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SES AI 코퍼레이션(이하 SES)이 충북 충주 공장의 리튬메탈 배터리셀 생산라인 전환을 완료했다. 전기차(EV) A샘플에서 도심항공모빌리티(UAM)용으로 바꾸고 테스트도 마쳤다. UAM용 리튬메탈 배터리를 본격 양산하며 현대자동차그룹과의 파트너십도 열매를 맺을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SES는 12일(현지시간) 충주 공장의 전기차(EV) A-샘플 라인을 UAM용 리튬메탈 배터리셀 생산라인으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본격적으로 생산을 시작하기 전, 설계대로 라인이 잘 돌아가는지 확인하는 FAT(Field Acceptance Test)도 마쳤다. 차차오 후 SES 최고경영자(CEO)는 작년 말 '배터리 월드 2023'에서 충주 공장 건설을 공식화했다. 그는 "서울과 가까운 곳에 UAM 관련 생산시설 건설을 준비하고 있다"며 "이 시설은 UAM 셀, 모듈, 팩 등을 제조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었다. SES는 생산라인 전환과 테스트를 완료하면서 양산을 목전에 뒀다. 리튬메탈 배터리는 리튬메탈을 음극재로 쓴 제품이다. 흑연 음극재 기반의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무게당 에너지밀도(wh/㎏)가 높다. 무게가 가벼우면 연료 효율을 개선하는데 유리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SES AI 코퍼레이션(이하 SES)이 '우스터 폴리테크닉 대학(이하 WPI)'의 리튬메탈 배터리 재활용 기술 연구를 지원한다. 현지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어센드엘리먼츠'의 공동 창업자인 '배터리 대가' 얀 왕(Yan Wang) WPI 교수의 연구팀과 협력한다. 내년 리튬메탈 배터리 양산을 앞두고 공급망을 강화하고자 재활용을 통한 원재료 확보를 꾀한다. [유료기사코드] 22일 SES에 따르면 이 회사는 미국 WPI가 추진하는 리튬메탈 배터리 재활용 연구에 자금을 제공한다. 이 연구는 WPI 기계·재료공학과 교수이자 윌리엄 스미스 재단을 이끄는 왕 교수가 총괄한다. 왕 교수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배터리 연구원이다. 중국 톈진대학에서 석사까지 마치고 캐나다 윈저대학에서 박사, 미국 매사추세츠 공대(MIT)에서 박사후 연구과정을 밟았다. 배터리 재활용과 안전, '초소형 이차전지' 슈퍼커패시터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어센드엘리먼츠와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AM 배터리스(AM Batteries)'의 공동 창립자이기도 하다. 왕 교수는 SES의 지원으로 수명을 다한 리튬메탈 배터리를 재활용해 광물을 추출, 다시 배터리 생산에 투입하는 기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SK 출신의 손용규 SES AI 최고기술책임자(CTO)가 회사를 떠난다. 리튬메탈 배터리 개발을 주도한 인물이 사임하며 SES AI의 상용화 향방에 이목이 쏠린다. 26일 SES AI에 따르면 손 CTO는 오는 30일 자로 사임한다. 일신상의 이유로 경영진이나 이사회와의 마찰은 아니라고 회사 측은 전했다. 손 CTO는 2016년 SES AI에 합류하기 전 삼성SDI와 A123코리아, SK이노베이션, 애플 등에서 일하며 이차전지 업계에서 10년 이상 경력을 쌓았다. 삼성SDI의 원통형 제품인 18650(지름 18㎜, 높이 65㎜) 배터리 셀, SK이노베이션의 플러그드인하이브리드차(PHEV)용 배터리, 애플의 LV 배터리 연구에 참여했다. 배터리 업계에서 쌓은 공로를 인정받아 SES AI에 CTO로 영입됐다. 이후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 리튬메탈 배터리 양산에 기여했다. 손 CTO의 퇴사 후 후임자로는 홍간 최고과학책임자(CSO)와 다니엘 리 최고제조책임자(CPO)가 꼽힌다. 한편, SES AI는 MIT 출신 치차오 후 최고경영자(CEO)가 2012년 설립한 배터리 스타트업이다. 