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정부가 현지 분유업체 '애보트'(Abbott Laboratories) 수사에 본격 착수한다. 지난해 애보트의 '시밀락'(Similac) 분유를 먹은 영유아가 세균 감염으로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애보트는 즉각 영유아 사망에 대한 책임이 없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다만 이번 수사가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28일 미국 법무부 소비자보호국(Consumer Protection Branch)에 따르면 지난해 공장 폐쇄로 이어진 애보트에 강도높은 수사에 나섰다. 지난해 식품의약청(FDA)는 에보트의 미시간주 스터지스 공장에서 제조된 시밀락 분유를 먹은 영·유아의 세균 감염 사례 5건의 조사했다. 당시 FDA는 "FDA와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접수된 감염 사례만 5건"이라며 "크로노박터 사카자키균 감염 4건, 살모넬라 뉴포트 감염 1건"이라고 설명했다. 감염을 신고한 5명의 아기 중 2명이 사망했다. 애보트는 FDA가 조사를 펼친 뒤인 미시간 스터지스 공장 운영을 중단했다. FDA는 세균 오염, 주요 장비 균열, 느슨한 안전 프로토콜 등을 비롯한 여러 위반 사항을 발견했다. 미국 분유 공급의 20%가량을
[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제약업체 애보트(Abbott)가 개발한 ‘CardioMEMS HF 시스템’의 적용 범위가 확대됐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애보트의 CardioMEMS HF 시스템을 심부전 환자 관리를 위해서 쓸 수 있도록 적응증 확대에 대한 승인을 부여했다. CardioMEMS HF 시스템은 지난 2014년 뉴욕심장학회(New York Heart Association·NYHA)가 분류한 3단계(Class III) 심부전이 있으며, 최근 1년 내에 심부전으로 인하 입원 경험이 있는 환자 관리용으로 승인을 받았다. 이번 FDA 승인에 따라 2단계 심부전 또는 혈액 검사를 통해 심부전 위험을 평가하는 바이오마커 가운데 하나인 나트륨 이뇨펩티드(Natriuretic Peptides) 수치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난 환자를 관리하는 데도 쓰일 수 있게 된 것이다. 미국에서 2단계 심부전을 앓는 환자는 620만명에 당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오는 2030년까지 2단계 심부잔 진단은 두 배로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CardioMEMS HF 시스템은 폐동맥에 설치된 종이 클립 크기의 CardioMEMS 를 통해
[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조사에 착수하면서 불거진 미국 애보트 뉴트리션(Abbott Nutrition)의 분유 리콜 사태가 세계 곳곳으로 확산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업계에 따르면 FDA는 소비자들에게 애보트 뉴트리션이 생산하는 시밀락(Similac), 알리멘텀(Alimentum), 엘르케어(EleCare) 브랜드로 판매되는 분유 제품을 구입하거나 사용하지 말라고 권고했다. FDA는 해당 제품들이 미시간주 공장에서 생산됐다고 전했다. △제품 코드의 첫 두 숫자가 22부터 37까지인 경우 △포장용기에 적힌 코드에 K8, SH 또는 Z2라는 글자가 포함된 경우 △유통기한 만료일이 2022년 4월이거나 그 이후인 경우 등이 대상 제품에 포함된다. 애보트 뉴트리션은 해당 제품들에 대한 자발적 리콜을 시작하기 위해 FDA와 관련 작업을 펼치고 있다. FDA는 이들 브랜드 제품과 관련된 크로노박터 사카자키(Cronobacter sakazakii), 살모넬라(Salmonella) 감염에 대한 소비자 민원을 접수하고 조사를 벌이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크로노박터 사카자키균은 대장균 군에 속하는 장내 세균의 하나로 성인에게는 영향을 거의
