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3위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업체인 미국 글로벌파운드리가 자동차용 반도체 생산 확대를 위해 중국 파운드리와 협력한다. 중국 내 생산 거점을 확대해 해외 시장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듀얼 소싱 모델을 채택한 것이다. 이미 글로벌파운드리의 자동차용 반도체가 중국 고객사에 공급되고 있는 만큼 중국과의 협력으로 탄탄한 유대 관계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파운드리는 중국 파운드리와 협력하여 '중국 제조(Made in China)' 전략을 가속화한다. 협력은 우선 자동차용 상보성금속산화막반도체(CMOS)와 복합전압소자(BCD) 공정 출시에 집중될 예정이다. 중국 현지 제조 전략은 단순히 중국 시장에서 제품을 판매하는 것을 넘어 중국 소비자의 니즈에 맞춰 현지에서 연구 개발과 디자인, 생산, 공급망 구축 등을 현지환다는 전략이다. 글로벌파운드리의 중국과의 협력은 중국 내 수요가 있는 국내외 반도체 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고객사는 팹 이전시 칩을 재설계하거나 재인증하지 않고도 생산을 전환할 수 있다. 팀 브린(Tim Breen) 글로벌파운드리 최고경영자(CEO)는 "중국 현지 생산을 통해 제품을 공급하는
[더구루=오소영 기자] 유럽연합(EU)이 TSMC와 인텔 등으로부터 1000억 유로(약 140조원) 상당의 반도체 투자를 유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반도체법이 발효되며 유럽 내 투자액이 증가할 전망이다. 29일 코트라 브뤼셀무역관에 따르면 EU 전역에 총 68개 1000억 유로 규모의 반도체 프로젝트가 발표됐다. 대만 TSMC는 보쉬, 인피니언, NXP와 합작사를 꾸려 독일에 반도체 공장을 짓는다. 100억 유로(약 14조원)를 투자해 2027년 하반기 양산 예정이다. 인텔은 지난 6월 독일에 300억 유로(약 43조원) 투자를 발표했다. 양사는 각각 50억 유로(약 7조원), 99억 유로(약 14조원)의 보조금을 지원받는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와 글로벌파운드리도 7월 태양광용 반도체 웨이퍼(300㎜) 공장 건설을 시작했다. 프랑스 정부로부터 29억 유로(약 4조원)의 보조금을 받을 예정이다. 2026년 가동을 목표로 한다. 유럽의 반도체 투자는 반도체법 발효 영향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럽은 2030년까지 전 세계 반도체 시장 점유율 20% 달성을 목표로 지난달 21일 반도체법을 발효했다. 이 법안은 크게 △ EU 반도체 생산역량 강화를 위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글로벌파운드리가 현지 국방부로부터 4조원 이상의 반도체 공급 계약을 따냈다. 세 번 연속 장기 계약에 성공하며 미국 대표 방위·항공우주 칩 공급사로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6일 글로벌파운드리에 따르면 회사는 미 국방부와 31억 달러(약 4조15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글로벌파운드리는 10년 동안 미국 방위·항공우주 산업에 쓰일 반도체를 공급한다. 계약의 일환으로 미 국방부로부터 이달 1730만 달러(약 230억원)를 받았다. 10년 동안 총 31억 달러를 받게 된다. 글로벌파운드리가 공급할 칩은 엄격한 보안 조치가 구현된 미국 공장에서 제조된다. 글로벌파운드리는 앞서 국방부로부터 높은 보안성을 입증하는 '카테고리 1A' 인증을 받았었다. 글로벌파운드리는 이번 계약으로 미 국방부와 세 번 연속 10년 계약을 체결하게 됐다. 작년 5월에는 1억1700만 달러(약 1500억원) 규모 공급 계약을 맺었다. 미국 뉴욕주 몰타 소재 '팹8'에서 생산한 45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반도체 공급을 추진했다. <본보 2022년 5월 3일 참고 글로벌파운드리, 美 국방부와 계약…45나노 반도체 공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글로벌파운드리와 스위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마이크로)가 프랑스 정부로부터 반도체 합작공장에 대한 지원금을 받는다. 대규모 보조금으로 반도체 공급망을 확보하려는 유럽의 행보에 발동이 걸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는 지난달 28일(현지시간) 글로벌파운드리와 ST마이크로의 반도체 공장에 대한 프랑스 정부의 지원 요청을 승인했다. 보조금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EC는 "74억 유로(약 11조원) 상당의 투자를 지원하기 위한 직접 보조금 형태를 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글로벌파운드리와 ST마이크로는 현지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공장 건설에 나선다. 