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정부가 연방정부 소유 공공부지 내 AI 데이터센터 개발을 본격화한다. [유료기사코드] 미국 에너지부(DOE)는 28일 AI 데이터센터 개발을 우선 추진할 연방정부 공공부지 4곳을 선정했다. △아이다호주 아이다호 국립연구소 △테네시주 오크리지 국립연구소 △켄터키주 파두카 기체 확산 플랜트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사바나강 핵시설 등이다. 에너지부는 해당 사업과 관련해 민간 사업자 유치를 시작한다는 방침이다. 각 부지별 프로젝트 범위와 자격 요건, 제출 지침 등 자세한 내용은 추후 공개할 예정이다. 이르면 연내 사업자 선정을 끝내고 2027년 말 부터 운영을 시작할 계획이다. 앞서 에너지부는 지난 4월 데이터센터 등 AI 관련 인프라 개발을 위한 연방정부 공공부지 16곳을 공개한 바 있다. <본보 2025년 4월 4일자 참고 : [단독] 美, 연방정부 공공부지 16곳에 AI 데이터센터 짓는다>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부 장관은 "이 부지들은 데이터센터와 전력 생산 시설을 유치해 전력망 신뢰성을 높이고 국가 안보를 강화하며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입지"라며 "에너지부 부지 자산을 활용해 AI 및 에너지 인프라를 구축해 차기 맨해튼 프로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전기차 업체 루시드가 미국 자동차 및 전기차 제조 공급망 강화를 위해 핵심 광물 생산업체와 협력한다. 미국의 광물 자립을 강화해 해외 의존도를 줄이고 미국 산업과 에너지 안보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유료기사코드] 28일 루시드에 따르면 주요 광물 생산업체인 알래스카 에너지 메탈스(Alaska Energy Metals)와 그래파이트 원(Graphite One), 일렉트릭 메탈스(Electric Metals), 리사이클리코(RecycLiCo) 등과 협력해 자동차 제조에 사용할 국내 핵심 광물 자원의 개발과 조달을 가속화한다. 이들은 새롭게 출범한 국가 자동차 경쟁력 강화를 위한 광물 협력체(MINAC)를 통해 미국 기반 자동차 공급망을 강화한다. MINAC은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와 1차 공급업체가 국내에서 생산된 자재의 적격성 평가와 조달을 지원한다. 미국산 핵심 광물에 대한 미국산 자동차용 장기 구매 계약(오프테이크·Off-take) 계약을 체결해 국내 광물 생산을 촉진한다. 마크 빈터호프(Marc Winterhoff) 루시드 임시 최고경영자(CEO)는 "국내 공급망은 제조업의 회복력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공급망을 공고히 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