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쇼트 주인공' 마이클 버리 "FUD 경멸적 표현이 FTX 사태 키웠다"

공포(Fear)·불확실성(Uncertainty)·의심(Doubt) 조합 표현
가상자산 지지자들, 반대 의견에 무분별 사용

 

[더구루=홍성환 기자] 영화 '빅쇼트'의 주인공 마이클 버리가 암호화폐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을 조롱하는 의미를 담고 있는 'FUD'라는 표현이 FTX 사태를 촉발했다고 주장했다.

 

10일 미국 커뮤니티 사이트 레딧에 따르면 마이클 버리는 지난 8일(현지시간) 자신의 개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FUD라는 약어가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는 어리석음을 최소화했다"며 "아무리 논리적인 주장이라도 대세에 반하면 그 의견은 FUD라는 단어로 경멸을 받았다"고 밝혔다.

 

현재 해당 글은 삭제된 상태다.

 

FUD는 공포(Fear)·불확실성(Uncertainty)·의심(Doubt) 등 세 단어의 앞글자를 조합한 단어다. 가상자산 지지자들이 가상자산·블록체인 비판에 대해 경멸하는 의미로 이러한 표현을 사용해 왔다.

 

버리는 이어 9일에는 "암호화폐의 문제는 레버리지"라며 "만약 암호화폐에 얼마나 많은 레버리지가 있는지 모른다면, 아무리 당신이 암호화폐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더라고 아무것도 모르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버리는 대표적인 암호화폐 비관론자 가운데 하나로 그동안 계속 비판적인 입장을 밝혀왔다. 버리는 2008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예측하고 공매도를 걸어 8억 달러(약 1조900억원) 이상의 큰 수익을 낸 인물로 유명하다. 그의 이야기가 영화 '빅쇼트'로 제작됐다.

 

FTX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출신 샘 뱅크먼프리드가 2019년 설립한 가상자산 거래소다. 그런데 관계사인 알라메다리서치의 재정 위기 우려가 제기되면서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 알라메다는 뱅크먼프리드가 FTX를 창업하기 전 설립한 헤지펀드다.

 

이달 2일 미국 가상자산 전문매체 코인데스크는 알라메다 총자산의 대부분이 FTX가 자체 발행한 암호화폐인 FTT로 이루어져 있다고 지적했다.

 

의혹이 커지자 FTT를 보유하고 있던 바이낸스는 이를 전부 처분하겠다고 공개 선언했다. 이에 투자자들이 동요하면서 뱅크런(대규모 인출) 사태가 벌어졌다. FTX에 따르면 지난 72시간 동안 총 60억 달러(8조2100억원)의 자금이 빠져나갔다.  

 

이에 지난 8일(현지시간) 이번 사태의 발단이 됐던 바이낸스가 FTX 인수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는 트위터를 통해 FTX를 인수하는 내용의 투자의향서에 서명하고 실사 작업을 진행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FTX도 이 사실을 발표하고 바이낸스와 적극적인 대화를 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바이낸스는 9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우리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선다”며 “FTX 인수를 포기한다”고 선언했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