미국 보스턴에 본사를 두고 싱가포르와 중국 상하이에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애리조나주퇴직연금(ASRS)이 하이브리드 리튬메탈 배터리 업체 SES AI 코퍼레이션(이하 SES)의 주식을 대량 매수했다. 차세대 배터리 기술에 대한 현지 금융기관들의 관심이 어느 때보다 뜨겁다는 평가가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애리조나주퇴직연금(ASRS)은 2분기 9만7000달러 상당(약 1억3790만원)의 SES의 주식(2만4717주)을 샀다. ASRS는 운용자산(AUM)이 422억 달러(약 60조원)에 달하는 연기금이다. 해외 연기금 전문매체 펜션즈&인베스트먼츠(P&I)가 지난해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미국 상위 200대 연기금 중 사모신용 투자 규모가 가장 큰 곳(87억 달러·약 12조원)으로 꼽혔다. ASRS에 앞서 1분기에는 윌리엄스존스자산관리가 7만7500주를 추가로 사 총 보유 주식을 9만500주로 늘렸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88만6000달러(약 12억6000만원) △골드만삭스는 20만1000달러(약 2억8570만원) △JP모건체이스는 15만 달러(약 2억1320만원) △뱅크오브뉴욕멜론은 35만4000달러(약 5억320만원) 상당의 주식을 매입했다. 미국
[더구루=오소영 기자] 말레이시아 정부가 원전 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에 나선다. 관련 부처·기관의 협업을 통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지침을 준수하고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원전을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에너지 전환에 한 걸음 다가가고자 원전 사업에 다시 시동을 걸었다. [유료기사코드] 21일 말레이시아 에너지전환수자원부(PETRA)와 월드뉴클리어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신규 원전 도입을 위한 타당성조사를 시작한다. PETRA 산하 마이파워 코퍼레이션(MyPOWER Corporation)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지침에 따라 준비 작업을 주도한다. 각 부처와 관련 기관들이 협업하며 IAEA 마일스톤 접근법(Milestones Approach)을 따른다. 이 접근법은 처음으로 원전 도입을 검토하거나 계획하는 국가를 지원하고자 IAEA에서 권고하는 단계적 접근 방식이다. 원전 준비와 건설, 운영, 폐기 등 단계를 명확히 구분하고, 단계별로 필요한 활동과 고려사항을 제시한다. 제도적 기반 수립과 안전 관리 체계 구축, 인적 자원 개발, 이해관계자 참여 방안 등을 담고 있다. PETRA는 이번 조사를 통해 국제 표준을 충족하는 원전을 개발한다는 계획이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키옥시아가 포스트 5G·6G 시대를 겨냥한 고용량·고속 플래시 메모리 모듈 시제품을 개발하며 기술 한계를 뛰어넘었다. 대규모 인공지능(AI) 처리, 실시간 데이터 분석, 스마트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21일 키옥시아에 따르면 5TB 용량과 초당 64기가바이트(GB) 전송 속도를 동시에 구현한 플래시 메모리 기반 모듈 시제품 개발에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일본 국가 연구개발기관 '신에너지산업기술개발기구(NEDO)'가 위탁한 '5G 이후 정보통신 시스템 인프라 강화 R&D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이번 시제품은 기존 D램 기반 메모리에서는 달성하기 어려웠던 대용량과 고속 전송을 동시에 구현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키옥시아는 각 메모리 보드에 컨트롤러를 체인처럼 연결하는 '데이지 체인' 구조를 적용, 플래시 메모리 수가 많아져도 데이터 전송 속도가 떨어지지 않도록 했다. 데이터를 더 빠르게 읽을 수 있는 '프리페치 기술'을 활용해 신호 왜곡을 보정하며 저전압 신호를 사용하는 기술로 메모리 대역폭을 높였다. 데이터 전송에는 기존 병렬 방식이 아니라 4레벨 전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