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의 자율주행 모셔널의 합작 파트너사 '앱티브'(Aptiv)가 이탈리아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솔루션업체 인터케이블(Intercable Automotive)을 품는다. 앱티브는 13일(현지시간) 6억571만 달러(한화 약 8419억3690만원)를 들여 인터케이블 지분 85%를 인수한다고 밝혔다. 이번 거래를 연말 완료하고 인터케이블을 신호 및 전력 솔루션 부문 독립 사업부로 운영한다는 설명이다. 앱티브는 인터케이블의 배터리셀 기술과 노하우가 집약된 고전압 버스바(high-voltage busbars)를 토대로 미래 자율주행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겠다는 계획이다. 오는 2032년 자율주행 전기차 시장 규모가 5조 달러(약 695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배터리 관련 기술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인터케이블은 유럽과 아시아에서 고전압 버스바를 생산하고 있다. 케빈 클락(Kevin Clark) 앱티브 최고경영자(CEO)는 "인터케이블이 제공하는 솔루션은 앱티브의 미래 전략과 일치한다"며 "차별화된 노하우와 설계를 토대로 한 생산 능력은 미래 고객들에게 환경친화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혜택을 선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자율주행 파트너사 '앱티브'(Aptiv)가 국내 자율주행용 인공지능(AI) 기반 카메라 인식 소프트웨어(SW) 개발 업체 '스트라드비젼'(StradVision)에 투자했다. 글로벌 자동차 부품 공급사 'ZF'도 가세했다. 스트라드비젼은 10일 시리즈C에서 1076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밝혔다. 현대차 자율주행 파트너사 앱티브와 독일의 ZF가 전략적 투자자(SI)로, 엘에스에스PE(LSS Private Equity), 케이클라비스(K-Clavis), 타임폴리오(Timefolio), 엔베스터(Nvestor)는 재무적 투자자(FI)로 참여했다는 것. 이번 시리즈C 투자에 따른 총 누적 투자유치 금액은 1558억원이 됐다는 설명이다. 앱티브 등 투자에 참여한 업체들은 스트라드비젼이 AI 기반 객체 인식 소프트웨어 ‘SVNet’을 통해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SVNet’은 최소한의 연산과 전력 소비로 딥러닝(심화학습) 기반 객체 인식 기능을 구현하는 초경량·고효율 솔루션이다. 다양한 플랫폼에 탑재할 수 있는 호환성이 강점이다. 2019년 첫 양산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전 세계 13개 제조사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과 합작법인 모셔널을 설립하며 이름을 알린 현대차 자율주행 파트너사 '앱티브'(Aptiv)가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글로벌 리더인 'TTTech'(티티테크)에 투자를 단행한다. [유료기사코드] 앱티브는 6일(현지시간) 자료를 내고 아우디와 함께 티티테크오토에 총 2억8500만 달러(한화 약 3419억원)를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앱티브가 2억2800만 달러(약 2735억원), 아우디가 5700만 달러(약 684억원)를 투입하기로 했다는 것. 티티테크오토는 자율주행 플랫폼과 ADAS의 글로벌 리더로 불리는 업체다. 지난 2019년 삼성전자가 첫 번째 전략적 투자로 티티테크에 7500만 유로(약 980억 원)를 투입하게 되면서 국내에 이름을 알린 바 있다. 양사는 티티테크오토와 협력해 자율주행 차량에 사용할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티티테크오토의 대표 소프트웨어인 모션와이즈(Motionwise)를 토대로 엔지니어들이 강화된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보다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앱티브는 내년 말 선보일 예정인 자율주행 로보택시의 안정성을 강화하겠다는 목표다. 앱티브는 지난
[더구루=홍성환 기자] 자율주행차 시대가 성큼 다가오면서 투자자들 사이에서 관련주가 주목을 받는다. 미국 주식투자 정보매체 스톡마켓닷컴(StockMarket.com)은 자율주행 분야 유망 기업으로 △루미나 테크놀로지스(Luminar Technologies) △암바렐라(Ambarella) △앱티브(Aptiv) △퀄컴(QUALCOMM) 등 네 곳을 꼽았다. 루미나는 자율주행차의 눈 격인 라이다(LiDAR)와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기업이다. 지난해 12월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와 합병을 통해 나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스톡마켓닷컴은 "루미나는 지난 1년간 주가가 70% 이상 상승했지만 여전히 매력적인 기회로 보는 투자자들이 많다"면서 "지난달 독점적인 인듐갈륨비소(InGaAs) 칩 설계 파트너인 옵토그레이션을 인수하면서 경쟁력을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암바렐라는 자율주행차에 필요한 이미지 처리 프로세서를 개발하는 반도체 설계회사다. CV플로우 프로세서는 저조도 등의 상황에서도 자율주행차가 물체를 빠르게 감지·분류하도록 돕는다. 이 회사의 주가는 지난 1년간 120%나 상승했다. 스톡마켓닷컴은 "이 회사의 기술은 필요한 신경망 처리 성능과 스테레오비전
[더구루=김명은 기자] 네덜란드 기술 투자기업 '프로수스(Prosus)'가 음식배달 플랫폼 '저스트잇 테이크어웨이닷컴(Just Eat Takeaway.com·이하 저스트잇)' 인수를 위해 독일 딜리버리 히어로(Delivery Hero) 지분 상당 부분을 매각한다. 프로수스는 딜리버리히어로 지분 27%를 갖고 있다. 유럽연합(EU) 경쟁 당국은 프로수스가 저스트잇과 딜리버리 히어로라는 두 대형 음식배달 플랫폼 기업의 지분을 동시에 보유하는 것에 대해 시장 독점 우려를 제기한 바 있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는 최근 프로수스가 저스트잇을 인수할 경우 시장 지배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프로수스가 이미 같은 업종의 딜리버리 히어로의 최대 주주로 경쟁이 제한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프로수스는 딜리버리 히어로의 지분율을 한자릿수까지 줄이거나 보유 지분 전량을 매각하는 것을 EC에 제안한 상태다. 딜리버리 히어로는 국내 1위 배달 플랫폼 '배달의민족' 모기업이기도 해 프로수스의 지분 매각은 배달의민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EC는 현재 프로수스의 제안을 검토 중이며, 다음달 11일까지 최종 결정을
[더구루=홍성환 기자] 양자컴퓨팅 전문기업 사이퀀텀(PsiQuantum)이 3년 내 미국 일리노이주(州) 시카고 양자컴퓨터 캠퍼스의 가동을 시작할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제레미 오브라이언 사이퀀텀 최고경영자(CEO)는 23일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2028년 시카고 양자컴퓨터 캠퍼스를 가동할 계획"이라며 "올해 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오브라이언 CEO는 "2028년 사이트를 온라인으로 구축하기 위한 매우 공격적인 계획을 갖고 있다"면서 "양자컴퓨터는 현재로서는 영원히 해결할 수 없는 매우 중요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사이퀀텀은 시카고 옛 US스틸 제철소 부지에 10억 달러(약 1조3800억원)를 투자해 2만8000㎡ 규모 양자컴퓨터 운영 센터를 건설할 계획이다. 미국 최초 유틸리티 규모 내결함성(오류에 강한) 양자컴퓨터를 배치할 예정이다. 내결함성은 시스템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오류 발생 시에도 정상 동작을 유지하는 능력을 말한다. 사이퀀텀은 2016년 설립된 양자컴퓨터 스타트업이다. 사이퀀텀은 다른 양자 스타트업과 달리 특수 소재 대신 기존 반도체 산업에서 사용되는 광자(photonics) 기술을 기반으로 양자칩을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