 해외 사업에 주력한다. 중동에 전기차에 탑재되는 클라우드·소프트웨어 사업을 추진하고 멕시코 부품 공장도 내년 상반기 증설한다. 미국에서는 로즈타운모터스의 오하이오 공장을 인수하고 전기 픽업트럭 인듀어런스 생산에 나서 내년 3분기부터 매출에 반영하도록 할 계획이다. 대만에서는 내년 상반기 전기버스 'E-버스'(E-bus) 판매에 돌입하고 현지 전기 스쿠터 스타트업 고고로(Gogoro)와 배터리 교체소 구축에 협업한다. 아울러 라이더(LiDAR) 제품도 내년 하반기부터 양산한다. 폭스콘은 전기차 사업에서 향후 5년간 1조 대만달러(약 42조원)의 매출을 거둘 것
[더구루=홍성일 기자] 지난 8월 홍콩항셍지수 기업공개(IPO) 작업을 중단한 중국 2위 게임사 넷이즈의 음악플랫폼 자회사 '클라우드빌리지'가 IPO 작업을 재개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클라우드 빌리지는 IPO 작업을 재개하고 빠르면 연내 상장 작업을 마무리할 것으로 알려졌다. 클라우드빌리지는 거래규모, 상장일정 등을 공개하지 않고 16일부터 홍콩 증권거래소에서 새로운 상장 절차를 개시했다. 클라우드빌리지는 이번 상장작업을 통해 5억 달러(약 5913억원)의 자금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클라우드빌리지는 지난 8월 중단한 상장때는 10억 달러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했다. 클라우드빌리지가 8월 상장 작업을 중단한 것은 시장 전반적으로 자금 흐름 자체가 둔해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홍콩 주식 시장의 IPO 현황 자체가 7월 이후 급격하게 변했다. 홍콩 IPO 시장은 올 1월부터 7월까지 325억 달러의 자금이 모여들었지만 8월부터는 IPO를 희망하는 회사도 급격하게 줄어들었으며 금액도 감소했다. 또한 중국 당국의 테크기업에 대한 규제 강화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힘을 얻었다. 새로운 상장 과정에서도 목표금액이 기존보다 절반 줄어든 것은 이런 시장 상
[더구루=김예지 기자] BMW가 전기차(EV) 전환에 발맞춰 핵심 원자재 공급망 안정화와 순환경제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BMW 그룹 호주 법인이 현지 배터리 재활용 선도기업 에코뱃(EcoBatt)과 손잡고 EV 폐배터리 재활용 프로그램을 공식 출범했다. 특히 에코뱃의 시설은 배터리가 기기에 내장된 상태 그대로 파쇄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첨단 기술이 적용돼 주목받고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대만 TSMC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첨단 공정 가격을 내년부터 최대 10% 올릴 것이라는 소식이 나왔다. 인공지능(AI) 수요 급증과 미세 공정 병목이 맞물려 공급 단가 상승이 불가피해지는 가운데, 이번 인상이 삼성전자를 비롯한 글로벌 반도체 업계 전반의 가격 구조 재편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