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확장현실(XR)·증강현실(AR) 기업 '디지렌즈(DigiLens Inc.)'가 오는 4월 한국을 찾는다. 파트너사를 초청해 스마트글래스를 선보이고 한국 시장을 겨냥한 비전을 공유한다. 삼성전자와의 파트너십을 토대로 한국에서 사업 보폭을 확대하고 있다. 브라이언 헤밀턴(Brian Hamilton) 디지렌즈 판매·마케팅 담당은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와 올해 4월 개최를 목표로 서울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에 AR 기술을 구현하고 새 제품·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많은 회사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그들을 한 곳에 초대해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AR 분야에서 가장 진보적이고 비전이 있는 시장인 한국을 공략하려는 우리의 의지를 보여주길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디지렌즈는 이번 행사에서 AR·XR 스마트글래스 '아르고(ARGO)'를 소개할 예정이다. 아르고는 작년 초 출시된 제품이다. 디지렌즈가 독자 개발한 '도파관(웨이브가이드)' 기술이 적용됐다. 도파관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나온 빛의 회절과 반사를 활용해 사용자가 보는 글래스에 영상을 투사하는 기술이다. 또한 퀄컴의 '스냅드래곤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투자한 미국 확장현실(XR) 전문 기술업체 '디지렌즈(DigiLens)'가 증강현실(AR) 소프트웨어 플랫폼 회사 '택타일(Taqtile)'이 손을 잡는다. 산업용 차세대 솔루션을 개발해 생산성 개선을 돕는다는 목표다. 27일 디지렌즈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택타일과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디지렌즈의 XR 기반 스마트글래스 '아르고(ARGO)'와 택타일의 AR 기반 작업 지침 소프트웨어 플랫폼 '매니페스트(Manifest)'를 결합한다. 매니페스트는 작업자가 직접 문서 작업을 거치지 않아도 운영 절차나 단계별 작업 지침을 문서화하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작업 성과나 기록을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과정을 촬영한 영상을 이미지, 텍스트, PDF 파일 등으로 손쉽게 변환할 수 있다. 디지렌즈와 택타일은 양사 기술 결합을 통해 이용자들이 저렴한 가격이 뛰어난 확장성을 경험하고 효율적이고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제조, 에너지, 의료, 물류, 제약, 통신, 방위 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는 게 양사의 설명이다. 디지렌즈는 VR과 AR 분야에서 2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투자한 미국 확장현실(XR) 전문 기술업체 '디지렌즈(DigiLens)'가 중국 '옴니비전'과 손잡는다. 고성장이 예상되는 중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유료기사코드] 디지렌즈는 5일(현지시간) 팹리스(반도체 설계) 업체 '옴니비전'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양사는 옴니비전의 초소형 패널, 카메라 센서 등을 탑재한 새로운 증강현실(AR)·가상현실(VR)·확장현실 기기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디지렌즈는 스마트 글래스 등 관련 기기를 구현하는 데 필수적인 엘코스(LCoS) 패널과 셔터 어안 카메라 센서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밝기와 투명도를 높인 LED 프로젝터, 6DoF 공간 정확도 등을 갖춘 고성능 스마트 글래스 등을 제공할 수 있을 전망이다. 엘코스 패널은 실리콘웨이퍼에 액정을 배치한 제품이다. 일반 디스플레이와 같이 적녹청(RGB) 화소로 구성된 패널이지만 크기가 1인치도 안되는 초소형에도 4K 해상도를 지원한다. 글로벌 시장에서 사용되는 엘코스 패널 대부분이 옴니비전과 일본 소니 등 2개 업체가 생산한 제품이다. 