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세계 최대 연기금 가운데 하나인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인도네시아 최대 기술기업 고투(GoTo)에 투자했다. 작년 하반기 주가가 저점을 찍으면서 저가 매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7일 금융권에 따르면 노르웨이 중앙은행 투자관리청(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NBIM)은 지난해 12월 말일 현재 고투 주식 26억주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분율은 0.22% 수준이다. 작년 말 매수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투는 지난 2021년 5월 인도네시아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인수합병(M&A)을 통해 탄생한 회사다. 차량 공유 플랫폼 회사 고젝(Gojek)과 전자상거래 업체 토코피디아(Tokopedia)이 합병해 고투가 설립됐다. 금융 플랫폼을 기반으로 주문형 서비스와 전자상거래, 금융 기술을 고객에게 제공하며 싱가포르, 베트남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가고 있다. 앞서 고투는 작년 4월 인도네시아 증시에 상장했다. 기업공개(IPO)를 통해 11억 달러(약 1조3800억원)를 조달했다. 상장 당시 세계에서 다섯번째로 큰 규모의 IPO였다. 구글과 텐센트, 소프트뱅크, 싱가포르 테마섹, 아부다비투자
[더구루=홍성환 기자] 인도네시아 최대 기술기업 고투(GoTo)가 내달 보호예수(락업) 기간 만료를 앞두고 2차 공모를 추진한다. [유료기사코드] 고투는 24일(현지시간) "다음 달 락업 기간이 끝난 이후 프리 기업공개(Pre-IPO) 주주들이 보유한 주식에 대해 2차 공모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다만 신주를 발행 또는 판매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 주식이 희석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고투는 지난 4월 인도네시아 증시에 상장했고, 오는 11월 30일 락업 기간이 만료될 예정이다. 고투는 IPO를 통해 11억 달러(약 1조5800억원)를 조달했다. 고투의 IPO 안내서를 보면 프리 IPO에 참여한 주주는 △고투피플버스펀드(9.35%) △SVF GT Subco(9.02%) △타오바오 차이나 홀딩스(9.16%) △사함 아낙 방사(2.35%) 등이 있다. 이와 관련해 고투는 현재 알리바바와 소프트뱅크 등과 지분 매각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고투는 작년 5월 인도네시아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인수합병(M&A)을 통해 탄생한 회사다. 차량 공유 플랫폼 회사 고젝(Gojek)이 전자상거래 업체 토코피디아(Tokopedia)를 인수·합병
[더구루=홍성환 기자] 인도네시아 최대 기술기업 고투(GoTo)가 전환사채 발행을 통해 약 1조3000억원을 조달할 계획이다. 사업 확장을 위한 투자 재원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1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고투는 10억 달러(약 1조3500억원) 규모로 전환사채 발행을 검토 중이다. 오는 4분기 중 발행할 예정으로, 현재 투자은행(IB)과 이를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투는 작년 5월 인도네시아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인수합병(M&A)을 통해 탄생한 회사다. 차량 공유 플랫폼 회사 고젝(Gojek)이 전자상거래 업체 토코피디아(Tokopedia)를 인수·합병하며 고투를 설립했다. 금융 플랫폼을 기반으로 주문형 서비스와 전자상거래, 금융 기술을 고객에게 제공하며 싱가포르, 베트남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가고 있다. 고투는 지난 4월 11억 달러(약 1조4900억원)를 조달하며 인도네시아 증시에 상장했다. 올해 전 세계에서 이뤄진 기업공개(IPO) 가운데 다섯번째로 큰 규모다. 주요 투자자로는 구글, 텐센트, 소프트뱅크 등이 있다. 고투는 암호화폐 시장 진출도 모색 중이다. 이를 위해 지난달 인도네시아 현지 암호화폐 거래소
[더구루=홍성환 기자] 구글, 텐센트, 소프트뱅크 등 글로벌 IT기업들이 투자한 인도네시아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 고투(GoTo)가 기업공개(IPO)에 시동을 걸었다. [유료기사코드] 고투는 15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 상장을 통해 최대 13억 달러(약 1조6100억원)를 조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고투가 이날 IDX에 제출한 투자설명서에 따르면 480억~520억주의 시리즈A 보통주를 발행할 예정이다. 공모가 범위는 316~346억 루피아다. 이를 통해 최소 11억 달러(약 1조3700억원)를 조달하고 그린슈(초과배정옵션)가 행사되면 1억6000만 달러(약 2000억원)가 추가된다. 오는 21일까지 수요 예측을 진행하고 이달 29~31일 공모를 실시한다. 이후 내달 4일 인도네시아 증시에 정식으로 상장될 예정이다. 공모가가 최상단으로 결정되면 시가총액은 288억 달러(약 36조원)에 이른다. 고투는 작년 5월 인도네시아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인수합병(M&A)을 통해 탄생한 회사다. 차량 공유 플랫폼 회사 고젝(Gojek)이 전자상거래 업체 토코피디아(Tokopedia)를 인수했다. 두 회사의 합병으로 고젝이 운영하던 고페이 등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후지쯔(Fujitsu)가 1만 큐비트급 초전도 양자컴퓨터 개발에 착수했다. 후지쯔는 단기적으로 산업 현장에 적용가능한 실용적 양자컴퓨팅 솔루션을 개발하면서, 다이아몬드 스핀 큐비트와 고성능 컴퓨터(HPC) 플랫폼 등 차세대 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한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후지쯔는 2030년 회계연도까지 1만 큐비트급의 초전도 양자컴퓨터를 개발하기로 했다. 후지쯔는 새롭게 개발할 양자컴퓨터로 재료 과학 분야 등에서 성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후지쯔의 초전도 양자컴퓨터는 250개의 논리적 큐비트로 작동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큐비트는 물리적 큐비트와 논리적 큐비트로 구분된다. 물리적 큐비트는 양자컴퓨터 하드웨어에서 구현되는 일반적인 큐비트를 말하며, 논리적 큐비트는 여러 개의 물리적 큐비트를 결합해 양자 오류를 보정하여 더욱 정확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가상의 큐비트를 의미한다. 이를위해 후지쯔는 자체개발한 STAR 아키텍처를 적용한다. STAR 아키텍처는 초기단계 내결함성 양자 컴퓨팅 아키텍처(early-stage fault-tolerant quantum computing, EFTQC)다. EFTQ
[더구루=김명은 기자] 미국 보건당국이 백신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인 '메신저 리보핵산(mRNA)' 기술 개발 사업을 중단하기로 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시작된 mRNA 관련 투자와 프로젝트를 재검토한 결과, 추가 개발 비용 대비 기대 효과가 낮다고 판단했다. mRNA 기술은 감염병 대응은 물론, 암, 희귀질환, 자가면역질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미래 의학의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정부의 결정은 글로벌 백신 개발의 흐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미국 보건복지부는 5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백신·의약품 개발을 지원하는 '생물의학첨단연구개발국(BARDA)'이 mRNA 백신 개발 활동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BARDA는 공중보건 위협에 대응할 의약품 개발을 지원하며,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백신 개발에 수십억 달러를 투입했다. 이번 조치에는 모더나(Moderna)의 조류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계약 취소와 정부의 백신 구매 권리 포기도 포함된다. 화이자(Pfizer), 사노피 파스퇴르(Sanofi Pasteur), CSL 시퀴러스(CSL Seqirus), 그릿스톤(Gritstone) 등 여러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