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소프트웨어 기업 아틀라시안(Atlassian) 창업자 마이크 캐논-브룩스(Mike Cannon-Brookes)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에게 호주를 차기 기가팩토리 설립 후보 국가로 제안했다. 모건스탠리도 탈(脫)중국 필요성을 강조하는 보고서를 내면서 힘을 싣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브룩스 아틀라시안 CEO는 최근 팟캐스트 '에너지 인사이더(Energy Insiders)'에 출연해 "그(머스크)에게 전화를 걸어 기가팩토리에 대해 로비 활동을 했다"며 "전기차 산업을 정확히 이해하지는 못하지만 원재료가 풍부한 호주에 (기가팩토리를 짓는 것은) 논리적으로 타당하다"고 밝혔다. 브룩스 CEO는 지난 2002년 스콧 파퀴하르(Scott Farquhar)와 아틀라시안을 공동 설립했다. 아틀라시안은 지라, 힙챗 등 프로젝트 관리나 사내 커뮤니케이션에 쓰이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회사다. 연구개발에 모든 역량을 집중, 영업 인력 없이 입소문만으로 대규모 고객을 확보해 주목을 받았다. 1979년생인 브룩스 CEO는 재작년까지 40세 이하 호주 부호 순위에서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켰다. 올해 기준 273억 달러(약 32조2303억원
								[더구루=김도담 기자] 미국 신흥 전기항공기업 아처 애비에이션(Archer Aviation, NYSE:ACHR)이 테슬라 출신 베테랑 엔지니어 2명을 영입했다. 올 연말 첫 시험비행이란 목표를 위한 전문인력 영입이다. 지난 2일(현지시간) 테슬라에서 합류한 앨런 테프(Alan Tepe)는 항공기용 경량 추진 인버터 설계를 총괄하게 된다.그는 에어로스페이스 시스템스, 보스턴 사이언티픽, 나사(NASA) 등을 거쳐 최근 8년 동안 테슬라 엔지니어로 일해 왔다. 역시 테슬라 출신인 제레미 메이어(Jeremy Mayer) 역시 이곳에 합류해 모터 설계 시스템 개발을 총괄키로 했다. 그는 20년 남짓 경력의 기계·전자공학 전문가로 테슬라 초기 모터·기어박스 엔지니어로 일했으며 미국 신생 전기차 회사 루시드모터스로 자리를 옮겨 7년 동안 일해 왔다. 이들은 아처의 전기항공기 상용화 프로젝트에 곧장 투입된다. 아처는 올 연말 첫 상업용 전기항공기 시험비행에 나설 계획이다. 또 오는 2024년 미국 로스엔젤레스 도심에서 항공택시를 운용, 7년 내 100억달러(11조5000억원)의 매출을 달성한다는 중장기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아처는 자금 조달을 위해 지난 9월14일(현지
								[더구루=홍성환 기자] 일본 소프트뱅크가 국내 여가 플랫폼 기업 야놀자에 투자한 데 이어 미국 공유숙박 플랫폼 스타트업 클라우드베즈(Cloudbeds)에 배팅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위축됐던 글로벌 여행·관광산업이 다시 기지개를 켜면서 호스피탈리티(환대산업) 시장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 모습이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소프트뱅크 비전펀드2는 클라우드베즈의 1억5000만 달러(약 1800억원) 규모 시리즈D 자금조달 라운드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소프트뱅크 비전펀드2 주도로 이뤄진 이번 라운드에는 에코스트리트과 월아이캐피탈이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기존 투자자 가운데서는 바이킹글로벌인베스터스, 피크스팬캐피탈, 카운터파트벤처스 등이 동참했다. 시리즈D 라운드 완료에 따른 누적 투자액은 2억5300만 달러(약 2980억원)에 이른다. 클라우드베즈는 2012년 설립된 공유숙박 플랫폼 기업이다. 현재 157개 국가에서 2만2000개 객실을 보유하고 있다. 아담 해리스 클라우드베즈 공동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우리의 목표를 전 세계 모든 숙박시설에 플랫폼을 공급하는 것"이라며 "이번 투자를 통해 목표에 더 빨리 도달하는 데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가 올 4분기 역대 최대 생산·인도량을 기록할 전망이다. 중국 상하이 공장 가동률을 대폭 개선, 세 달 만에 생산능력을 약 2배 키운 데 따른 것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 상하이 기가팩토리는 최근 하루에 모델Y 1600대 이상, 모델3 2000대 이상을 생산하고 있다. 