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공작기계 솔루션 전문기업 ㈜디엔솔루션즈(DN Solutions, DN솔루션즈)가 유럽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독일에 연구개발(R&D) 센터를 구축한다. 독일에 판매법인이 있지만 R&D센터를 설립해 DN솔루션즈의 유럽시장 공략 과정에서 거점 역할을 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DN솔루션즈는 오는 11월 독일 도마겐(Dormagen)에 유럽 최초의 R&D센터를 오픈한다. DN솔루션즈는 R&D센터를 통해 유럽시장 자체 서비스를 제공하고, 향후 유럽지사까지 개설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유럽 시장에는 딜러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네덜란드에서는 도만(Dorman)으로, 벨기에에서는 제르몽(Germond)으로 DN솔루션즈의 공작기계가 판매되고 있다. 김원중 DN솔루션즈 대표는 "과거 모회사인 DN오토모티브가 유럽 엔지니어들의 역량과 결합해 독일에 R&D센터를 개관해 경험을 쌓아왔다"며 " DN솔루션즈가 독일에 자체 R&D센터를 개설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이어 "R&D센터는 하노버 공작기계박람회에서 선보인 5축 수직형 머시닝센터(DVF 5000)와 같이 새로운 제품 개발과 디지털
[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공작기계 제조·판매사인 DN솔루션즈(DN Solutions)가 호주 제조분야에서 칭찬 일색이다. 가성비가 좋고 신속한 사후서비스(AS)가 가능하며, 고객 요구사항을 잘 충족해 DN솔루션즈를 선호하고 있다. 호주 월간지 '매뉴팩처스 먼슬리'(Manufacturers Monthly)는 4일 호주 장비제공업체가 머시닝센터 등 CNC 공작기계는 대만과 한국의 공급업체와 관계를 발전시켜 왔으며, 그 중 DN솔루션즈과의 파트너십이 큰 도움이 됐다고 보도했다. 100년간 호주와 뉴질랜드 전역에 전동 쇠톱, 공기 압축기, 선반, 밀링 장비 등을 공급해온 '하레 앤드 포브스 머시너리하우스'(Hare and Forbes Machinery House)는 DN솔루션즈의 CNC 기계를 공급받고 있다. 릭 포스터(Rick Foster) 하레 앤드 포브스 머시너리하우스 총괄매니저는 "대만에서 CNC 자체 제품군을 들여오기 시작했지만 멜버른에서 사업을 인수했을 때 당시에는 대우 CNC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었다"며 "현재는 DN솔루션즈로 장비를 변경했다"고 알렸다. 그는 "호주에서 DN솔루션즈의 브랜드는 매우 신뢰받는 브랜드가 됐다"며 "처음에 제품을 들여올
[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공작기계 제조·판매사인 DN솔루션즈(DN Solutions·옛 두산공작기계)의 유럽 시장 공략이 강화된다. 네덜란드 금속회사가 고성능 수평형 터닝센터를 구입해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 시장 선점에 나선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네덜란드 로티는 DN솔루션즈의 '푸마(Puma) GT2600M' 터닝센터에 투자했다. 기계는 내달 말 즈볼러(Zwolle) 근처 하템베르브로크(Hattemberbroek)에 있는 공장으로 보내진다. 터닝센터에는 최대 65mm의 바 피드가 있는 구동 공구가 장착됐다. 강단속 절삭, 장기 고정밀, 우수한 표면 조도를 위해 설계돼 고속 터렛 인덱싱, 빠른 급이송 속도는 비절삭 시간을 최소화한다. 스탠다드(stadnard) 밀 드릴 기능은 다른 기계에서 2차 가공의 필요성을 줄여준다. 추가 기계 설정과 취급 비용을 없애는 데 도움이 된다. 고전적인 제조 방법과 매우 견고한 구조가 첨단 기술 기능과 결합된다. PUMA GT 시리즈는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는 8/10/12 인치급 터닝센터이다. 동급 최대 출력의 스핀들 모터와 신개념 공구대를 적용해 강력하고 정밀한 절삭 성능과 탁월한 생산성을 실현했다. 작업자의 편안한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반도체 산업이 향후 대규모 숙련공 부족사태를 겪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숙련공 부족 문제는 기업간의 인재 쟁탈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숙련공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 정비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일 반도체 전문매체 세미미디어에 따르면 오는 2030년까지 글로벌 반도체 산업에 숙련공이 100만명 부족할 것으로 전망됐다. 세부적으로는 미국이 6만7000명의 엔지니어가 부족할 것으로 예상됐으며, 유럽은 10만명 이상이 부족할 것으로 예측됐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우에는 미국과 유럽을 합친 것보다 많은 20만명 이상의 엔지니어가 부족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일반 엔지니어 뿐 아니라 중간 관리자급도 10만명, 고위 임원도 1만명 이상 부족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문제는 반도체 관련 학생 수가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다. 독일의 경우 2021년 기준 STEM(Science(과학), technology(기술), engineering(공학), mathematics(수학)) 분야 입학률이 6.5% 감소했다. 미국의 경우에는 2018년 전기공학 부문 졸업생이 1만3767명에 불과했다. 이는 향후 숙련공이 될 수 있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이 AI가 인류 경제 시스템에 미칠 영향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앤트로픽은 이번 기회를 통해 AI 도입으로 발생할 문제에 대한 대응책도 마련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엔트로픽에 따르면 '앤트로픽 경제 미래 프로그램(Anthropic Economic Futures Program)'을 개시한다. 앤트로픽은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AI가 경제에 미칠 영향을 연구하고, 발생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개발을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AI가 도입되면서 노동 시장에서 발생할 일자리 문제와 글로벌 경제 시스템의 변화 등을 상세하게 연구할 예정이다. 또한 이를 토대로 발생할 부작용을 예측해 대응 방안도 제시한다. 앤트로픽 경제 미래 프로그램은 △연구비 지원 △포럼 개최 △장기 데이터 생성·공급 등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앤트로픽은 연구자들이 AI가 미칠 영향을 조사할 수 있도록 지원금과 파트너십 등을 제공하고, 실제 데이터에 기반해 AI의 영향을 연구할 수 있도록 포럼을 마련한다. 또한 정기적으로 앤트로픽 경제 지수(Anthropic Economic Index)를 기반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