[더구루=김다정 기자]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애보트(Abbott)가 연속혈당측정기(CGM)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았다. 혈당관리 패러다임이 혁신 테크놀로지 기반으로 변화하면서 당뇨병 환자들은 앱을 통해 간편하게 혈당을 관리할 수 있게 됐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애보트 '프리스타일 리브레 2'(FreeStyle Libre 2) 연속혈당측정 시스템과 페어링할 수 있는 앱이 최근 FDA로부터 4세 이상 어린이와 성인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승인을 획득했다. 프리스타일 리브레 연속혈당측정 시스템은 500원짜리 동전과 비슷한 크기의 센서를 팔 위쪽(상박)의 뒷부분에 부착한 후 최대 14일 동안 연속적으로 혈당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프리스타일 리브레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은 고통스러운 손가락 채혈 검사를 필요로 하는 보정(세포간질액을 통한 당 수치를 손가락 채혈을 통한 당 수치와 비교해 보정하는 과정)이 필요 없이, 센서를 스마트폰으로 간단히 스캔하면 실시간 당 수치 결과와 분석 그래프를 스마트 폰에서 볼 수 있다. 또 간병인과 혈당 수치를 공유할 수 있다. 가장 최신 버전인 프리스타일 리브레 2는 빅풋 바이오메디컬의 유니티 당뇨 관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동박 제조업체 더푸커지(德福科技·지우장더푸테크놀로지)가 솔루스첨단소재의 유럽 룩셈부르크 동박 공장을 인수하기로 했다. [유료기사코드] 더푸커지는 30일 솔루스첨단소재 종속회사인 볼타 에너지 솔루션(Volta Energy Solutions)과 '서킷 포일 룩셈부르크(CFL)' 지분 100%를 1억7400만 유로(약 2800억원)에 인수하는 주식 매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CFL은 정보통신기술(ICT)용 동박을 제조하는 공장으로 1965년 완공됐다. 솔루스첨단소재의 전신인 두산솔루스가 2014년 인수한 공장으로, 11년 만에 매각 결정을 내렸다. 더푸커지는 "우리는 초극저조도(HVLP) 동박과 초극박(DTH) 등 최첨단 IT용 동박 제품 개발을 장기 전략으로 항상 최우선 순위에 뒀다"면서 "이번 거래가 완료되면 IT용 동박 부문에서 세계적인 선도 기업으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전했다. 더푸커지는 중국 3대 동박 제조기업이다. 동박은 두께 10㎛(마이크로미터, 1㎛=100만분의 1m) 내외의 얇은 구리 박막으로 전기차용 이차전지 핵심 소재로 주목받았다. 특히 최근에는 AI 반도체에 들어가는 주요 소재로 부각되고 있다. HVLP 동박
[더구루=홍성일 기자] TSMC를 세계 1위 파운드리 기업으로 만든 '역전의 용사'들이 연이어 퇴장하고 있다. TSMC는 차세대 리더를 발굴하며, 승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웨이젠 로(Wei-Jen Lo) TSMC 기업전략개발 부사장이 지난 27일 은퇴했다. UC버클리에서 고체물리학·화학 박사를 학위를 취득한 웨이젠 로 부사장은 인텔과 모토로라, 제록스 등에서 경력을 쌓고 2004년 운영 조직 2부 총괄로 TSMC에 입사했으며,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샹이 치앙(Shang-Yi Chiang) 부사장에 이어 연구개발(R&D) 부문 부사장으로 근무했다. 2009년부터는 제조 기술 부문 부사장으로 활동했다. 웨이젠 로는 21년간 TSMC에서 기술 연구를 이끌며 1000개에 달하는 미국 특허를 포함해, 총 1500개 이상의 특허를 확보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TSMC는 웨이젠 로 부사장의 후임으로 로라 호(Lora Ho) 인사부문 부사장을 임명했다. 로라 호는 과학자 출신인 웨이젠 로와 다르게 회계, 재무 부문 전문가로 활동해왔다. 로라 호는 1999년 회계 담당자로 TSMC에 입사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