양사는 작년 7월 프랑스 그르노블에 반도체 합작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했다. 연간 최대 62만 장 상당의 300㎜ 웨이퍼 생산능력을 갖추고 2027년 완전 가동을 목표로 한다. 신공장은 자동차와 가전제품 등에 쓰이는 18나노미터(㎚·10억분의 1m) 완전공핍형 실리콘 온 인슐레이터(FD-SOI) 공정 기반의 반도체를 생산한다. FD-SOI는 실리콘 웨이퍼 위에 얇은 절연 산화막을 만들고 그 위에 평면형 트랜지스터 전극을 구성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가 미국 AMD를 고객사로 품는다. 미세 공정의 경쟁력을 입증하고 2030년까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를 포함한 시스템 반도체 시장에서 1위 달성에 역량을 모은다. 9일 업계에 따르면 AMD는 삼성 파운드리 14나노미터(㎚·10억분의 1m) 공정에서 반도체를 생산할 것으로 보인다. 그래픽처리장치(GPU)와 젠·젠+ 기반 프로세서 제조를 삼성에게 요청할 전망이다. AMD와 삼성전자의 협력설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미국 투자은행 JP모건체이스는 2021년 AMD가 크롬북 중앙처리장치(CPU)를 삼성전자 4㎚ 공정에서 양산한다고 밝혔었다. 작년 8월 업계에서는 AMD가 구형 제품 중 일부를 삼성전자에 위탁 생산할 수 있다는 소문이 돌았었다. AMD는 한때 지분을 보유한 글로벌파운드리에서 10나노 이상 구형 제품을 양산했었다. 초미세 공정인 7나노 이하 칩은 TSMC에 전량 맡겼다. 최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IT·가전쇼 'CES 2023'에서 공개된 노트북용 고성능 프로세서 '라이젠 7045HX'를 TSMC의 5나노 공정에서 만들었었다. AMD는 공급사를 다각화하고자 두 회사의 대안으로 삼성을 주목하고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글로벌파운드리와 스위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M)가 프랑스에 반도체 공장 건설을 모색하고 있다. 반도체 투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공급망을 강화하려는 유럽 정부의 행보에 글로벌 반도체 회사들이 호응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파운드리와 STM은 프랑스에 신규 팹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유럽 칩법'(European Chips Act)의 지원을 받아 유럽에서 생산능력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투자액과 생산량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 유럽 칩법은 초대형 반도체 인프라를 구축하고자 430억 유로(약 58조원)를 투입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유럽연합(EU)집행위원회는 막대한 지원을 앞세워 투자를 유치하고 유럽 반도체 생산 점유율을 현재 9%에서 20%까지 올린다는 포부다. 인텔이 가장 먼저 움직였다. 향후 10년간 유럽에 110조원을 투자하기로 하며 유럽 칩법의 혜택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파운드리와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도 유럽 정부의 지원과 맞물려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 글로벌파운드리는 독일 드레스덴에 팹1을 운영하고 있다. 기존 부지를 활용해 증설을 살펴왔다. STM은 프랑스 크롤에 12인치
[더구루=오소영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인수한 미국 보스턴다이내믹스가 파운드리 회사 글로벌파운드리의 반도체 공장에서 사족보행 로봇견 스팟(SPOT)을 테스트했다. 건설사, 재난 현장에 이어 반도체 생산시설로 활용처를 넓히며 추가 수주를 노린다. [유료기사코드] 보스턴다이내믹스는 지난 12일(현지시간) 유튜브에 글로벌파운드리의 팹에 스팟을 도입하고자 테스트를 수행하는 영상을 공개했다. 테스트는 미국 버몬트주 벌링턴에 위치한 글로벌파운드리의 8인치(200㎜) 웨이퍼 팹에서 진행됐다. 미국 레바타스가 개발한 머신러닝 소프트웨어가 스팟에 적용됐다. 총 3분32초 길이의 영상에는 스팟이 공장 내부를 돌아다니며 장비의 게이지를 판독하고 온도를 측정하는 모습이 담겼다. 스팟은 조치가 필요할 시 경보를 발령해 내부 팀에 알렸다. 사만타 개리슨(Samantha Garrison) 글로벌파운드리 자동화 담당은 "수명 주기가 매우 길고 교체 주기가 긴 장비를 많이 보유하고 있다"며 "모든 장비를 센서화하는 것은 경제적이지 않으며 모빌리티 로보틱스가 한 세트의 센서에 접근하도록 하는 방안이 더 실용적이다"라고 이번 테스트의 의미를 설명했다. 글로벌파운드리의 제조·자동화 엔지니어인