옴니비전은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지만 중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코닝이 확장현실(XR) 전문 기술업체 '디지렌즈(DigiLens)'에 베팅했다. 삼성전자와 메타버스 관련 증강현실(AR) 기기를 공동 개발하는 등 기술력을 인정받는 유망 기업이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업계에 따르면 코닝은 최근 마감한 디지렌즈의 약 5000만 달러(약 615억원) 규모 시리즈D 펀딩 라운드에 참여했다. 디지렌즈는 이번 투자로 5억3000만 달러(약 6516억원)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았다. 디지렌즈는 가상현실(VR)과 AR 분야에서 20년 이상 연구 경력을 가진 조나단 왈던 박사가 지난 2003년 설립했다. 자체 홀로그램 웨이브가이드(도파관) 기술이 적용된 XR 기반 차세대 스마트글래스, VR 헤드셋 등을 개발하고 있다. 디지렌즈의 스마트글래스, 헤드셋 등은 웨이브가이드 기반 공정을 사용해 저비용으로 대량 양산이 가능하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또 실내외 가시성이 높아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면서도 더 넓은 시야각과 선명한 이미지를 보여준다. 소비자에게 합리적인 가격의 고성능 AR, VR 기기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기술력을 앞세워 삼성전자, 미츠비시 화학, 고어텍, UDC(Universal Display Corpora
[더구루=길소연 기자] 인공지능(AI) 기반 미국 방위산업체 안두릴 인더스트리(Anduril Industries, 이하 안두릴)가 미 국방부의 고체 로켓 모터(SRM) 공급업체에 합류한다. 고체 로켓 모터는 정밀유도 미사일의 핵심 부품이다. 지금까지는 L3해리스 테크놀러지와 노스롭 그루먼이 독점 생산해왔는데 수요 급증으로 미사일 생산의 심각한 병목 현상이 일어나자 안두릴이 시장에 진입해 공급 부족 문제를 해결한다. [유료기사코드] 안두릴은 5일(현지시간) 미국 국방부의 새로운 고체 로켓 모터 공급업체로 나선다고 밝혔다. 고체 로켓 모터 재고가 부족하고, 독점 생산업체인 L3해리스와 노스롭 그루먼이 연달아 무기 제작에 차질을 빚자 이들 업체에 이어 세 번째 고체 로켓 모터 공급업체가 됐다. 안두릴은 미시시피주 맥헨리에 위치한 고체 로켓 모터 생산시설에서 전술모터를 생산한다. 안두릴은 알루미늄화 추진제와 자사의 첨단 알리텍(ALITEC) 연료를 모두 사용해 기존 모터보다 항속거리가 최대 40% 더 길어진 로켓 모터를 제작하고 있다. 알리텍은 크기와 무게, 전력 수요를 줄이면서 탄약 사거리를 향상시켜 로켓 모터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7500만 달러(약 1039억원
[더구루=홍성일 기자] 호주 국영통신사가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Starlink) 대신 아마존 카이퍼(Kuiper)를 도입하기로 했다. 아마존 카이퍼는 연이어 통신 위성을 발사하며 저궤도(LEO) 광대역 통신 서비스 시장을 선점한 스타링크를 추격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7일 업계에 따르면 호주 국영 통신사 NBN Co(이하 NBN)는 아마존 카이퍼와 LEO 광대역 서비스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NBN은 올해 초부터 저궤도 위성 통신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모색해왔다. 계약에 따라 아마존 카이퍼는 NBN을 통해 내년 중순쯤 호주에서 출시된다. NBN은 아마존 카이퍼를 통해 기존에 제공하고 있던 스카이 머스터(Sky Muster) 광대역 통신 서비스를 대체할 예정이다. 스카이 머스터는 지난 2015년과 2016년에 각각 발사된 2대의 정지궤도(GEO) 통신 위성을 말한다. NBN은 스카이 머스터 위성을 2032년까지 운영할 계획이다. NBN은 아마존 카이퍼 출시를 통해 농촌과 오지에서 거주한 30만명 이상의 소비자에게 위성 광대역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계약으로 아마존 카이퍼의 출시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아마존 카이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