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카카오게임즈와 엑스엘게임즈가 엔씨소프트가 제기한 아키에이지 워 저작권 위반 소송에 대한 입장을 밝히며 대응에 나섰다. 카카오게임즈와 엑스엘게임즈는 7일 입장문을 발표하고 "엔씨소프트 측의 '아키에이지 워'에 대한 저작권 침해 및 부정경쟁행위 주장은 동종 장르의 게임에 일반적으로 사용돼 온 게임 내 요소, 배치 방법에 대한 것으로 관련 법률 위반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카카오게임즈 측은 "추후 소장을 수령해 면밀히 검토, 대응해 나갈 예정"이라며 "아키에이지 워 이용자들을 위해 안정적인 서비스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엔씨소프트는 5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카카오게임즈와 엑스엘게임즈를 상대로 저작권 및 부정경쟁행위에 대한 책임을 물어 고소장을 접수했다. 엔씨소프트는 카카오게임즈와 엑스엘게임즈가 3월 21일 출시한 '아키에이지 워'가 자사의 대표작인 '리니지2M'의 콘텐츠와 시스템을 다수 모방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엔씨소프트는 '아키에이지 워'가 장르적 유사성을 벗어나 리니지2M의 지식재산권(IP)을 무단 도용하고 표절한 것으로 판단했다며 사내외 전문가들의 분석과 논의를 거쳐 당사의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씨소프트가 카카오게임즈가 서비스하고 엑스엘게임즈가 개발한 MMORPG '아키에이지 워'에 대해서 리니지2M의 저작권을 침해했다며 저작권 소송을 제기했다. 엔씨소프트는 5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카카오게임즈와 엑스엘게임즈를 상대로 저작권 및 부정경쟁행위에 대한 책임을 물어 고소장을 접수했다고 밝혔다. 엔씨소프트는 카카오게임즈와 엑스엘게임즈가 3월 21일 출시한 '아키에이지 워'가 자사의 대표작인 '리니지2M'의 콘텐츠와 시스템을 다수 모방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엔씨소프트는 '아키에이지 워'가 장르적 유사성을 벗어나 리니지2M의 지식재산권(IP)을 무단 도용하고 표절한 것으로 판단했다며 사내외 전문가들의 분석과 논의를 거쳐 당사의 지식재산권 보호를 위한 소송을 결정했다고 덧붙였다. 엔씨소프트 측은 "지식재산권은 장기간의 연구개발(R&D)을 통해 만들어낸 결과물로, 마땅히 보호받아야 하는 기업의 핵심 자산이다. 엔씨소프트는 지식재산권 보호를 위한 노력과 대응을 지속할 것"이라며 "이번 법적 대응은 엔씨소프트의 지식재산권 보호뿐 아니라 대한민국 게임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게임 콘텐츠 저작권 기준의 명확한 정립을 위해 필요한 조치"
◇넥슨 넥슨은 슈퍼캣과 공동개발한 모바일 MMORPG '바람의나라: 연'의 첫 오프라인 쇼케이스 '천.지.창.조'를 지난 11일 넥슨 판교 사옥에서 성공적으로 마쳤다. '천.지.창.조' 쇼케이스는 '바람의나라: 연' 출시 후 처음 이용자와 만나는 자리로, 사전 신청한 150명을 초청한 가운데, 공식 홈페이지와 유튜브 채널에서 생중계됐다. 현장에서는 다양한 이용자 참여 이벤트가 진행됐으며 '바람의나라' IP를 전통예술로 발전시킨 플레이오케스트라의 'PLAY:판소리 마당놀이' 공연을 선보이는 등 다채로운 즐거움을 선사했다. 쇼케이스 발표 1부에서는 '바람의나라: 연' 김동현 디렉터가 무대에 올라 지난해 하반기를 리뷰하고 올해 더 큰 변화를 예고했다. 올해 '바람의나라: 연'은 원작고증과 플레이 스타일 변화, 두 갈래로 새로운 즐거움을 향한 근간을 다진다. 원작고증은 캐릭터, 아이템, 퀘스트 등 콘텐츠 전반에 걸쳐 진행되며, 북방, 용궁, 중국 등 지역 사냥터의 개선이 진행될 예정이다. 플레이 스타일은 장비 정책을 새롭게 도입하고, 지역 안촉비(강화안정제, 강화촉진제, 강화비급), PvE 랭킹 시스템 등을 추가해 변화를 모색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오는 5월까지
[더구루=홍성일 기자] 사우디국부펀드(Public Investment Fund, 이하 PIF)가 슬램덩크, 원피스, 드래곤볼, 세일러문 등의 애니메이션을 제작한 도에이(Toei Company, Ltd.)의 지분을 추가매수했다. PIF의 일본 엔터테인먼트 업계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는 모양새다. PIF가 3일 도쿄 증권거래소에 제출한 변경보고서에 따르면 PIF는 도에이의 지분을 추가 매수해 지분율을 6.03%로 끌어올렸다. PIF는 지난해 4월 도에이의 지분 5%를 매수했다고 공개한 바 있다. 변경보고서에 따르면 PIF는 1월 6일부터 2월 22일까지 28차례에 걸쳐 지분을 매수했다. 이번 추가 매수에 따라 PIF는 도에이의 주식 89만1300주를 확보하게 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까지 PIF는 도에이 지분 매수에만 168억613만엔(약 1615억원)을 투입했다. 지난해 PIF가 5% 지분을 인수할 때 투입한 자본이 141억4345만엔(약 1360억원)이었기 때문에 이번 추가 매수에만 26억5268억엔(약 256억원)을 투입한 것으로 추산된다. PIF가 도에이에 투자한 것은 소셜미디어와 스트리밍 플랫폼 시장의 성장 등으로 애니메이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기