지난 8월 모델Y와 모델3의 일일 생산량이 각각 1000대, 800대였던 것과 비교해 큰 폭의 성장을 이뤄냈다. 테슬라는 지난 2019년 12월부터 상하이 공장을 가동하며 중국 현지 시장에 공식 진출했다. 이후 지속적으로 생산능력을 확대, 지난 3분기에는 13만3238대의 차량을 생산했다. 중국 시장 진출 약 1년 만에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지원 정책에서 가장 큰 수혜를 입는 등 성공적으로 자리잡았다. 작년 테슬라에 지급된 보조금은 총 21억 위안으로 최대 규모였다. 대상 차량만 10만1083대에 이른다. <본보 2021년 10월 3일 참고 테슬라, 지난해 中 보조금 1위…시장 공략 가속페달> 테슬라가 중국 시장에 공들이는 이유는 폭발적인 매출 성장세 때문이다. 올해 3분기 테슬라의 중국 매출은 31억1000만 달러(약 3조6290억원)였다. 이는
								[더구루=오소영 기자] SES가 리튬메탈 배터리 '아폴로'(Apollo™)를 공개하고 개발 청사진을 공유했다. 내년 현대자동차와 제너럴모터스(GM)에 샘플(시제품)을 제공하고 중국 상하이에 파일럿 시설을 짓는다. 2025년 상용화해 미래 배터리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포부다. SES는 3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온라인으로 열린 '배터리 월드'에서 리튬메탈 배터리 아폴로를 소개했다. 리튬메탈 배터리는 리튬메탈 음극재를 사용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내구성과 에너지밀도 모두 향상된 차세대 제품이다. SES가 개발한 아폴로는 107암페이어시(Ah)로 무게는 0.982kg에 불과하다. 에너지밀도는 417Wh/kg(935Wh/L)며 실온에서 1시간·3시간·10시간 방전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높은 용량과 에너지밀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ES는 리튬메탈 배터리 시제품을 양산해 내년에 현대차, GM에 공급할 예정이다. 완성차 업체와 협력을 강화해 2025년 상용화한다는 포부다. 이와 함께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인공지능(AI) 기반 소프트웨어 '아바타'(Avatar™)도 개발해 안정성을 강화한다. SES는 세계 최대 리튬메탈 배터리 파일럿 시설인 상하이 기가팩토리의 항
								[더구루=정예린 기자] 딥브레인AI가 세븐일레븐에 공급하는 인공지능(AI) 키오스크를 미국에서 시연한다. 파트너사가 보유한 혁신 기술에 힘입어 세븐일레븐의 미래형 무인 편의점 전환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딥브레인AI는 3일(현지시간) 부터 이틀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AI 써밋 실리콘밸리'에서 세븐일레븐의 AI 키오스크를 시연하고 관련 기술을 선보인다. 세븐일레븐 AI 키오스크에는 딥브레인AI의 AI 휴먼 기술이 쓰인다. AI 휴먼 실시간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가상 인간을 만들어내는 기술이다. 사람과 가장 가까운 겉모습을 갖추고 직접 대화를 주고 받을 수 있는 AI 솔루션이다. 여기에는 음성 합성, 영상 합성, 자연어 처리, 음성인식 등 혁신 기술이 총망라됐다. 키오스크 내 AI 휴먼은 할인, 신상품 등 프로모션 정보는 물론 회사와 기술에 대한 배경지식도 제공한다. 실제 사람이 하는 것과 유사한 수준의 고객 안내가 가능하다는 게 딥브레인AI의 설명이다. 장세영 딥브레인AI 대표는 "영상과 음성 합성 기술이 내장된 AI 휴먼은 편의점을 비롯한 많은 산업에 혁신을 일으킬 것이라고 믿는다"며 "디지털 고객 서비스를 인간화하고 고객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시스템이 투자한 위성 인터넷 서비스 기업 '원웹(OneWeb)'이 영국 통신기업과 이탈리아 방산업체와 함께 손잡고 저궤도(LEO) 위성 통신 서비스를 확대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원웹은 지난 2일(현지시간) 영국 최대 이동통신업체 브릿티시텔레콤(BT)과 이탈리아 방산업체 레오나르도 DRS와 함께 LEO 위성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유통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BT와의 계약은 지난 7월에 서명된 업무협약(MOU)를 바탕으로 이뤄졌다. BT는 고객의 통신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LEO 위성 기술을 기존 지상파 기능과 통합하려 한다. 