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정등용 기자] 중국의 9월 구리 생산량이 월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황산 가격 호조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14일 중국 유색금속산업 연구기관 안타이커(ANTAIKE)에 따르면 중국 내 22개 제련소의 9월 구리 음극 생산량은 91만1800t(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 전월 대비 0.7% 각각 증가했다. 이는 월간 사상 최대치다. 올해 3분기 누적 생산량도 전년 동기 대비 12.7% 증가한 775만t에 달했다. 이 같은 중국 구리 생산량 증가는 구리 제련업체들이 높은 관세를 받은데다 구리 생산 부산물인 황산 가격이 상대적으로 좋았던 데 따른 결과란 게 안타이커 분석이다. 실제로 중국 현물 시장의 구리 정광 처리 비용은 9월 중순 이후 톤당 93.50달러로 지난 2019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다만 안타이커는 일부 구리 생산업체들이 황금연휴 기간 동안 가동을 축소함에 따라 10월 생산량은 90만2000t으로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파이낸셜 타임즈(FT)는 글로벌 광산업체들이 지난 5~6일 영국 런던에서 개최된 FT 광업포럼에서 구리 시장 내 장기간 초과 수요 현상이 심화할 것이란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고 보도했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가 미국 텍사스주 뉘에스 카운티 코퍼스 크리스티에 건설 중인 리튬 정제소 시범 가동에 돌입한다. 증설 가능성도 시사, 안정적인 공급망을 갖춰 리튬 수요에 적기 대응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칠레의 9월 구리 수출액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구리 생산량도 회복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이 잇따른다. 13일 칠레 중앙은행이 발표한 9월 월간 무역 수지 현황에 따르면 칠레는 9억7600만 달러(약 1조3083억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이 중 칠레의 핵심 수출품인 구리의 월간 수출액은 38억6000만 달러(약 5조1705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했다. 대형 채굴업체들은 칠레의 3분기 구리 생산량이 감소하긴 했지만 4분기부터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캐나다계 원자재 기업 아메리고(Amerigo Resources)는 지난 3분기 칠레의 구리 생산량은 1112만 파운드(lbs)로 전년 동기 대비 31% 감소했다고 밝혔다. 아메리고는 해당 기간 내린 많은 비로 인해 구리 채굴 활동이 자주 중단되면서 구리 생산에 차질이 빚어졌다고 설명했다. 다만 아메리고는 4분기부터 칠레 구리 채굴 활동이 다시 정상 궤도에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아메리고는 4분기 구리 생산량이 기존 예상치인 1660만 파운드를 넘어설 수 있을 것으로 확신했다. 칠레 국영 광업 기업이자 세계 최대 구리 생산 기업 중 하나인 코델코(Codel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반도체 업체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이 모바일 저전력 D램인 LPDDR5X 시리즈를 공식 출시하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경쟁사를 맹추격하고 있다. 미국의 고강도 수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중국 메모리 기업들의 기술 자립화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이 일본에서 파트너십 확대에 나섰다. 앤트로픽은 향후 서울과 인도 벵갈루루에서도 생태계 확장에 나설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