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CATL이 음극재를 쓰지 않은 배터리 기술 특허를 냈다. 차기 나트륨이온 배터리에 적용해 단점으로 꼽힌 낮은 에너지 밀도를 해결할 것으로 보인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CATL이 음극재를 쓰지 않은 배터리 기술 특허를 냈다. 차기 나트륨이온 배터리에 적용해 단점으로 꼽힌 낮은 에너지 밀도를 해결할 것으로 보인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BYD가 지난달 중국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시장에서 CATL을 제치고 1위에 올랐다. 블레이드 배터리의 흥행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중국 자동차동력배터리산업혁신연맹(中国汽车动力电池产业创新联盟)에 따르면 BYD는 지난달 LFP 배터리 사용량이 4.19GWh를 기록해 47.14%의 점유율로 선두를 차지했다. 사용량은 지난달 3.98GWh 대비 크게 증가했다. CATL은 같은 기간 설치량이 7.02GWh에서 3.05GWh로 급락했다. 점유율은 50.49%에서 34.29%로 감소해 2위로 밀려났다. BYD가 1위에 올라설 수 있었던 배경에는 자체 전기차 판매 확대에 있다. BYD는 지난달 올해 3월부터 내연기관차 생산을 종료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지난달 전년 동월 대비 2배 성장한 10만6000대의 전기차를 팔았다. 블레이드 배터리의 활약도 BYD가 선전한 이유로 꼽힌다. LFP 기반의 블레이드 배터리는 칼날처럼 얇고 긴 셀을 촘촘하게 끼워 넣는 방식으로 제작되며 높은 에너지밀도와 안전성을 자랑한다. BYD는 포드와 폭스바겐, 다임러 등에 공급을 모색해왔다. 지난 2월에는 테슬라와 연간 20만4000대의 전
[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엔지니어링이 투자한 4세대 초고온 가스로 소형모듈원전(MMR) 전문기업 USNC(Ultra Safe Nuclear Corporation)가 미국 국방부(펜타곤)이 추진하는 핵추진 우주선 사업에 참여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USNC는 미국 국방부 산하 국방혁신국(Defense Innovation Unit·DIU)과 소형 핵추진 우주선 개발과 관련해 계약을 맺었다. 이번 계약에 따라 USNC는 핵충전 세라믹(Nuclear Chargeable Ceramic) '엠버코어(EmberCore)'를 적용한 핵추진 엔진 기술 개발에 나선다. DIU는 오는 2027년 지구 궤도에 핵추진 우주선을 띄우는 것을 목표로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다. USNC는 미국항공우주국(나사·NASA)의 핵추진(Nuclear Thermal Propulsion) 시스템 개발에도 참여하는 등 핵추진 엔진 시장 선점에 속도를 내고 있다. <본보 2022년 5월 2일자 참고 : '현대엔지니어링 투자' USNC, 나사 핵추진 시스템 개발 참여> USNC는 미국 시애틀에 본사를 둔 MMR 기업이다. USNC가 개발한 4세대 초고온 가스로 MM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