현재 통합 테스트 중으로, 완료되면 BT는 내년 초부터 고객 대상으로 첫 번째 라이브 평가판을 시작할 예정이다. 원웹과 BT 간 제휴로 인터넷망이 취약한 지역에서도 사용자가 필요시 휴대용 5G를 이용해 위성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이는 영국 시장을 위한 특정 기회뿐만 아니라 전 세계 다양한 연결 솔루션을 포괄하게 된다. 필립 얀센 BT그룹 최고경영자(CEO)는 "2022년 초 실시간 시험 제공을 목표로 영국 연구소에서 원웹 기술을 시험해 볼 것"이라며 "안전하고 규모에 맞게 제공되는 위성 솔루션
								[더구루=홍성환 기자] 말레이시아 국부펀드 페르모다란(PERMODALAN Nasional·PNB)이 동남아 최대 중고차 거래 플랫폼인 카로(Carro)에 투자를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페르모다란과 카로는 시리즈C 자금조달 라운드 협상을 진행 중이다. 구체적인 투자액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이는 지난 6월 소프트뱅크 비전펀드2의 주도로 이뤄진 3억6000만 달러(약 4260억원) 규모 시리즈C 라운드의 연장선이다. 카로가 현재까지 받은 누적 투자액은 4억7000만 달러(약 5550억원)다. 주요 투자자로는 EDBI, B캐피탈, 미쓰비시 등이 있다. 카로의 기업가치는 10억 달러(약 1조1810억원) 이상으로 평가받는다. 싱가포르 스타트업 가운데 6번째, 중고차 거래 플랫폼 중에서는 동남아 최초로 유니콘 대열에 합류했다. 2015년 설립한 카로는 싱가포르에 기반을 둔 중고차 거래 플랫폼 기업이다. 중고차 매매와 대출, 애프터 서비스 등 종합적인 중고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17년 태국과 인도네시아에 진출했고, 2019년에는 싱가포르에서 최초의 자동차 구독 모델을 선보였다. 올해 3월 말 기준 누적 거래액은 10억 달러(약 1
								[더구루=김도담 기자] 테슬라 주가가 그 끝이 안보일 정도로 고공행진하고 있다. 지난 1일(이하 현지시간) 종가 기준 1208달러로 사상 처음 1200달러를 넘어서기도 했다. 올 들어서만 65.61% 상승했다. 2일 소폭 조정이 있었지만 여전히 1171달러다. 시가총액도 무려 1조1600억달러(약 1180조원)다. 어느덧 시총 6위 기업이다. 톱5인 MS와 애플, 알파펫(구글), 아마존 등 이른바 '빅 테크' 기업과 사우디 아람코를 바짝 쫓고 있다. '메타'(구 페이스북)를 여유롭게 따돌렸다. 적잖은 증권사가 테슬라 목표주가를 높이고 있다. 물론 예외도 있다. 수년째 테슬라 주가 하락에 배팅하고 있는, 테슬라 쇼트 포지션(공매도)의 대표 주자 격인 투자사 스탠필 캐피털(Stanphyl Capital)이다. 이곳은 테슬라 급등 흐름이 이어지던 지난 10월31일(현지시간) 다시 한번 테슬라를 '현대 주식 역사상 가장 큰 거품'이라며 자사의 쇼트 포지션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토요타 16개 완성차 시총과 맞먹는 것은 아무리 좋게 봐도 '거품' " 스탠필 캐피털은 엄청나게 늘어난 테슬라의 시가총액 자체를 문제삼았다. 현재 테슬라를 제외한 자동차 회사의 시가총액
								[더구루=홍성환 기자]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투자한 브라질 최대 인터넷전문은행 누뱅크(Nubank)가 미국 증시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기업가치가 60조원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블룸버그는 1일(현지시간) "버크셔헤서웨이가 지원하는 누뱅크는 IPO에서 최대 506억 달러(약 59조7400억원)의 기업가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누뱅크는 이번주 초 주당 10~11달러로 최소 2억8900만 주의 신주를 발행하는 내용의 상장 계획서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했다. 조달 목표가 30억 달러(약 3조5400억원)에 이른다. 이는 국내 전자상거래 기업 쿠팡과 중국 차량공유기업 디디추싱에 이어 올해 미국 증시 IPO 가운데 세 번째로 큰 규모다. 누뱅크는 2013년 5월에 처음 영업을 시작한 인터넷은행이다. 현재 4000만명 이상의 고객을 확보한 브라질 최대 인터넷은행으로 성장했다. 브라질 상파울루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독일 베를린과 멕시코 멕시코시티에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해서웨이가 지난 6월 이 회사에 5억 달러(약 5900억원)를 투자하며 주목을 받았다. 당시 기업가치는 300억 달러(35조4
