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전 중인 미얀마, 러시아 지원 속 원전 건설 가속

네피도 인근 110MW 소형 원자로 추진…국제사회 “군사 전용 우려”

 

[더구루=김나윤 기자] 내전으로 혼란이 이어지는 미얀마가 러시아의 기술·재정 지원을 발판으로 원자력 개발 속도를 높이고 있다. 정권 차원의 핵 야심이 본격화하면서 국제사회 우려가 커지고 있다.

 

CNBC인도네시아는 "군정 지도자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이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열린 세계 원자력 주간 포럼에서 "러시아의 기술 지원으로 미얀마의 오랜 핵 개발 꿈이 다시 이어졌다"고 말했다"고 지난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흘라잉 사령관은 "지난 2022년 러시아와 협력한 이후 상당한 진전을 거뒀다"며 러시아의 다각적 지원에 감사를 표했다.

 

사령관은 특히 러시아 국영 원자력 기관인 로사톰과의 파트너십을 강조하며 "우리 정권은 로스톰이 제시한 3단계 계획을 따라 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보도에 따르면 로사톰은 행정 수도 네피토 인근에 110메가와트 규모의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를 건설하는 작업을 지원 중이다.

 

흘라잉은 지난 달 25일 모스크바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회담을 갖고 협력 강화를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푸틴 대통령은 "지난 3월 체결한 핵 기술 협력 합의를 이행하기 위해 양국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측은 지난 2023년에도 협력의 일환으로 양곤에 미얀마 최초의 원자력 기술 정보센터를 개소한 바 있다. 이는 로사톰과의 양해각서(MOU) 체결 1년 만에 이뤄진 조치였다.

 

군정은 이번 원전 프로젝트가 "에너지 안보와 평화를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국제사회는 미얀마가 핵 기술을 군사적으로 전용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유엔은 "미얀마 군부가 지난 4년간 최소 6000명 이상의 민간인을 살해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흘라잉 사령관은 반인도적 범죄와 관련해 국제형사재판소 영장을 받은 상태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