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신한투자증권이 베트남에서 인공지능(AI) 기반 고객 서비스를 강화한다. 신한투자증권 베트남법인은 AI 핀테크 기업 퀀팃(Quantit) AI 기술을 활용한 고객 경험 향상을 목표로 하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이에 따라 양사는 퀀팃의 AI 금융 솔루션과 신한투자증권 베트남법인의 거래 시스템을 통합할 계획이다. 2019년 설립한 퀀팃은 퀀트(계량분석)와 정보기술(IT)를 결합한 비즈니스를 추구한다. 빅데이터 기반 투자모델 설계와 자동 운영을 위한 솔루션 핀터(Finter)를 기반으로 증권사 등 주요 금융기관에 금융 모형 기반 투자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한복희 신한투자증권 베트남법인장은 "AI 기반 금융 솔루션을 고객의 수익을 최적화하고 효과적으로 투자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신한투자증권은 지난 2015년 현지 중소형 증권사인 남안증권을 인수해 이듬해 현지법인을 설립하며 베트남에 진출했다. 현재는 브로커리지를 비롯해 구조화금융, 인수합병(M&A) 등 기업금융을 영위하고 있다. 디지털 기반으로 브로커리지 역량을 증대해 수익을 강화하는 한편 그룹사간 시너지를 통해 딜 소싱 역량을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신한투자증권이 미국 핀테크 기업 드웰파이(DwellFi)와 손잡고 증권형토큰(STO) 상품 개발에 속도를 높인다. STO 제도화를 시장 선점을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는 모습이다. 드웰파이는 19일 신한투자증권과 STO 상품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양사는 혁신적인 STO 서비스 개발에 협력하고 양사의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활용해 관련 시장을 확장할 방침이다. 이외에 규제 준수·전문 지식 교환 등에도 협력할 계획이다. 쿠마 우쫠 드웰파이 최고경영자(CEO)는 "신한투자증권과 같이 혁신적인 금융기관과 협력해 STO 솔루션을 시장에 제공할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우리의 기술적 우위와 신한투자증권의 금융 전문성을 결합해 고객에게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STO란 개인이나 법인이 소유하고 있는 주식·채권·부동산·금·예술품 등 구체적인 자산과 연계된 증권형 토큰을 발행해서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뜻한다. 현재 우리 정부는 STO 시장 제도화를 추진 중이다. 금융당국은 STO의 발행·유통을 허용하고, 일정 요건을 갖추면 증권사를 거치지 않고 증권형 토큰을 단독으로 발행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신한투자증권이 인도네시아 윤활제 전문 기업 루프로맥스 펠루마스 인도네시아(LMAX)의 기업공개(IPO)를 주간한다. 루프로맥스 펠루마스 인도네시아는 25일 신한 세쿠리타스 인도네시아를 기업공개 주간사로 선정하고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 상장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루프로맥스 펠루마스 인도네시아는 신주 1억9500만 주를 발행할 예정이며 주당 공모가 범위는 160~200루피아로 설정됐다. 이를 통해 312억~390억 루피아(약 26억~33억 원)를 조달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9750만 개의 시리즈 I 워런트도 발행했다. 신주 2주를 보유한 주주는 1개의 시리즈 I 워런트를 취득할 수 있다. 1개의 시리즈 I 워런트에는 포테펠에서 발행된 신주 1주를 매수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다. 시리즈 I 워런트 조달 금액은 160억~170억 루피아(약 13억~14억 원)에 이를 전망이다. 루프로맥스 펠루마스 인도네시아는 기업공개 조달 자금을 운전 자본으로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자금 70%를 재고 구매에, 나머지는 운영비에 사용된다. 지난 1990년 설립된 루프로맥스 펠루마스 인도네시아는 윤활윤 전문 제조 기업으로 △엔진 첨가제
[더구루=홍성환 기자] 신한은행과 신한투자증권이 베트남 고객 확대를 위해 모바일 서비스를 통합했다. 신(新)남방 핵심 거점국인 베트남에서 디지털 금융을 강화하는 동시에 '원신한(One Shinhan)' 시너지 창출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신한은행·신한투자증권 베트남법인은 신한은행 모바일 뱅킹 앱 쏠에서 신한투자증권 증권계좌를 개설할 수 있는 기능을 선보였다. 현지 고객은 신한은행 앱에서 신한투자증권 증권계좌를 비대면으로 간편하게 만들 수 있다. 이는 신한금융의 원신한 전략의 일환이다. 지난 2017년 처음 도입한 원신한 전략은 계열사 구분에서 벗어난 그룹 전체 협력으로 사업 분야별 경쟁력을 극대화하는 개념이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12월 조직개편을 통해 그룹원신한부문을 신설하며 계열사 간 시너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또 베트남은 젊은 세대 비중이 절반에 달하고 스마트폰 보급률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어 디지털 금융의 잠재력이 높은 시장으로 손꼽힌다. 이에 신한은행은 디지털 역량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작년 말 모바일 앱 신한 쏠 베트남 새 버전을 출시했다. 모든 기능을 하나의 폰 화면에 전부 표시한 것이 특징이다. 이와