								[더구루=오소영 기자] 글로벌 이동통신사 15곳이 브라질 5세대 이동통신(5G) 주파수 입찰에 출사표를 던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미뤄진 주파수 입찰이 시작되고 5G 상용화가 본격화되면서 화웨이의 행보에 이목이 쏠린다. 1일 코트라 브라질 상파울루무역관에 따르면 브라질 국가정보통신위원회는 5G 전용 주파수 대역 입찰에서 15곳으로부터 입찰 제안서를 받았다. 아르갈 텔레콤과 브라질 디지털 텔레콤, 클라로, 플라이 링크, TIM, Vivo 등이 참여했다. 당초 브라질 주요 통신사인 Oi도 참여가 예상됐으나 기업 회생 절차에 들어가 참가하지 못했다. 이번 5G 입찰은 세계 최대 규모다. 700㎒, 2.3㎓, 3.5㎓, 26㎓ 등 4개 주파수 대역이 입찰에 부쳐지며 이 중 3.5㎓, 26㎓가 5G 전용이다. 모든 주파수 대역이 낙찰될 시 5G 입찰 규모는 약 497억 헤알(약 10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브라질 정부는 오는 4일 입찰을 개시하고 제안서를 평가해 최종 사업자를 선정한다. 수주 업체는 5G 통신망에 사용할 장비 구매와 송전탑 설치를 맡는다. 낙찰받은 주파수 대역에서 20년간 사업을 할 수 있는 권리도 갖는다. 아울러
								[더구루=정예린 기자] 대만 폭스콘과 손잡으면서 '애플카'의 유력 생산 파트너로 떠오른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피스커'가 CATL과 손 잡았다. LFP(리튬·인산·철)와 NCM(니켈·코발트·망간) 등 두 가지 종류의 배터리를 조달한다. 피스커는 CATL과 첫 전기차 '피스커 오션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에 탑재할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오는 2023년부터 2025년까지 연간 5GWh 이상의 배터리를 납품 받는다. 배터리 팩 용량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최대 250kW의 피크 충전 전력을 지원한다. 이는 지난해 피스커가 밝힌 150kW보다 100kW 더 높다. 피스커는 "피스커와 CATL 팀은 2020년부터 차량 구조, 충돌 내구성, 매우 높은 수준의 에너지 밀도에 최적화된 동급 최고의 피스커 배터리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긴밀하게 협력해왔다"며 "현재 팀은 팩과 차량의 광범위한 테스트와 검증을 실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올해 초 헨릭 피스커(Henrik Fisker) 피스커 최고경영자(CEO)는 주요 배터리 업체와 미국이나 유럽에 배터리셀 합작 공장 설립을 검토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각형 배터리셀 탑재 전략을 고수하면
									
									
									
									
									
									
									
									
									
									
									
									
									
									
									
									
									
									
									
									
									[더구루=이꽃들 기자] 배달의민족 모기업 딜리버리히어로(Delivery Hero)가 유엔(UN)의 새로운 환경 이니셔티브인 '딜리버리-E 연합(Deliver-E Coalition)'에 창립 멤버로 참여하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대폭 강화한다. 이번 결정은 전 세계적으로 팽창하는 배달 서비스 시장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배터리 제조사 고션 하이테크(Gotion High Tech, 이하 고션)가 스페인에 배터리 소재 공장 건설을 추진한다. 고션은 새로운 소재 공장을 기반으로 파트너사인 이노뱃(InoBat)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