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네덜란드 화학기업 라이온델바젤(LyondellBasell)이 폴리패시픽 폴리머스 말레이시아(PolyPacific Polymers Malaysia, 이하 PPM)를 인수하고 아시아 시장을 공략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라이온델바젤은 PPM 지분 100%를 매입한다. 폴리패시픽 폴리머스는 라이온델바젤과 미르렉스(Mirlex Pty Ltd)가 50대 50 지분으로 설립한 1980년 합작사다. 폴리올레핀 컴파운드를 제조하며 인도네시아와 뉴질랜드 등에 진출했다. 1997년 말레이시아에 PPM을 세우고 동남아의 생산기지로 키워왔다. PPM의 연간 생산량은 25킬로톤(kt)에 달한다. 라이온델바젤은 인수 후 사명을 변경하고 PPM의 네트워크망을 토대로 고객사들에 제품을 공급할 계획이다. 이번 인수로 아시아 폴리올레핀 컴파운드 시장에 가세하며 글로벌 영토를 확장한다. 짐 길포일(Jim Guilfoyle) 라운델바젤 어드밴스드 폴리머 솔루션·서플라이 체인 담당은 "폴리패시픽 폴리머스가 40년간 확립한 비즈니스 명성에 감탄하며 멜버른에서 사업을 계속 운영하길 바란다"며 "아시아 지역에서 PPM의 가치를 포착하게 돼 기쁘다"고 밝혔다. 한편, 라이온델바
[더구루=홍성환 기자] 네덜란드 화학기업 라이온델바젤(LyondellBasell)과 핀란드 바이오 디젤 기업 네스테(Neste)가 친환경 바이오 원료 사업 확대를 위해 협력을 강화했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라이온델바젤과 네스테는 친환경 바이오 원료의 장기 상업 계약을 맺었다. 이에 따라 라이온델바젤은 네스테로부터 폐기물 및 잔류 오일 등 지속가능한 바이오 기반 소재에서 추출한 재생 원료를 공급받아 독일 공장에서 가공해 판매한다. 네스테는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순환 바이오 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라이온델바젤과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라이온델바젤은 "양사의 협력을 통해 고객에게 더 나은 지속가능한 제품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두 회사는 지난 2019년 공동으로 바이오 기반 폴리프로필렌과 바이오 기반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병행 상업 생산을 시작한 바 있다. 네스테는 세계 최대 바이오 디젤 기업으로 전사 영업이익의 80%가 바이오 원료와 이를 기반으로 한 친환경 제품에서 창출된다. 작년 11월 LG화학과 바이오 기반의 친환경 사업 및 관련 시장 확대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MOU)을 맺기도 했다. 라이온델바젤은 세계 최대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포드 자동차가 첨단 기술과 규모를 갖춘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들을 세계적인 위협으로 규정하며 자사의 전기차 전략을 전면 재검토한다. 중국 자동차업계가 가격 경쟁력과 디지털 라이프 통합 등으로 서구 자동차 브랜드와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판단한 포드는 경제성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더 작고 저렴한 전기차 개발에 집중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뉴스케일파워의 최대 주주인 건설사 플루어가 투자 회수에 나섰다. 플루어 투자자들이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해 뉴스케일파워 지분 매각을 촉구한 데 따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