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하이트진로가 신제품 ‘참이슬 레몬’을 일본에 출시하는 등 현지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다. ‘참이슬 레몬’ 출시를 기념한 팝업스토어를 운영, 초기 흥행몰이를 노리고 있다. 21일 하이트진로에 따르면 참이슬 레몬이 오는 25일 일본 전역에서 본격 판매된다. 주류전문점을 비롯 슈퍼마켓, 편의점 등 일본 전역에 선보인다. 참이슬 레몬은 360ml 용량으로, 달지 않고 상큼한 레몬 향기와 가볍고 깔끔한 맛이 현지 소비자로 부터 인기를 끌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하이트진로는 일본 출시를 기념해 오는 25일부터 다음달 3일까지 열흘 간 도쿄 신바시에서 바(Bar) 컨셉의 팝업스토어 ‘어른의 레사와 바(レサワBAR)'를 운영한다. 레사와는 레몬향이 나는 하이볼 '레몬 사와'의 줄임말이다. 특히 팝업스토어에서는 참이슬 레몬과 탄산수와 1:1 비율로 섞은 '참이볼'을 선보여 참이슬 레몬의 청량한 맛을 알린다. SNS 인증 이벤트도 마련, 참이슬 레몬 1병과 소주잔 등 기념품도 제공한다. 하이트진로가 일본에 참이슬 레몬을 출시한 배경은 '레몬 사와'가 현지 주류 문화 핵심으로 꼽힌데 따른 것이다. 여기에 K소주에 대한 높은 수요도 한몫하고 있다. 관세청에
[더구루=김다정 기자] 오는 2026년 북미 소주시장이 3억6110만 달러(약 4257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소주가 과거 교민 중심의 한인타운에서 현지인 중심으로 펍시장으로 확산하고 있다. 박태영 하이트진로 사장이 북미 시장 공략에 역량을 집중하는 노림수를 엿 볼 수 있는 대목이다. 21일 시장조사 기업인 베리파이드 마켓 리서치(Verified Market Research)가 발표한 '2021 북아메리카 소주 시장 규모'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기준 북미 소주시장은 2억738만 달러(약 2445억원) 규모였다. 이후 2019년부터 매년 7.32%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2026년 3억6110만 달러(약 4257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국내 소주시장이 2015년 이후 지금까지 연간 2조5000억원대에 머물러 있는 것을 감안하면 미국 시장의 성장세는 매우 높은 수준이다. 국내 시장의 정체 상황에서 하이트진로는 지난 2016년 소주의 세계화를 선언한 이후 해외 소주시장에서 꾸준히 성장했다. 과거 소주를 일본과 중국 등 인접국 교포시장에 수출하는 데 집중해왔으나 최근 BTS의 흥행 등 한류 영향을 고려해 이제는 세계로 눈길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특
[더구루=김다정 기자] '3 달라.' 이는 진로 '참이슬'과 롯데칠성 '처음처럼'의 미국 내 소매 가격 차이다. 처음처럼이 상대적으로 해외 시장에서 높은 가격에 판매되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반대로 참이슬이 처음처럼 보다 대중화됐다는 방증으로도 해석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주류 배달 스타트업 드리즐리(Drizly)에서 롯데칠성의 '처음처럼' 370ml와 750ml는 각각 6.99달러와 13.99달러에 판매되고 있다. 하이트진로의 '참이슬'의 경우 750ml는 10.99달러, 1.57L는 15.25달러로 팔리고 있다. 370ml 기준으로 처음처럼과 참이슬 등 'K-소주'는 국매 소매 가격과 비교할 때 최고 6배 가량 차이가 난다. 일반적으로 수출용 소주 가격 정책은 브랜드별 다르게 진행된다. 국가별 시장 맞춤형 전략과 지역 특색에 맞는 현지화 전략에 따라 가격을 정하고 있다. 특히 수입 유통 마진으로 인해 참이슬과 처음처럼 모두 해외에서 한국 판매 가격보다 2~3배는 더 비싸게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두 제품의 가격이 차이는 현지시장 확대에 따른 유통망 확보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소주=진로’라는 등식에 따라 하이트진로의 시장 점유율이 확대되
[더구루=홍성일 기자] 핀란드 연구진이 양자컴퓨터의 핵심인 큐비트(qubit)를 안정적으로 더 오래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향후 수백, 수천개 큐비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다가선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핀란드 알토대학교 연구팀은 트랜스몬(transmon) 큐비트의 결맞음 시간(coherence time) 1.02밀리초(ms)를 기록했다. 알토대 연구팀의 기록은 기존 최고 기록(0.6ms)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결과다. 트랜스몬 큐비트는 기존 반도체 제조 기술을 활용해 만든 초전도 회로를 말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7월호에 게재됐다. 알토대 연구팀은 그동안 큐비트의 결맞은 시간을 더욱 장시간 유지하는데 집중해왔다. 결맞음 시간은 양자컴퓨터의 연산 단위인 큐비트가 양자 상태를 유지하며 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으로, 결맞음 시간이 길수록 양자 연산 오류 발생 가능성이 줄어들 뿐 아니라 더 많은 큐비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연구팀은 큐비트의 양자중첩 상태가 붕괴되는 '결어긋남(decoherence)'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통제된 클린룸에서 큐비트를 구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가 현지 소형 원전 스타트업인 라스트에너지(Last Energy)와 합의 절차에 돌입했다. 소형모듈원자로(SMR) 인허가 권한 일부를 주정부에 이관하고 관련 절차를 간소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NRC의 규제 권한이 약화될 경우, 차세대 원전인 SMR 시장에 상당한 파장이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E&E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전 NRC 고위 관계자는 "NRC와 라스트에너지가 주정부에 SMR 사업에 대한 허가 권한을 일부 넘기는 방식으로 합의할 수 있다"고 전했다. 양측은 미국 텍사스동부지방법원에서 SMR 규제 문제를 다퉈왔다. 원고인 라스트에너지, 미 유타·텍사스 주정부는 1956년에 제정된 'AEC(NRC의 전신) 규정'을 문제 삼았다. 해당 규정은 모든 민간 상업용 원전이 규모와 상관없이 무조건 인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원고 측은 NRC의 규정이 자국 원자력법의 취지를 무시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원자력법에 따라 △국가 안보에 중대한 위협을 미칠 정도록 많은 핵물질을 사용하거나 △공공의 건강과 안전에 영향을 주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상업용 원전만 NRC의 인허가 대상이라는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