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폭스바겐그룹 자회사인 파워코가 아시와 배터리 회사와 생산시설 3곳을 짓는다. ‘K-배터리’ 3사와 중국 CATL·궈시안이 물망에 올랐다. [유료기사코드] 17일(현지시간) 더페이퍼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세바스찬 울프 파워코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지난 15일 중국 선전에서 열린 '중국 국제 배터리 박람회'(CIBF)에서 "향후 10년 동안 배터리 공장 세 개를 운영할 아시아 파트너를 찾겠다"고 말했다. 폭스바겐은 전기차 비중을 30%에서 60%로 늘릴 계획이다. 전기차 수요를 충족하고자 자체 배터리 생산량도 확대한다. 파워코는 2030년까지 200억 유로(약 29조원)를 투자해 배터리 생산시설 6개를 짓는다. 총 240GWh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200억 유로가 넘는 연매출을 올린다는 계획이다. 240GWh는 전기차 최대 300만 대에 탑재될 수 있는 양이다. 파워코는 작년 7월 독일 잘츠기터에서 연 40GWh 규모의 공장을 착공했다. 내년부터 양산에 들어간다. 이어 올해 스페인 발렌시아(40GWh)에 2026년 양산을 목표로 공장 건설을 시작한다. 내년 캐나다 온타리오주 세인트토머스에 신공장(90GWh)을 착공하고 2027년부터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포드가 중국 CATL과 미시간주 배터리 공장 건설에 시동을 건다. 미국 정치권의 비난에도 불구하고 현지 시의회의 지원으로 부지를 확보했다. [유료기사코드] 4일 마샬 당국에 따르면 현지 시의회는 지난 1일(현지시간) CATL과 포드의 배터리 공장이 들어설 부지의 용도 변경 안건을 만장일치로 의결했다. 마샬 시의회는 이날 오후 7시 회의를 시작해 8시간 동안 마라톤 회의를 진행했다. 찬성 측은 포드의 투자로 인한 일자리 창출 효과를 강조했다. 반면 반대 의견을 제시한 주민들은 공장 건설로 인한 환경 오염과 농지 손실을 우려했다. 마샬시와 마샬타운십 합동계획위원회(Marshall Township Joint Planning Commission)는 지난달 25일 투표에서 반대 여론의 손을 들어줬다. 투표 결과 반대가 4표로 찬성(2표)보다 많았다. 이날 시의회 회의에서도 찬반 여론이 팽팽히 갈렸다. 이해관계자들이 치열한 토론을 펼치며 회의는 3일 오전 3시께 한 차례 휴정되기도 했다. 장장 8시간이 넘는 토론 끝에 최종 결정권을 가진 시의회는 포드에 산업·제조(Industrial and Manufacturing) 용도로 부지를 활용할 수
[더구루=오소영 기자] 포드의 대관 업무를 총괄하는 고위 임원이 미국 에너지부(DOE) 산하 자문위원으로 뽑혔다. 중국 CATL과 배터리 공장을 지으려는 포드가 현지 정부를 상대로 압박 수위를 높일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제니퍼 그랜홈 미 에너지부 장관은 이달 초 크리스토퍼 스미스(Christopher Smith) 포드 최고대관책임자(CGAO)를 에너지 자문위원회(Secretary of Energy Advisory Board) 위원으로 선임했다. 이 위원회는 미국 에너지 정책 전반을 조언하는 역할을 한다. 산·학계 인사들 18명으로 구성된다. 스미스 위원은 작년 3월부터 포드의 CGAO를 지냈다. 미국 정부와 밀접히 접촉하고 포드의 입장을 대변해왔다. 최근에는 전기차·온실가스 배출 규제 관련 DOE에 목소리를 냈다. 스미스 CGAO가 자문위원으로 뽑히며 미 정계에서 포드의 입김이 거세질 전망이다. 특히 포드는 현지 정부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한 '포드-CATL'의 파트너십에 대해 적극적으로 해명할 기회를 갖게 됐다. 포드는 지난 2월 미시간주에 35억 달러(약 4조6850억원)를 쏟아 CATL과 배터리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했다. 포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리오토가 CATL로부터 기린 배터리를 공급받는다. 완성차 업체 중 최초로 4C(15분 급속 충전) 지원의 기린 배터리를 탑재한 신차를 대량 양산한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업계에 따르면 리오토는 지난 18일(현지시간)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2023 상하이 국제모터쇼'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배터리 청사진을 공유했다. 리오토는 2025년까지 슈퍼 플래그십 차량 1대, 연장형 전기차(EREV) 5대, BEV 5대를 출시한다. 이를 위해 CATL과 포괄적인 배터리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리오토는 첫 BEV에 CATL의 기린 배터리를 탑재한다. 