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와 수소 생산에 협력하고 있는 미국 수소기업 유틸리티(Utility)가 국내 에너지기업 GH EnA와도 손을 잡는다. 바이오가스를 활용해 청정 수소를 생산, 한국 수소 경제 목표 달성에 기여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유틸리티는 GH EnA와 바이오가스를 활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하이젠(H2Gen) 프로젝트를 공동 개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GH EnA는 프로젝트 개발을 주도하고, 유틸리티가 H2Gen 원자로와 기술 및 상업적 지원을 제공한다.
H2Gen 원자로는 유틸리티의 독점적인 엑제로(Electroless Coupled Exchange Reduction Oxidation, eXERO)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엑제로는 수증기를 고온에서 전기분해해 고순도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전기를 사용하지 않아 저비용·저탄소 공정 구현이 가능하다.
양사의 계약은 한국의 H2Gen 수소 플랜트 구축 프로젝트에 적용된다. H2Gen 프로젝트는 초기 춘천, 태백, 홍천, 속초, 양양, 고성, 인제 등에서 상업용 운송, 버스, 승용차 등 대형 차량에 동력을 공급하는 수소를 생산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은 한국의 수소 경제 로드맵을 지원하기 위한 전략적 이니셔티브로 추진됐다. 한국은 탄소 중립을 달성하고 수입 화석 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바이오가스와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우선시하는 프로젝트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모빌리티 부문에서 H2Gen를 적용하면 바이오가스를 수소로 직접 전환하기 때문에 증기 메탄 개질(SMR) 공정이 필요없다. 재생 천연가스(RNG) 보다 자본 투자 비용이 낮고, 전력이 필요하지 않아 설치 공간이 적다. 또 최소한의 바이오가스 전처리 및 수소 후처리를 통한 운영도 간소화됐다.
유틸리티는 자사 독점 기술을 통해 모빌리티 부문뿐만 아니라 철강, 석유화학 및 기타 탈탄소화가 어려운 산업에서 깨끗하고 저렴한 수소를 현장에서 생산할 수 있다고 밝혔다.
클라우스 누스그루버(Claus Nussgruber) 유틸리티 최고경영자(CEO)는 "유틸리티의 H2Gen 원자로를 사용하면 한국 기업은 더 이상 비용이 많이 들고 설치 면적이 크고 활용도가 낮은 재생 에너지 소스에 얽매이지 않는다"며 "고 "한국의 수소 경제 목표와 에너지에 필수적인 깨끗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지홍 GH EnA 사장은 "GH EnA는 한국에서 탄소 집약도가 낮은 수소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리더이자 혁신가"라며 "유틸리티와 협력해 생명의 가치를 보존하고 사람들을 위한 더 나은 에너지 환경을 조성한다"고 말했다.
지난 2018년 설립된 유틸리티 글로벌은 자체 개발한 엑제로 공정을 활용해 수소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다. 독보적인 혁신 엔진과 신속한 상용화 방법론을 통해 기존의 지속 가능성 문제를 극복하는 파괴적인 기술 솔루션 개발을 사업 목표로 하고 있다. ㈜한화 건설부문과는 폐가스를 활용한 수소 생산에 협력하고 있다. <본보 2023년 10월 17일 참고 [단독] 한화 건설부문, 삼성이 투자한 美 수소기업 '유틸리티 글로벌'과 맞손>
GH EnA는 에너지 전환을 전문으로 하는 풀서비스 엔지니어링 및 건축 회사이다. 수소연료전지, 바이오가스 발전사업 등 친환경 스마트그린 솔루션을 아우르는 에너지사업과 건축, 기계, 전기, 소방, 통신 설계 등 시공단계 감리 사업, 제연설비 진단사업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