[더구루=홍성환 기자] 신한투자증권이 신(新) 남방 사업 핵심 거점인 베트남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향후 성장 잠재력이 충분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유료기사코드] 한복희 신한투자증권 베트남법인장은 17일 현지 경제매체 베트남비즈와 인터뷰에서 "비즈니스 관점에서 베트남 주식시장은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이 풍부하며 가까운 미래에 핵심 시장이 될 것"이라며 "원신한 네트워크를 통해 베트남 주식 투자자들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신한투자증권은 베트남 투자자의 포트폴리오 구축을 돕고 효과적인 투자를 지원하는 든든한 동반자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신한투자증권은 지난 2015년 현지 중소형 증권사인 남안증권을 인수, 이듬해 현지법인을 설립하며 베트남에 진출했다. 브로커리지를 비롯해 구조화금융, 인수합병(M&A) 등의 기업금융을 영위하고 있다. 디지털 기반으로 브로커리지 역량을 증대해 수익을 강화하고, 신한금융그룹과 시너지를 통해 딜 소싱 역량을 개선한다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신한투자증권 베트남법인은 지난해 전년 동기 대비 95.7% 증가한 3170억 동(약 170억원)의 영업수익을 기록했다. 주식 중개 수익은 116%나 급증한 1810억
[더구루=정등용 기자] 신한투자증권이 인도네시아 비즈니스 솔루션 개발 업체 아비아나 시나르 아바디(Aviana Sinar Abadi)의 기업공개(IPO)를 주간한다. 아비아나 시나르 아바디는 12일 신한투자증권 인도네시아 법인인 신한 세쿠리타스 인도네시아를 IPO 주간사로 선정하고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 상장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아비아나 시나르 아바디는 오는 27일부터 31일까지 공모주 청약을 진행한다. 주당 공모 가격 범위는 100~101 루피아이며 신주 10억 주를 발행해 1000억~1010억 루피아(약 81억~82억 원)를 조달한다는 계획이다. 아비아나 시나르 아바디에 따르면 IPO 자금 중 51%는 자회사인 DNK(Digital Nata Karya)에 지원된다. DNK는 이 중 50%를 디지털 상품 및 PPOB(Payment Point Online Bank) 구매에 활용하며 나머지 1%는 DNK 차량 모듈 개발과 정보 기술 인프라 강화에 투입할 예정이다. IPO 자금 27.55%는 또 다른 자회사인 ASA(Aviana Semesta Anugerah)로 보내진다. ASA는 자금 26.53%를 광고 공간 임대와 지원 비용 등 운전 자금으로 활용하
[더구루=홍성환 기자] 신한투자증권과 롯데벤처스, 스틱인베스트먼트 등 국내 벤처캐피털(VC)들이 베트남 스타트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 베트남은 빠른 경제 성장에 힘입어 동남아 스타트업 허브로 급부상하고 있다. 20일 베트남 기획투자부에 따르면 신한증권·롯데벤처스·스틱인베스트먼트 등은 지난 19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베트남 벤처 서밋 2022'에서 베트남 스타트업 육성에 적극 동참하기로 했다. 베트남 국가혁신센터와 싱가포르 VC 골든게이트벤처스가 공동 주최한 이날 행사에는 국내 금융사를 비롯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40여개 VC가 베트남 스타트업 생태계에 15억 달러(약 1조9500억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약속했다. 비니 라우리아 골든게이트벤처스 창립자는 "베트남은 동남아를 넘어 글로벌 무대에서 스타트업 생태계를 발전하는 중요한 전환점을 맞고 있다"며 "이번 투자 약속은 베트남 발전을 가속화하겠다는 글로벌 커뮤니티의 기대를 반영한다"고 전했다. 골드게이트벤처스에 따르면 올해 들어 동남아 VC 펀드는 31억 달러(약 4조200억원)를 유치하며 지난해 연간 모금액인 35억 달러(약 4조5400억원)에 육박하고 있다. 베트남의 경우 지난해 14억 달