이 차량은 4C의 기린 배터리를 장착한 최초의 대량 양산 모델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기린 배터리는 CATL이 2022년 6월 처음 공개한 모델이다. '셀-모듈-팩'으로 이뤄지는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 모듈 공정을 생략해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패키지 내부에 배터리셀을 더 넣을 수 있는 '셀투팩(CTP)' 기술을 적용했다. 1회 완충 시 최대 1000㎞의 주행거리를 구현한다. CATL은 앞서 테슬라가 차세대 배터리로 내세운 '4680'보다 용량이 13% 크다고 주장했었다. CATL은 지난 3월부터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CATL이 체리자동차의 전기차에 나트륨이온 배터리 탑재를 예고했다. 저렴한 원자재 구성으로 배터리 가격을 낮춰 글로벌 시장에서 1위를 사수한다. [유료기사코드] CATL은 지난 16일(현지시간) 웨이보 공식계정에서 "나트륨이온 배터리가 체리 전기차로 데뷔한다"고 밝혔다. 1997년 설립된 체리자동차는 중국 5대 완성차 업체 중 하나다. CATL의 자회사인 와인딩 인베스트먼트(问鼎投资)는 체리자동차의 모회사 체리홀딩스의 지분 3.73%를 보유한 7대 주주다. 양사는 작년 말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을 계기로 협력을 확대해왔다. CATL의 주력 제품인 리튬인산철(LFP)과 신소재 기술을 적용한 M3P 등 다양한 배터리를 연구하고 'ICAR 03'을 비롯해 체리자동차의 신차에 장착하기로 했다. 최근 △8년 80만㎞의 장수명 △영하 30도에서 작동 등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를 갖춘 배터리 브랜드 '에너-큐'(ENER-Q)를 선보였다. CATL은 나트륨이온 배터리 상용화에도 체리자동차와 협력한다. 나트륨이온 배터리는 매장량이 풍부한 나트륨을 활용한다. 희귀광물 사용량을 줄여 생산비용 절감에 용이하다. 업계는 나트륨이온 배터리셀 가격이 ㎾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테슬라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 트럭 '세미'를 선보인다. LFP 배터리 사용량을 늘리며 LG에너지솔루션과 파트너십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7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1회 충전 시 300마일(약 483㎞)을 주행할 수 있는 세미를 출시할 예정이다. 이 트럭은 53kWh 용량의 LFP 배터리가 탑재될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출시된 세미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기반으로 하며 주행거리가 500마일(약 804㎞)에 달한다. 테슬라는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모델Y와 보급형 세단 모델3에도 LFP 배터리 채용을 확대한다. 향후 출시할 저렴한 전기차에도 LFP를 쓸 전망이다. 테슬라는 앞서 2만5000~3만 달러 수준의 반값 전기차 출시를 예고했었다. 지난달 1일 투자자의 날에서는 모델3와 모델Y의 조립 비용을 절반으로 줄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전기차 가격을 인하하면서 테슬라는 LFP 배터리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LFP 배터리 채택에 대한 의지를 여러 차례 밝혔었다. 작년 1분기에는 LFP 배터리 비중을 50%까지 늘렸다. LFP 배터리는 NCM(니켈·코발·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CATL이 일본 신재생에너지 전시회에서 배터리에너지저장장치(BESS)를 홍보했다. 안전성과 수명이 개선된 제품을 선보이고 일본에서 추가 수주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CATL은 지난 15~17일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월드 스마트 에너지 위크'(World Smart Energy Week)에서 수냉식 셀투팩(CTP) BESS를 선보였다. 실외용 BESS인 '에너원'(EnerOne)과 컨테이너식 BESS인 '에너씨'(EnerC)를 소개했다. CATL이 개발한 BESS는 배터리와 액체 냉각 장치, 제어시스템 등을 하나로 결합해 높은 통합성을 자랑한다. 여러 테스트를 통해 안전성을 인정받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셀을 탑재했다. CATL은 중국 배터리 회사로는 최초로 글로벌 인증평가 전문 기업 UL솔루션즈의 최신 인증인 'UL 96540A'를 받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통합 수냉식 시스템으로 배터리셀 간 온도 차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배터리 랙 내부의 배터리셀 416개의 온도 차를 3℃ 이내, 컨테이너 내부의 배터리셀 4160개의 온도 차를 5℃로 제한한다. 이를 통해 ESS의 수명을 늘렸다. 에너씨는 20년 동안 안정적인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CATL이 베이징자동차(BAIC)와 배터리셀 개발에 협력한다. 2010년부터 지속한 협력 관계를 공고히 하고 수주 확대를 꾀한다. BAIC는 지난 13일(현지시간) CATL과 배터리셀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배터리를 공동 개발하고 전기차 시장을 개척한다. BAIC와 CATL은 2010년부터 배터리 기술 개발과 공급, 애프터서비스(AS) 등에 협업해왔다. 