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와 루프트한자테크닉의 합작사 'AERQ'가 글로벌 B2B(기업 간 거래) 영업 전문가를 새로운 수장으로 맞이했다. 항공사 스마트객실 구축 사업에 드라이브를 걸며 수익성 강화에 나선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AERQ는 최근 백승엽 LG전자 책임을 신임 매니징 디렉터로 선임했다. 루프트한자테크닉 출신의 안드 키커 매니징 디렉터와 공동 경영진을 맡아 AERQ를 이끈다. 백 매니징 디렉터는 고려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코네티컷 대학교 로스쿨 학위인 JD(Juris Doctor)를 취득했다. 법무법인 화우에서 외국법자문사로 근무하다 2010년 LG전자에 입사했다. 인수합병(M&A), B2B 사업개발, 글로벌 영업 관련 업무를 담당했다. 기존 LG전자측 인사로 약 3년여 간 AERQ의 매니징 디렉터를 역임한 이상수 책임은 LG전자로 복귀했다. 시니어 프로젝트 관리자로서 혁신 제품을 만들기 위한 제품 기획을 담당한다. AERQ는 신임 매니징 디렉터 영입을 계기로 수익성 확대 전략을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탄탄한 제품 포트폴리오에 백 매니징 디렉터의 B2B 영업 경험이 더해져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LG전자와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와 루프트한자테크닉의 합작사 'AERQ'가 개방형 IT 플랫폼을 선보인다. 디지털 통합 시스템과 분석 솔루션 등을 제공, 항공사의 스마트객실 구축을 가속화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AERQ는 최근 상업용 항공기를 위한 모듈식 개방형 IT 플랫폼 'AERENA'를 공식 출시했다. AERENA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웰컴 보드 등 기내 디지털 사이니지와 좌석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향후 위성통신(IFC) 방식으로 무선 연결도 지원한다. AERQ는 "AERENA는 항공사가 완전히 제어하고 사용자를 정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며 "배포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해 시스템 내 신규 앱이나 업데이트된 앱을 쉽게 배포할 수 있으며 앱 개발자, 콘텐츠 제공자와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항공사가 직접 승객의 선호도에 맞춰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예를 들어 고객사는 AERENA 내 대시보드를 통해 선택한 앱, 미디어 콘텐츠,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GUI)를 설계할 수 있다. 가상 테스트 랙을 사용해 앱을 개발한 뒤 지상 인프라에서 시범 운영을 거쳐 최종 탑재한다. 이를 통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와 루프트한자테크닉의 합작사 'AERQ'가 기내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강화를 위해 콘텐츠 회사와 손잡았다. 항공기 객실용 디스플레이뿐 아니라 솔루션까지 아우르는 스마트객실 통합 생태계를 구축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AERQ는 콘텐츠 기업 '어보브(ABOVE)'와 파트너십을 체결, 클라우드 기반 기내 미디어 콘텐츠 플랫폼을 개발한다고 지난 9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르면 오는 2023년 4분기, 늦어도 2024년 1분기 내 출시할 계획이다. 양사는 자동화된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공급 시스템을 마련, 스트리밍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전통적인 항공 객실용 콘텐츠 공급망은 수동적이고 비쌌지만 AERQ와 어보브가 개발중인 서비스는 빠르고 비용 효율적이라고 회사는 자신했다. 기존 콘텐츠 처리·통합 비용의 최대 10배 가량 절감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어보브는 미디어 파일 인코딩, 메타데이터 생성 등을 맡는다. AERQ는 고객이 클라우드에서 적절한 CMS 통합 품질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화된 클라우드 기반의 통합 워크플로우를 개발한다. 요나스 폰 크루히텐 AERQ 전략·사업 개발 책임자는 "이번 협력은 스마트객실 사업에서 더 큰 그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동박 제조업체 더푸커지(德福科技·지우장더푸테크놀로지)가 솔루스첨단소재의 유럽 룩셈부르크 동박 공장을 인수하기로 했다. [유료기사코드] 더푸커지는 30일 솔루스첨단소재 종속회사인 볼타 에너지 솔루션(Volta Energy Solutions)과 '서킷 포일 룩셈부르크(CFL)' 지분 100%를 1억7400만 유로(약 2800억원)에 인수하는 주식 매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CFL은 정보통신기술(ICT)용 동박을 제조하는 공장으로 1965년 완공됐다. 솔루스첨단소재의 전신인 두산솔루스가 2014년 인수한 공장으로, 11년 만에 매각 결정을 내렸다. 더푸커지는 "우리는 초극저조도(HVLP) 동박과 초극박(DTH) 등 최첨단 IT용 동박 제품 개발을 장기 전략으로 항상 최우선 순위에 뒀다"면서 "이번 거래가 완료되면 IT용 동박 부문에서 세계적인 선도 기업으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전했다. 더푸커지는 중국 3대 동박 제조기업이다. 동박은 두께 10㎛(마이크로미터, 1㎛=100만분의 1m) 내외의 얇은 구리 박막으로 전기차용 이차전지 핵심 소재로 주목받았다. 특히 최근에는 AI 반도체에 들어가는 주요 소재로 부각되고 있다. HVLP 동박
[더구루=홍성일 기자] TSMC를 세계 1위 파운드리 기업으로 만든 '역전의 용사'들이 연이어 퇴장하고 있다. TSMC는 차세대 리더를 발굴하며, 승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웨이젠 로(Wei-Jen Lo) TSMC 기업전략개발 부사장이 지난 27일 은퇴했다. UC버클리에서 고체물리학·화학 박사를 학위를 취득한 웨이젠 로 부사장은 인텔과 모토로라, 제록스 등에서 경력을 쌓고 2004년 운영 조직 2부 총괄로 TSMC에 입사했으며,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샹이 치앙(Shang-Yi Chiang) 부사장에 이어 연구개발(R&D) 부문 부사장으로 근무했다. 2009년부터는 제조 기술 부문 부사장으로 활동했다. 웨이젠 로는 21년간 TSMC에서 기술 연구를 이끌며 1000개에 달하는 미국 특허를 포함해, 총 1500개 이상의 특허를 확보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TSMC는 웨이젠 로 부사장의 후임으로 로라 호(Lora Ho) 인사부문 부사장을 임명했다. 로라 호는 과학자 출신인 웨이젠 로와 다르게 회계, 재무 부문 전문가로 활동해왔다. 로라 호는 1999년 회계 담당자로 TSMC에 입사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