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김은비 기자] 글로벌 탄소섬유 및 복합 소재 분야 1위 기업 도레이(Toray)가 대만에 반도체 소재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 거점을 설립한다. 세계 최대 반도체 생산 기지 중 한 곳인 대만에서 현지 기업, 연구기관과 협력해 첨단 반도체 소재 개발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글로벌 탄소섬유 및 복합 소재 분야 1위 기업 도레이(Toray)가 대만에 반도체 소재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 거점을 설립한다. 세계 최대 반도체 생산 기지 중 한 곳인 대만에서 현지 기업, 연구기관과 협력해 첨단 반도체 소재 개발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보잉의 차세대 친환경 항공기 ‘X-66’이 첫 풍동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보잉은 이번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설계 개선 작업을 진행해 지속 가능한 항공기 개발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보잉은 X-66의 풍동 테스트를 성공리에 마무리 지었다. X-66은 보잉이 연료 효율성을 제고하고 탄소 배출을 저감하기 위해 설계한 항공기다. '트러스 브레이스드 윙(TTBW, Treuss-Braced Wing)' 구조를 채택, 긴 날개를 대각선 지지대로 보강하는 공기역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보잉은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협력해 풍동 테스트를 실시했다. 첫번째 테스트는 버지니아주에 위치한 NASA 랭글리 연구센터에서 날개 길이 6피트(약 1.8m) 규모로 축소한 모델의 저속 실험을 진행했다. 양력과 항력, 안정성을 분석하는 등 다양한 비행 조건에서 성능을 검증했다. 두번째 테스트는 캘리포니아주 에임스 연구센터에서 진행했다. '반쪽 날개' 모델을 이용해 고속 비행 시 공기역학적 특성을 측정, 날개 구조를 최적화하기 위한 데이터를 확보했다. 보잉은 두 차례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정밀한 데이터를 확보할
[더구루=길소연 기자] 러시아 최초의 쇄빙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의 해상 시운전이 미뤄지면서 취항일이 늦어지고 있다. 선박 취항 지연으로 러시아의 북극 에너지 프로젝트에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높은 상황에서 러시아가 프로젝트를 위해 한국 조선소에 손을 내밀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작년 말 진수된 아크(Arc)7 아이스 클래스 LNG 유조선 '알렉세이 코시긴'(Alexey Kosygin)호가 아직 해상 및 계류 시험을 완료하지 못해 취항이 연기됐다. 알렉세이 코시긴호는 작년 12월 25일 시운전을 위해 즈베즈다 조선소를 떠났다. 초기 해상시험은 72시간 동안 진행됐다. 이후 선박은 3개월여 동안 조선소에서 가까운 아무르만에 정박해 있었다. 겨울내내 공회전 하던 시운전은 지난달 말 재개했다. 선박은 블라디보스토크 동쪽의 나홋카만을 향해 항해하는 시운전을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운전을 마치면 해당 선박은 제재 대상인 러시아 해운사 소브콤플로트(Sovcomflot)가 운영할 예정이다. 알렉세이 코시긴호는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쇄빙선이다. 러시아 북극 LNG2 프로젝트에 투입될 15척의 강력한 쇄빙 LNG선 선단 중 선두 선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