이번 업무협약 체결로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전기차 사업의 경쟁력을 높인다. CATL은 전 세계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에서 글로벌 1위 기업이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CATL은 지난해 시장점유율 37%로 6년째 1위를 지켰다. 최근 최대 1000km의 주행거리를 자랑하는 기린 배터리의 대량 생산에 성공하며 기술력에서도 뒤처지지 않고 있다. <본보 2023년 3월 22일 참고 CATL, 차세대 '기린배터리' 양산…4680 보다 용량 13%↑> BAIC는 CATL을 등에 업고 전기차 시장을 공략한다. BAIC는 전기차 제조사로 변신하고자 자회사 'BAIC 블루파크'를 설립했다. BAIC 블루파크 산하에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 아크폭스를 선보이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공화당 강경파 모임인 프리덤 코커스가 포드·CATL의 합작사에 대한 미시간 주정부의 지원에 강력히 반발했다. CATL의 미국 진출을 경계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포드와 CATL의 파트너십에 제동이 걸렸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프리덤 코커스는 지난 10일(현지시간) 미시간 주정부의 포드·CATL 합작공장 지원 결정에 반발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앞서 미시간 주정부는 포드·CATL의 배터리 공장 건설에 6억3000만 달러(약 8330억원)를 제공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보조금은 부지 취득과 도로 등 인프라 개선에 쓰인다. 프리덤 코커스는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중국 기업에 대한 지원은 '위헌'이라고 지적했다. 스티브 카라 미시간주 하원의원은 "민주당이 이 프로젝트(포드·CATL의 배터리 공장 건설)가 공익에 부합한다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주헌법에 배치된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인센티브 지원을 "열심히 일하는 중산층의 세금을 민간 기업에 분배하는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꼬집으며 사태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프리덤 코커스의 반발은 예고된 일이다. 미시간주 하원의원 8명도 지난달 16일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 주지사에 서한을 보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탄산리튬 가격이 5개월 전보다 30% 이상 감소했다. 중국의 전기차 수요가 둔화된 가운데 배터리 업체들이 공격적인 할인 정책을 펼치며 탄산리튬의 가격 하락 압박도 커지고 있다. 이카이 글로벌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탄산리튬 가격은 6일(현지시간) t당 40만 위안(약 7570만원)을 기록했다. 작년 11월 60만 위안(약 1억1350만원)에서 33%나 빠졌다. 탄산리튬은 양극재 원가의 70%를 차지하는 원재료다. 전기차 배터리 가격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쳐왔다. 전기차 시장이 성장하면서 지난 2년 동안 탄산리튬 가격은 10배가량 급등했다. 이로 인해 완성차 업계들도 줄줄이 전기차 가격을 인상했다. 하지만 올해는 상황이 다르다. 중국 수요가 부진하고 미국 앨버말과 칠레 SQM 등 글로벌 업체들이 생산량을 늘리며 가격은 하향세를 그리고 있다. 중국승용차협회에 따르면 올해 1월 중국 내 전기차·하이브리드 차량 판매 대수는 40만8000대로 2년 전인 2021년 1월에 대비 6.3% 줄었다. 중국 배터리 업체들마저 할인 정책을 펼치며 가격 하락을 부추기는 분위기다. 중국 배터리 업계 선두인 CATL은 지난달 올해 3분기부터 3년 동안 탄
[더구루=오소영 기자] 독일 메르세데스 벤츠는 중국 CATL·거린메이(格林美·GEM)·브룬푸(Brunp)와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에 협력한다. 폐배터리에서 핵심 원재료를 확보해 배터리 생산에 투입하고 선순환 체계를 완성한다. [유료기사코드] GEM은 지난달 27일(현지시간) 벤츠, CATL, 브룬푸와 폐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GEM과 브룬푸는 벤츠로부터 폐배터리를 수거해 재활용을 추진한다. 니켈과 망간, 리튬, 코발트 등 핵심 원재료를 회수해 CATL에 공급한다. CATL은 이를 활용해 벤츠의 차량에 탑재될 배터리를 만든다. GEM은 중국 최대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다. 2001년 고체 폐기물 재활용 업체로 출발해 2003년 폐배터리로 사업 범위를 넓혔다. 2030년까지 니켈 10만t을 회수하는 시스템을 갖출 예정이다. 브룬푸는 세계 1위 배터리 업체인 CATL의 자회사로 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벤츠는 양사의 기술을 활용해 중국에서 재활용을 모색한다. 전기차 시장이 성장하면서 폐배터리 재활용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는 재활용 시장 규모가 2030년 12조원, 2040년 87조원, 2050년 600
