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중공업이 지난해 수주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4척에 차세대 공기 윤활 시스템 'Hi-ALS'와 선박용 압축 공기 시스템 'ALS 압축기'를 장착한다. 선박용 친환경 에너지 절감 장치를 탑재해 연료 소모와 탄소 배출을 줄이고, 압축기로 선박 에너지 효율을 높인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중공업은 독일 에너지 대기업 EnBW으로부터 수주한 17만4000㎥급 LNG 운반선 4척에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차세대 공기 윤활 시스템 'Hi-ALS'와 노르웨이 TMC 콤프레서(Tamrotor Marine Compressors, 이하 TMC)의 ALS 압축기를 장착한다. HD현대중공업이 개발한 차세대 공기 윤활 시스템 Hi-ALS는 선체 표면에 공기를 공급해 마찰 저항을 줄여 연료 소모와 탄소 배출을 저감하는 선박용 친환경 에너지 절감 장치다. HD현대중공업이 자체 개발한 제어 시스템과 선박 통합정보 시스템을 연계해 선박 운항 상태에 따라 작동 방식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장기 운항 정보를 수집·분석해 시스템 최적화에 활용하는 스마트십 솔루션이 적용됐다. 선박이 받는 전체 저항력 가운데 약 70%가 해수와 선체 사이의 마찰에서 발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오션이 일본 미쓰이 OSK 라인(Mitsui OSK Lines, 이하 MOL)이 용선할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에 해상 압축 공기 시스템을 탑재한다. 선박의 에너지 효율을 높여 에너지 비용을 절감시킨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오션은 2021년도와 2022년도에 수주한 17만4000㎥급 LNG 운반선 6척에 노르웨이 TMC 콤프레서(Tamrotor Marine Compressors, 이하 TMC)의 선박용 압축 공기 시스템을 장착한다. TMC는 유럽에서 장비를 제조해 한화오션으로 배송할 예정이다. 압축 공기 시스템은 선박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필수 장비다. 기포를 사용해 선체와 해수 사이의 저항을 줄이는 데 사용된다. 선체 표면 전체에 기포가 분포됨으로써 선체에 작용하는 마찰 저항이 감소해 에너지 절약 효과가 있다. 공기 소비량이 적으면 컴프레서에 필요한 속도가 줄어들어 전력 소비가 줄어든다. 연료 소비와 관련된 배기가스 배출량도 감소시킨다. 전세계 해양 산업은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로 선박의 배출량을 낮추는 데 점점 더 집중하고 있다. 한스 피터 타눔(Hans Petter Tanum) TMC 영업·사업 개발 이사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그리스 해운사 가스로그(GasLog)를 위해 수주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건조를 위해 TMC 콤프레서(TMC)를 택했다. 선박의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 시킨다는 방침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은 노르웨이 TMC콤프레서에 공기윤활시스템(ALS)용 선박용 압축 공기 시스템을 주문했다. TMC는 17만4000㎡급 LNG 운반선 4척에 각각 3개의 제어·및 서비스 공기 압축기를 공급한다. 또 선박의 N2(질소) 시스템에 공기 압축기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들은 높은 주변 온도에서 지속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제조됐다. 압축기는 선박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필수 장비다. 기포를 사용해 선체와 해수 사이의 저항을 줄이는 데 사용된다. 선체 표면 전체에 기포가 분포됨으로써 선체에 작용하는 마찰 저항이 감소해 에너지 절약 효과가 있다. 연료 소비와 관련된 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공기 소비량이 적으면 컴프레서에 필요한 속도가 줄어들어 전력 소비가 준다. 대우조선이 선택한 TMC 압축기는 작년 하반기 가스로그와 LNG 운반선 4척을 놓고 건조 협의를 해오다 최종 수주한선박에 탑재한다. <본보 2021년 11월 2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모바일 게임 시장이 다운로드 수 정체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용자당 평균 수익(ARPU)을 기반으로 아시아 2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충성도 높은 이용자 기반과 효과적인 수익화 전략이 일본 시장의 강점이자 한계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