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기업 카길이 중국 조선소에 최대 6척의 메탄올 연료 벌크선을 발주할 예정이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카길은 최초로 메탄올 연료로 구동되는 벌크선 주문을 앞두고 중국과 일본 조선소 3~4개사와 협상 중이다. 계약이 성사되면 카킬이 운영하는 메탄올 연료로 구동되는 최초의 벌크선이 된다. 메탄올은 해운의 온실가스 발자국을 줄이기 위한 노력 속에서 선도적인 저탄소 대안으로 뜨고 있다. 얀 딜레만(Jan Dieleman) 카길 해양 운송 부문 사장은 "몇 달 전에 입찰 제안을 시작한 후 선박에 대해 3~4개사 당사자와 협상 중"이라고 말했다. 카길은 캄사르막스 벌커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2025년 납품을 목표로 한다. 카길은 "회사가 일정 형태의 용선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여러 옵션을 고려하고 있다"고 바공개 계약을 강조했다. 선박 가격도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중국 조선소가 건조를 맡을 가능성이 높다. 4~6척의 메탄올 추진선을 중국 조선소에서 선박을 발주한 뒤 카길에 전세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카길이 주문할 메탄올 추진선은 탄소중립을 위해 뜨고 있다. 기존 선박연료유에 비해 황산화물(SOx)은 99%, 질소산화
[더구루=김다정 기자] 동원산업이 지분을 투자한 노르웨이 연어 양식 스타트업 새먼 에볼루션(Salmon Evolution)은 카길(Cargill)과 전략적 파트너십 관계를 체결했다. 동원산업이 강원도 양양에 합작 형태로 짓고 있는 연어 육상 양식장의 안정적인 사료 공급이 기대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새먼 에볼루션은 미국 최대 곡물기업이자 글로벌 메이저 농산물 업체로 알려진 카길과 투자와 사료 공급을 포함하는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새먼 에볼루션의 높은 생물학적 성능과 프리미엄 제품 품질이라는 운영 목표에 맞는 지속 가능한 사료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뜻을 모았다. 새로운 파트너십을 통해 카길은 신주 사모발행을 통해 새면 에볼루션에 420만 유로(약 58억원)를 투자한다. 새면 에볼루션을 사모 숙익금을 향후 확장 기회 평가와 개발에 사용할 계획이다. 하콘 안드레 베르그 새먼 에볼루션 최고경영자(CEO)는 "회사가 생물학적 성능과 제품 품질을 최대화하는 데 중점을 둔 맞춤형 사료에서 강력한 미개척 잠재력을 보고 있다"며 "고성능 사료 솔루션 공급업체로서 카길의 견고한 명성과 실적을 고려할 때 노르웨이와 글로벌 시장에서 상당한 R&D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과 기술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산업 진흥책에 이어 용어 표준도 공개했다. 중국은 용어 표준을 통해 개발과정에서 혼란을 막고 상용화 기간을 단축해 뉴럴링크, 싱크론과 같은 미국 기업을 따라잡는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은 16일(현지시간) 의료기기 산업 표준 'YY/T 1987-2025'를 발표했다. 해당 표준의 제목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을 사용하는 의료기기-용어(采用脑机接口技术的医疗器械 术语)'로 BCI의 개념과 기술 용어 등을 규정하는 내용이 담겼다. 해당 표준은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된다. YY/T 1987-2025 표준은 BCI 관련 용어 130개 가량을 △기본 개념 △분류 △패러다임 △피드백 및 자극 △시스템 구성요소 △신호 처리 △신호 형태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기술 △알고리즘 △안전 등 11개 카테고리로 분류해 정의했다. NMPA는 이번 표준 제정을 통해 BCI 업계의 용어 불일치와 개념 비표준화 등 기초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국 당국이 본격적인 용어 표준 마련에 나선 것은 지난해 8
[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비움(Livium Limited, 옛 리튬오스트레일리아)의 자회사 엔바이로스트림(Envirostream Australia Pty Ltd)이 희귀 금속의 회수 기술 개발에 나선다. 금속 회수 기술을 보유한 아이온드라이브(Iondrive)에 재활용 원료를 제공하고 테스트를 수행한다. 지속가능한 회수 기술의 상업화를 앞당기고 재활용 산업의 성장을 견인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아이온드라이브에 따르면 엔바이로스트림과 심층공융용매(DES) 상용화를 위한 텀시트(term sheet·조건합의서)를 체결했다. DES는 특정 금속 이온을 선택적으로 용해하거나 침전시켜 희귀 금속을 추출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이다. 아이온드라이브는 DES 공정 테스트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냈다. 폐배터리를 분해해 얻은 검은 가루 형태의 중간 가공품 '블랙매스'에서 95%가 넘는 희귀 금속 회수율을 기록했다. 연말 시운전을 목표로 파일럿 설비도 건설하고 있다. 엔바이로스트림은 이번 텀시트에 따라 파쇄된 태양광 폐패널과 셀, 블랙매스, 희토류 자석, 전자폐기물 등을 수집해 아이온드라이브에 제공한다. 아이온드라이브의 DES 기술·경제성 테스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