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제이알(JR)에너지솔루션이 배터리 전극 제조 공장 가동을 개시했다. 제품별 맞춤형 전극을 만들어주는 국내 최초 배터리 파운드리(위탁생산) 시설을 구축, 배터리 업계의 TSMC로 도약한다는 포부다. 21일 제이알에너지솔루션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충북 음성군 용산산업단지에 위치한 스마트전극 1공장 운영을 시작했다. 작년 4월 신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한지 8개월여 만이다. 제이알에너지솔루션은 3056억원을 투입해 용산산업단지 2만4000평 규모 부지에 스마트전극 1~3공장을 짓는다. 1공장은 연간 생산능력 500MWh 규모로 준공됐다. 오는 2025년 1월 가동을 목표로 2GWh 규모 2공장을 건설하고 3공장 설립도 추진한다. 음성 공장을 통해 국내외 배터리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는 전략이다. 신공장은 리튬인산철(LFP)과 니켈·코발트·망간(NCM), 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NCMA), 흑연·실리콘 음극재 등 다양한 활물질의 배터리에 적용 가능한 전극을 양산한다. 생산 공정에는 미국 '에너베이트’가 자체 개발한 '엑스에프씨-에너지(XFC-Energy)'기술이 담겼다. 엑스에프씨-에너지는 5분 내 전기차 충전을 가능케 하는 기술이다. 이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에너베이트가 현지 전기 오토바이 제조사 '라이트닝 모터사이클(Lightning Motorcycles, 이하 라이트닝)'과 신차를 개발해 판매에 돌입했다. 에너베이트의 배터리 기술력을 결집해 빠른 충전과 긴 주행거리를 구현했다. 신차를 통해 배터리 품질을 입증하고 적용처를 확대한다. 16일 에너베이트에 따르면 이 회사는 라이트닝과 공동 개발한 'LS218'을 론칭했다. LS218은 에너베이트의 배터리 기술 라이선스를 활용해 만든 47암페어(Ah)의 배터리가 탑재됐다. 20%에서 80%까지 10분 만에 고속 충전이 가능하다. 용량은 28.3kWh로 200마일(약 32만m) 이상 주행할 수 있다. 토크는 226ft/lb를 기록했다. LS218은 출시 전 주행 테스트를 통해 성능을 입증했다. 작년 11월 캘리포니아주 홀리스터부터 어바인까지 왕복 710마일(약 114만m)을 하루 만에 주행했다. 경쟁사 전기 오토바이가 동일한 거리 주행에 최대 2일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면 엄청난 성과다. 기존 4~6시간이 걸리던 배터리 충전 시간도 단축됐다. 에너베이트가 제공한 '엑스에프씨-에너지(XFC-Energy™)' 기술은 기존 배터리 대비 10배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에너베이트가 독일 배터리 셀 업체와 실리콘 음극재 기반 배터리 양산에 협력한다. 빠른 충전 속도와 고에너지밀도를 갖춘 배터리를 상용화하고 흑연 음극재 중심인 배터리 업계의 판도를 바꾼다. 에너베이트는 12일(현지시간) 커스텀셀즈와 생산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커스텀셀즈의 본거지가 있는 유럽을 중심으로 주요 시장에서 '엑스에프씨-에너지(XFC-Energy™)' 상용화에 협력한다. 엑스에프씨-에너지는 실리콘 비중을 70% 이상으로 높인 음극재 기반 배터리 기술이다.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충전 속도가 10배 빨라 5분 이내로 전기차 충전이 가능하다. 저온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며 높은 에너지밀도, 저렴한 비용을 자랑한다. 안전성도 기존 배터리 대비 향상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에너베이트는 신기술을 앞세워 삼성벤처투자와 LG화학, 피델리티 그룹, 일본 스미토모 그룹, 레노버 등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했다. 한국 배터리 파운드리 회사 'JR에너지솔루션', 미국 '낸지파워' 등과 생산 라이선스 계약도 맺었다. <본보 2023년 6월 14일 참고 '삼성·LG 투자' 美 에너베이트, JR에너지솔루션과 '5분 초고속 충전' 라이선스&g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에너베이트(Enevate)'가 현지 배터리 회사와 고에너지밀도와 고속 충전을 특징으로 한 배터리 개발에 협력한다. 외부와의 파트너십을 넓히며 차세대 배터리 상용화를 추진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에너베이트'가 배터리 파운드리 회사 'JR에너지솔루션'과 전극 파운드리 공장을 건설한다. 연간 최대 6GWh로 지어 북미 시장을 공략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 LG화학 등이 투자한 미국 '에너베이트'가 국내 배터리 파운드리 기업 JR에너지솔루션과 생산 라이선스 계약을 맺었다. 독자 개발한 배터리 기술을 제공해 JR에너지솔루션의 신공장 건설을 지원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에너베이트'가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등에 몸 담았던 '배터리통’을 영입했다. 전문성을 강화해 사업을 공격적으로 전개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과 LG화학 등이 투자한 미국 '에너베이트'(Enevate)가 현대모비스 사외이사 후보 출신을 새 수장으로 선임했다. 제너럴모터스(GM)를 포함해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서 40년 이상 경력을 쌓은 인물을 영입하고 배터리 기술 개발에 역량을 결집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 LG화학 등이 투자한 미국 '에너베이트'가 유명 자동차 레이싱팀 '안드레티 오토스포트(Andretti Autosport, 이하 안드레티)'와 손잡는다. 자체 개발한 초고속 충전 배터리 기술력을 알리고 상용화에 속도를 낸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와 삼성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은 미국 에너베이트가 전기차 배터리 생산 라인을 증설한다. 폭발적인 배터리 수요에 힘입어 성장 가속페달을 밟는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LG와 삼성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은 미국 에너베이트가 국내 배터리 제조사 에너테크인터내셔널(이하 에너테크)과 배터리 상용화에 협력한다. 에너테크의 장비, 제조 기술을 활용해 시제품을 양산하고 '5분 내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시장에 내놓는다. 에너베이트는 8일(현지시간) "엑스에프씨-에너지(XFC-Energy™)를 상용화하고자 에너테크와 생산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2005년 설립된 에너베이트는 캘리포니아 어바인에 본사를 둔 배터리 회사다. 배터리 관련 특허 400개 이상을 보유했으며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 레노버, 피델리티자산운용. 미션벤처스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았다. LG화학과 삼성전략혁신센터가 운영하는 삼성벤처투자도 투자사 명단에 포함됐다. 에너베이트는 음극재로 기존 흑연 대신 실리콘을 활용한 배터리 엑스에프씨-에너지를 개발해 주목을 받았다. 이 배터리는 실리콘 비중이 70% 이상인 음극재를 쓰며 5분 안에 전기차 충전을 자랑한다. 높은 에너지 밀도와 추운 날씨에서 저온 작동 성능, 비용 절감을 특징으로 한다. 에너베이트는 에너테크의 장비를 활용해 시제품을 만들고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2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차 인도법인의 성공적 증시 데뷔 이후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 ‘인도 IPO 바람’이 불고 있다. 이번에는 세계 최대 자동차 메이커 토요타가 인도 자회사 기업공개를 추진, 최대 8억 달러 자금 확보에 나설 전망이다. 현대차에 이어 토요타까지 가세하면서 인도가 새로운 글로벌 완성차 'IPO 격전지'로 부상하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너지부(DOE)가 오클로와 엑스에너지, 테레스트리얼 에너지 등 소형모듈원전(SMR) 기업을 첨단 핵연료 시범 사업자로 선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