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다정 기자] 나스닥 상장사 셀룰러리티의 자연살해(NK) 세포치료제 기반의 항암제가 미국에서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실시한다 . 셀룰러리티는 미국 식품의약국(FDA)가 'CYNK-101'에 대한 임상 1/2a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했다고 지난달 29일(현지시간) 밝혔다. 임상에서는 1차 국소 진행성 절제불가능 또는 전이성 HER2/neu 양성 환자, 위식도 접합부(G/GEJ) 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표준 화학요법인 트라스투주맙, 펨브롤리주맙과 함께 CYNK-101을 병용투여한다. 이번 임상은 조합 치료 전략의 안전성과 예비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설계됐다. CYNK-101은 항체 치료제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설계된 유전자 조작 자연살해(NK) 세포 치료제로 산후 태반의 생체를 이용해 개발됐다. 아직까지 안전성과 효능은 확립되지 않았으며, FDA를 포함한 기타 규제 당국에서 아직 사용 승인을 받지 않은 상태다. 앤드류 페코라 셀루러리티 사장은 "국소적으로 진행된 절제불가, 전이성 HER2/neu 양성 위암 환자 또는 위식도 접합부 선암 환자들에게 병용요법이 결과의 진전을 이뤄냈다"며 "우리의 기성 동종 태반 유래 NK 세포가 이
[더구루=김다정 기자] 나스닥에 상장된 미국 바이오기업 셀룰러리티(Celurlarity)가 이뮤진(Imugene)과 고형암 치료제 개발을 위해 협력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세포치료제 개발회사인 셀룰러리티와 이뮤진은 최근 고형 종양에 대한 면역 요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술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앞서 이뮤진은 독립적인 암 연구 치료 센터인 'City of Hope'로부터 항체를 생성하는 형질아세포 및 형질세포를 포함한 B세포에서 발현되는 CD19 종양 용해 바이러스 기술을 독점적으로 라이선스했다 양사는 초기 협력을 통해 이뮤진의 CD19 종양용해 바이러스 기술과 셀룰라리티의 CD19를 표적하는 동종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 T세포 치료제인 'CyCART-19'를 결합해 고형 종양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개별 배경 기술에 대한 완전 지적 재산권(IP)을 보유한 두 회사는 협업을 통해 새로운 IP가 생성되는 경우 특허 출원의 제출, 기소, 유지, 집행 및 방어뿐만 아니라 새로운 IP를 사용할 수 있는 각 당사자의 권리에 대해 성실하게 논의하기로 했다. 전임상 연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당사자는 상업적으로 합당한 조건으로 협력 계약을 성실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