[더구루=정등용 기자] 신한투자증권 인도네시아 법인인 신한 세쿠리타스 인도네시아가 통신 인프라 업체 KETR(Ketrosden Triasmitra) 기업공개(IPO) 주간사를 맡았다. KETR은 25일 신한 세쿠리타스 인도네시아를 기업공개 주간사로 선정하고 오는 11월7일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에 상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주당 공모 가격 범위는 246~360루피아로 설정됐으며 4억2620만 주를 발행해 1048억~1534억 루피아((약 97억~142억 원)를 조달한다는 계획이다. KETR은 IPO 자금 대부분을 회사 운영 자금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이 중 10%는 네트워크 유지·관리에 투입하는 한편 개발 프로젝트 운영에도 쓰일 전망이다. 이 외에 지상 케이블 순찰 차량과 해저 케이블 순찰선의 연료 비용, 케이블 복구 장비 비용 등으로 사용될 계획이다. 나머지 90%는 KETR의 자회사인 Triasmitra Multiniaga Internasional(TMI)의 추가 자본으로 사용된다. 케이블 재료 구매와 개발자 인건비, 라이선스 지불 비용 등으로 충당 될 예정이다. 지난 2014년 설립된 KETR은 통신 네트워크 인프라 업체로 통신 케이블 유지 보수
[더구루=홍성환 기자] 아이슬란드 바이오시밀러 전문회사 알보텍(Alvotech)이 일본 시장의 문을 두드린다.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시장 공략에 속도를 높이는 모습이다. 알보텍은 19일 일본 파트너사 후지제약과 함께 일본 후생노동성에 바이오시밀러 후보 판매 승인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알보텍이 일본 시장에 제품을 출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로버트 웨스먼 알보텍 최고경영자(CEO)는 "제품 출시 신청은 회사의 중요한 이정표로 일본에서 증가하는 바이오시밀러 수요를 충족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앞서 양사는 지난 2019년 후지제약이 알보텍에 지분투자를 하면서 일본 내 바이오시밀러 개발과 상용화를 위한 독점적 제휴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알보텍은 2013년 설립된 바이오시밀러 전문 기업이다. 지난 6월 미국 나스닥에 이어 7월 아이슬란드 퍼스트노스그로스마켓에 상장했다. 미국과 아이슬란드 증시에 동시에 상장된 기업은 알보텍이 처음이다. <본보 2022년 6월 24일자 참고 : 알보텍, 최초 미·아이슬란드 증시 동시 상장…신한금투 '선구안' 주목> 알보텍은 총 8개 바이오시밀러 후보물질(파이프라인)을 개발 중이다. 협력사는 미국의 테바, 유럽의 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레드우드 머티리얼즈(이하 레드우드)가 처음으로 전기 상용차 부문에서 첫 고객사를 확보했다. 일본 이스즈와 북미에서 전기 상용차 배터리 재활용에 협력한다. 고객사 저변을 넓히고 북미 배터리 재활용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운다. 4일 레드우드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간) 이스즈 북미 법인(Isuzu Commercial Truck of Americ)과 전기 상용차 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은 레드우드가 중대형 상용차 회사와 협력하는 첫 사례다. 레드우드는 이스즈의 배터리 셀과 모듈, 팩, 소재 등을 받아 미국과 캐나다에서 재활용을 추진한다. 레드우드와 이스즈는 사우스캐롤라이나에 공장을 보유하고 있어 지리적 인접성을 토대로 시너지를 낼 전망이다. 레드우드는 지난 2022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 인근에 약 35억 달러(약 5조300억원)를 투자해 240만 ㎡ 규모의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을 짓는다고 발표했다. 오는 3분기 운영을 시작한다. 이스즈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피에몬테에 약 2억8000만 달러(약 4200억원)를 쏟아 전기 상용차 공장을 건설 중이다. 2027년부터 운영을 시작하고 이듬해 확장
[더구루=정등용 기자] 전고체배터리 제조사 퀀텀스케이프(QuantumScape)가 상장 과정에서 제기된 신탁의무 위반소송에서 최종 합의에 도달했다. [유료기사코드] 4일 미국 델라웨어주 고등법원에 따르면 퀀텀스케이프와 경영진은 주주인 셰드릭 리차드가 제기한 신탁의무 위반소송에서 875만 달러(약 120억원)를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리차드는 퀀텀스케이프가 상장을 위해 켄싱턴 캐피탈 에퀴지션(Kensington Capital Acquisition)과 역합병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신탁의무를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역합병은 인수회사가 없어지고 피인수회사가 존속하는 합병 방식이다. 리차드는 회사 경영진이 충분한 실사 없이 합병을 서둘러 주주보다 자신들의 재정적 이익을 앞세웠다고 지적했다. 켄싱턴 캐피탈 에퀴지션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로 지난 2020년 6월 상장했다. 이후 같은해 9월 퀀텀스케이프 인수 계획을 발표했으며, 11월25일 최종 거래가 성사됐다. 퀀텀스케이프는 지난 2010년 설립된 전고체배터리 제조사다. 퀀텀스케이프의 전고체 배터리는 음극재 역할을 고체 상태의 분리막 위에 형성된 리튬메탈층이 대신하는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