[더구루=오소영 기자] AMD가 대만 TSMC, 미국 글로벌파운드리 등 파운드리 파트너사에 8조원이 넘는 선불금을 쏜다. 연내 출시 예정인 5·6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기반 중앙처리장치(CPU)·그래픽처리장치(GPU)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위해서다. [유료기사코드] AMD는 지난 3일(현지시간) 공개한 1분기 분기보고서에서 "올해 TSMC와 글로벌파운드리 등 파운드리 회사에 약 65억 달러(약 8조3030억원)를 선지급하겠다"고 밝혔다. 내년에 19억 달러(약 2조4270억원)를 선불로 내고 2024년 이후까지 수십억 달러의 규모를 유지할 계획이다. AMD가 선불금 지급에 나선 이유는 공급량을 보장받으려는 데 있다. 코로나19로 IT와 가전 수요가 늘며 반도체 시장은 초호황을 맞았다. 수요는 넘쳐나지만 파운드리 회사들의 생산량은 제한적이다. 공급난이 지속되면서 대형 팹리스 업체들은 물량을 확보하고자 파운드리 회사에 경쟁적으로 선불을 지불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지난해 선불금으로 90억 달러(약 11조4990억원)를 썼다. 올해 5나노 공정의 그래픽처리장치(GPU) 생산을 주문하며 TSMC에 100억 달러(약 12조7790억원) 이상 낼 수 있다는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파운드리 회사 글로벌파운드리가 몰타 공장 증설에 시동을 걸었다. 지방 정부에 기본 설계안을 제출하고 의견을 나누며 투자 지연을 만회하고자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파운드리는 지난 26일 오후 5시(현지시간) 몰타 계획위원회 회의에서 팹 8.2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새 시설의 85%를 몰타, 15%를 오클라호마주 스틸워터에 구축하는 기본 설계를 공유했다. 세부 사안은 공개되지 않아지만 투자액은 약 50~100억 달러(약 6조3670~12조7350억원)로 추정되며 1000여 명의 근로자가 일할 것으로 추정된다. 글로벌파운드리는 작년 말 새 공장의 투자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었다. 뉴욕주 사라토가카운티 루터포레스트 테크놀로지캠퍼스도 후보로 오르며 투자가 임박해 보였으나 결과적으로 늦어졌다. 업계에서는 작년 6월 상원을 통과해 하원에 계류 중인 미국 반도체생산촉진법의 영향 때문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이 법안은 2024년까지 미국 내 반도체 제조 시설 투자액의 최대 40%에 해당하는 세액을 공제해주는 내용을 담고 있다. 법안 발효 시 글로벌파운드리는 신규 투자로 최대 20억 달러(약 2조3800억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글로벌파운드리가 벨기에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모듈 개발사와 손잡고 증강현실(AR) 시장을 공략한다. [유료기사코드] 글로벌파운드리와 MICLEDI 마이크로디스플레이스(MICLEDI Microdisplays, 이하 MICLEDI)는 지난 24일(현지시간) "AR 글래스용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모듈 생산에 협력한다"고 밝혔다. MICLEDI는 세계 최대 비영리 반도체 연구소인 벨기에 IMEC에서 분사해 2019년 설립된 회사다.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발하고 있다. 2020년 450만 유로(약 60억원)를 조달하고 이듬해 710만 유로(약 95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며 파일럿 생산을 모색해왔다. 글로벌파운드리는 MICLEDI의 모듈을 22FDX(22nm FD-SOI) 공정에서 생산한다. 이 회사는 12인치(300㎜) 웨이퍼 팹에 22FDX를 적용해왔다. 글로벌파운드리는 MICLEDI와 협력해 모듈 생산에 박차를 가하며 AR 시장을 공략한다. 업계는 AR 시장이 2021년부터 연평균 31.5% 성장해 2026년 884억 달러(약 107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에드 카스테 글로벌파운드리 산업·
