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지난해에만 376만 데이터센터 GPU 출하 '시장 완전 장악'

작년 출하량·매출 기준 시장점유율 98% 달성
매출 전년 대비 232% 폭발적 증가…고부가 제품 판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엔비디아가 그래픽처리장치(GPU) 시장 '절대강자'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연내 차세대 인공지능(AI) 칩 출시를 계기로 독주 체제를 가속화할 전망이다. 

 

13일 시장조사기관 테크인사이츠(Techinsights)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작년 376만 개의 데이터센터용 GPU를 출하, 시장점유율 98%를 차지했다. 지난 2022년에 이어 2년 연속 98%에 달하는 시장점유율을 기록했다. 

 

인텔과 AMD 등을 포함한 전체 글로벌 데이터센터용 GPU 출하량은 385만 개였다. 전년 약 267만 개에서 약 44% 증가한 수치다. 엔비디아의 376만 개를 제외하면 인텔과 AMD가 출하한 GPU는 약 9만 개에 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매출 측면에서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엔비디아의 지난해 데이터센터용 GPU 매출은 362억 달러였다. 전년(109억 달러) 대비 232%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42% 늘어난 출하량 증감율과 비교해 약 6배 높은 수치다. 고부가 하이엔드 제품 판매 비중을 늘려 수익성을 끌어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엔비디아는 AI 성능을 강화한 GPU 신제품을 앞세워 시장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오는 3분기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차세대 인공지능(AI) 칩 'B200'과 AI 가속기 'GB200' 출시할 예정이다. GB200은 △메타 △마이크로소프트(MS) △오픈AI 등의 데이터센터에 공급될 전망이다. <본보 2024년 6월 11일 참고 엔비디아, 3분기 블랙웰 GB200 AI 가속기 출하, 가격은 기존 대비 10배↑>

 

블랙웰의 후속 아키텍처인 ‘루빈’ 출시 계획도 공유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2일(현지시간) 열린 대만 '컴퓨텍스 2024' 기조 연설에서 "오는 2026년 '루빈'을, 2027년 후속작인 '루빈 울트라'를 양산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루빈에는 6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인 HBM4 8개, 루빈 울트라에는 HBM4 12개가 장착된다. 


해당 콘텐츠는 유료 서비스입니다.

  • 기사 전체 보기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vat별도)
  • 해당 콘텐츠는 구독자 공개 콘텐츠로 무단 캡처 및 불법 공유시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