[더구루=오소영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인도네시아 기업들과 니켈 광산 개발 사업의 지분을 합의한 것으로 보인다. LG컨소시엄이 49%를 갖고 세계 최대 니켈 보유·생산국인 인니에서 광산 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인니 국영 광물 지주회사 마인드ID(MIND ID) 측은 지난 2일(현지시간) 현지 매체 비즈니스닷컴(bisnis.com)에서 "LG와 CATL 컨소시엄은 각각 니켈 광산 개발 사업의 지분 약 49%를 보유한다"고 밝혔다. 남은 지분은 인니 국영 광산회사 안탐이 가져간다. LG에너지솔루션은 LG화학, 포스코홀딩스, LX인터내셔널, 중국 화유 등과 컨소시엄을 꾸리고 인니 시장에 뛰어들었다. 작년 4월 안탐, 인니 배터리 투자회사 IBC와 전기차 배터리 가치사슬 구축 관련 구속력 없는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양측은 광산 개발 사업에 LG컨소시엄이 49%, 안탐이 51% 지분을 갖는 방안을 두고 논의해왔다. LG에너지솔루션이 최근 인니 정부에 화유가 안탐에 이어 2대 주주에 오르고 한국은 LX인터내셔널만 투자하는 방안을 제안했으나 현지 정부가 중국 기업의 과도한 투자를 우려해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긴 대화 끝에 양측은 원안을 채택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산업용 레이저 전문기업 '트럼프(TRUMPF)'가 중국에 새로운 거점기지를 마련했다. 갈수록 거세지고 있는 미국의 대중 수출 규제에도 아랑곳 않고 중국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7일 트럼프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중국 광동성 심천(선전)시에 신규 레이저 응용 센터를 오픈했다. 심천 사업장은 트럼프가 세계에서 9번째, 중국에서 2번째로 설립한 레이저 기술 연구개발 시설이다. 트럼프는 1923년 설립돼 100여 년의 업력을 자랑하는 유서깊은 회사다.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 핵심 장치를 개발한다. 독일 자이스·프라운호퍼 IOF 연구소, 네덜란드 ASML, 벨기에 아이멕 등 1200여 개 기업·대학·연구소와 함께 'EUV 얼라이언스'에 소속돼 있다. EUV 장비에서 EUV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플라즈마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플라즈마는 진공상태에서 EUV 광원에 탄산가스를 공급하고 이를 증폭시킨 뒤 주석(Sn)과 결합해 발생된다. 트럼프는 이 과정에서 필수 소재인 탄산가스 레이저 설비를 제조한다. 트럼프는 2000년 장쑤성 소주시에 전액 출자 자회사를 설립하며 중국 시장에 첫 발을 내딛었다. 심천시와 소주시 외에
[더구루=정등용 기자] 인텔이 이스라엘 자율주행 기업 모빌아이(Mobileye) 지분 일부를 매각한다. 신규 투자 자금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된다. 7일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인텔은 14억8000만 달러(약 1조9300억 원)의 투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모빌아이 지분 일부를 매각할 예정이다. 매각은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가 주관한다. 모빌아이가 미국 규제 당국에 제출한 계획안을 보면 인텔은 모빌아이 주식 3500만 주를 매각하고 525만 주를 추가로 매각할 수 있는 옵션을 보유하고 있다. 인텔이 모빌아이 지분 일부를 매각하더라도 지분율은 88%에 이를 전망이다. 인텔의 모빌아이 지분 매각 계획은 투자 자금 확보 차원으로 풀이된다. 앞서 패트릭 겔싱어 인텔 최고경영자(CEO)는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제조 기술을 빠르게 발전시키기 위해 관련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인텔은 지난 2017년 153억 달러(약 17조5600억 원)에 모빌아이를 인수했다. 이후 모빌아이는 지난 2022년 10월 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됐으며 현재까지 2배 이상 주가가 급등했다. 올해 주가 상승률은 21%에 이른다. 모빌아이는 지난 1999년 설립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