[더구루=오소영 기자] 세계 4위 파운드리 기업 글로벌파운드리가 차세대 실리콘 포토닉스 플랫폼을 공개했다. 데이터 처리 속도와 에너지 효율성을 높인 고성능 칩 양산을 지원한다. [유료기사코드] 글로벌파운드리는 지난 7일(현지시간) 실리콘 포토닉스 플랫폼 GF 포토닉스(GF Fotonix)를 발표했다. 실리콘 포토닉스는 반도체 내의 정보를 전기 대신 빛으로 전달하는 기술이다. 빛으로 전송할 때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고 전력 소모량이 적으며 고집적화·대형화에 유리해 반도체 업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고집적화로 인한 케이블 연결이나 채널 간섭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글로벌 파운드리가 개발한 GF 포토닉스는 단일 실리콘 칩에 300mm 포토닉스 시스템과 300GHz급 무선주파수(RF) CMOS 기술이 결합된 플랫폼이다. 여러 칩에 분산된 복잡한 공정을 통합하며 최종 고객이 더 큰 용량과 우수한 성능을 갖춘 반도체를 구현하도록 한다. 광섬유당 업계 최고의 데이터 전송률(0.5Tbps)를 자랑하며 시스템 오류율도 1만배 향상됐다. 글로벌 파운드리는 오는 4월부터 뉴욕 몰타 소재 생산시설에서 GF 포토닉스 솔루션을 생산할 계획이다. 케이던스와 시놉시스, 앤시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글로벌파운드리가 신규 반도체 공장 건설을 미뤘다. 반도체 제조 시설에 막대한 혜택을 제공하는 미국 반도체생산촉진법(CHIPS for America Act)의 보류 여파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파운드리는 팹 8.2 투자 발표를 연기했다. 글로벌파운드리는 뉴욕주 사라토가카운티 루터포레스트 테크놀로지캠퍼스(Luther Forest Technology Campus)에 팹 8.2를 건설할 예정이었다. 50~100억 달러(약 5조9500~11조9000억원)를 투자하며 1000개가 넘는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됐다. 지난달 공식적으로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건설에 착수하려 했지만 아직 감감 무소식이다. 업계는 미국 반도체생산촉진법의 보류 여파로 보고 있다. 이 법안은 2024년까지 미국 내 반도체 제조 시설 투자액의 최대 40%에 해당하는 세액을 공제해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상원을 통과했으나 하원에서 계류 중이다. 글로벌파운드리는 반도체생산촉진법의 통과와 투자는 아무 관련이 없다는 입장이다. 글로벌파운드리는 미국 일간지 타임스유니온(Times Union)을 통해 "팹8의 확장을 위해 완벽한 신청서를 준비하고
[더구루=홍성일 기자] 의료기술 기업 마시모(Masimo)가 미국 세관국경보호국(US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 CBP)을 상대로 소송전을 개시했다. 2023년 애플의 패소로 마무리됐던 '혈중 산소 측정' 특허 분쟁이 2년여만에 재점화되며 확전으로 이어지는 양상이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업계에 따르면 마시모는 20일(현지시간) 워싱턴 D.C. 연방 지방법원에 CBP와 로드니 스콧(Rodney S. Scott) 국장, 크리스티 놈(Kristi Noem) 국토안보부 장관을 고소했다. 마시모는 애플의 새로운 혈중 산소 측정 기능의 미국 수입을 허용한 CBP의 결정이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마시모와 애플의 분쟁은 2020년 시작됐다. 마시모와 자회사인 세르카코연구소(Cercacor Laboratories)가 애플을 자사 핵심인력을 빼내 영업 기밀을 훔쳤다며 고소한 것. 마시모 측은 2013년 애플이 기술 협력을 요청해 협의를 진행했고, 이후 최고의료책임자였던 마이클 오레일리(Michael O'Reilly)와 세르카코연구소 최고기술책임자(CTO)인 마르셀로 라메고(Marcelo Lamego), 핵심 개발 직원 30명을 영입했다고 설명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월가의 퀀트 트레이딩 회사인 '제인 스트리트(Jane Street Group)'가 데이터센터 기업 코어위브(CoreWeave)에 투자했다. [유료기사코드] 22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제인 스트리트는 지난 13일 코어위브 주식 약 2000만주를 매수했다. 매수 가격은 이날 종가(117.76달러) 기준 23억5520만 달러(약 3조3000억원)에 이른다. 제인 스트리트가 보유한 코어위브 지분은 5.4%로, 마그네타파이낸셜·FMR·엔비디아에 이어 네번째 많은 지분을 보유한 기관 투자자가 됐다. 제인 스트리트는 세계 최대 퀀트 트레이딩 기업이다. 퀀트 트레이딩은 수학 모델과 통계 분석을 기반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는 자동화된 거래 방식을 의미한다. 데이터 분석과 과거 성과 검증(백테스트)을 기반으로 전략을 세우고, 감정 개입 없이 객관적인 매매를 실행한다는 게 특징이다. 코어위브는 올해 3월 공모가 40달러로 미국 증시에 상장됐다. 상장 이후 주가가 계속 상승세를 보이며 6월 한때 180달러선까지 치솟았다. 다만 21일 현재 주가는 90.79달러로 고점 대비 반토막 났다. 코어위브는 엔비디아의 AI 반도체를 이용한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