[더구루=홍성일 기자] 지난해 한국 모바일 게임 시장의 다운로드는 줄어들었지만 매출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모바일 시장 조사기관인 '센서타워'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 모바일 게임 시장은 2021년 57억2000만 달러(약 6조9890억원)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대비 6.5% 증가한 수치다. 마켓플레이스 별로는 구글 플레이가 5.5%, 애플 앱스토어가 10.8% 증가했다. 다운로드 수치는 5억5100만 건으로 전년 대비 15%가 감소했다. 전체 다운로드의 81.2%는 구글 플레이에서 이뤄졌으며 애플 앱스토어는 18.8%를 차지했다. 한국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가장 큰 매출을 올리는 장르는 RPG(역할수행게임)였다. RPG장르는 지난해 전체 매출의 66% 가량을 차지했다. 개별 게임 매출 순위 톱10에도 8개 게임이 이름을 올렸다. 엔씨소프트의 리니지M과 리니지2M, 리니지W 등이 톱10에 포함됐으며 카카오게임즈의 오딘, 넷마블 제2의나라 등도 포함됐다. 특히 지난해 오딘, 쿠키런:킹덤, 제2의나라, 리니지W 등의 신작 RPG가 톱 10에 포함되며 RPG 강세를 이어나갔다. 중국 모바일 게임의 강세는 한층 강화됐다. 지난해 매출 톱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비보(Vivo)의 프리미엄 브랜드 아이쿠(iQOO)가 소형 플래그십 태블릿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아이쿠의 참전으로 애플과 샤오미가 주도하고 있는 소형 태블릿 시장 경쟁 구도가 변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유명 IT 팁스터 '디지털 챗 스테이션(DCS)'은 "아이쿠가 플래그십 사양을 갖춘 8.3인치 소형 태블릿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DCS는 아이쿠가 해당 테블릿을 올해 말 출시할 계획이지만, 내부 사정으로 내년으로 연기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DCS에 따르면 아이쿠의 새로운 태블릿은 퀄컴의 최신 프로세서인 '스냅드래곤 8 엘리트'가 탑재될 것으로 보인다. 만약 출시가 2026년으로 연기될 경우 차세대 칩셋인 '스냅드래곤 8 엘리트 2'로 업그레이드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DCS는 디스플레이 크기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외의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업계는 아이쿠가 고성능을 앞세워 기존의 강자인 애플 아이패드 미니와 샤오미 패드 미니 등과 직접 경쟁을 펼칠 것으로 보고있다. 샤오미 패드 미니는 현재 중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레드미 K 패드의 글로벌 판매명으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로봇 스타트업 카트켄(Cartken)이 사업의 중심축을 '라스트 마일 배송'에서 '산업 현장'으로 전환하고 있다. 카트켄은 기존 라스트 마일 배송 사업은 테스트베드로 활용하며, 기술 개발에 발차를 가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카트켄은 최근 쿠리어(Courier) 6륜 식품 배달 로봇을 산업 현장 자재 운반용 로봇으로 투입하고 있다. 크리스처 버쉬(Christian Bersch) 카트켄 최고경영자(CEO)는 테크크런치와 인터뷰를 통해 "배송로봇을 산업 현장에 투입하는 것을 항상 염두에 두고 있었다"며 "산업 현장 수요가 매우 크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카트켄은 2019년 구글 출신 엔지니어들이 설립한 로보 스타트업으로 라스트 마일 배송 서비스 로봇을 주로 공급해왔다. 카트겐의 배송 서비스를 이용한 기업으로는 그럽허브와 스타벅스, 우버이츠 등이 있다. 이들 기업들은 쿠리어를 이용해 음식 배달 서비스를 제공했었다. 카트켄의 사업 전환은 2023년 독일의 제조 회사인 ZF 라이프텍(ZF Lifetec)과 첫 산업 고객 계약을 체결하면서 시작됐다. ZF 라이프텍은 공급받은 쿠리어를 자재 운반용으로 투입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