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독일 에어택시 제조업체 릴리움(Lilium)이 영국 항공우주 공급업체와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의 통합 전기 배선 상호 연결 시스템(EWIS)을 설계, 구축한다. [유료기사코드] GKN 에어로스페이스(이하 GKN)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릴리움과 eVTOL 항공기용 전기 배선 상호 연결 시스템을 공급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GKN는 네덜란드에 있는 시설에서 EWIS 하드웨어 세트를 구축하고 독일 오버파펜호펜(Oberpfaffenhofen)에 있는 릴리움의 최종 조립 라인에 있는 eVTOL 릴리움 젯(Lilium Jet)에 현장 설치한다. 양사 협력 범위는 eVTOL 릴리움 젯(Lilium Jet) 저전압과 고전압 전기 상호 연결의 통합 설계를 포함한다. GKN는 세계 최고의 다중 기술 계층 1 항공우주 공급 업체이다. 13개국의 40개 제조 위치를 통해 우리는 90% 이상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항공 우주 산업 내에서 인증 가능한 EWIS 솔루션의 설계 및 구축에 있어 상당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이미 완전 전기, 하이브리드 전기, 수소 동력 항공기 기술을 포함하는 지속 가능한 항공에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수소기업 '플러그파워'의 오세아니아 시장 공략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호주 재생에너지 회사 '포테스큐 퓨처 인더스트리(Fortescue Future Industries, FFI)'와의 전해조 합작 공장 건설 프로젝트가 무산되면서다. [유료기사코드] 4일 플러그파워에 따르면 앤디 마시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열린 컨퍼런스콜에서 포테스큐 퓨처 인더스트리와 호주에 전해조 생산 공장을 건설하기로 한 계약을 파기했다고 발표했다. 이미 착공한 해당 공장은 포테스큐 퓨처 인더스트리가 소유해 계획대로 연내 가동에 돌입한다. 마시 CEO는 "우리는 그것(공장 건설)이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며 "경제성을 최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포테스큐 퓨처 인더스트리와 함께 공장을 짓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헀다. 플러그파워와 포테스큐 퓨처 인더스트리는 지난 2021년 50대 50 지분으로 공동 출자해 호주 퀸즐랜드주 글래드스톤에 2GW 규모의 전해조 공장을 건설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연료전지 시스템을 비롯해 수소 관련 부품 생산으로 확장키로 했었다. 포테스큐 퓨처 인더스트리는 신공장에서 만든 제품 일부를 확보하고, 플러그파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반도체 회사 울프스피드(Wolfspeed, 전 크리)가 독일에 유럽 첫 생산거점을 구축한다. 주요 고객사인 완성차 업체들을 근거리에서 지원사격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4일 울프스피드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독일 잘란트주 엔스도르프에 200mm 실리콘카바이드(SiC,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공장을 건설한다고 발표했다. 총 27억5000만 유로를 투자하며, 이중 20%에 해당하는 5억 유로는 정부 보조금으로 충당한다는 계획이다. 울프스피드는 EU 집행위원회의 승인을 받는대로 이르면 올 상반기 내 착공할 예정이다. 풀가동시 600명 이상의 신규 일자리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 이밖에 독일 자동차 부품사 ZF와 공동으로 반도체 연구개발(R&D) 센터도 건설할 방침이다. SiC 전력반도체는 기존 실리콘 기반 칩보다 고전력·고효율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SiC칩을 탑재한 전기차는 더 긴 주행거리를 제공하면서도 빠른 충전속도를 자랑한다. 2배 이상 비싼 재료비에도 SiC칩을 향한 완성차 업체들의 러브콜이 이어지는 이유다. 울프스피드는 글로벌 SiC칩 시장 1위 업체다. SiC칩은 높은 기술적 진입장벽으로 울프스피드를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전용 전기차 세단 모델 '아이오닉6'가 스페인 시장에 출격한다. 지난해 독일과 영국, 프랑스 시장에서 완판을 기록한 데 이어 유럽과 캐나다에서 가장 주목받는 신차로 선정된 만큼 높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스페인 시장에 아이오닉6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총 3가지 트림을 제공할 예정이다. 현지 판매 가격은 출시일에 맞춰 공개할 방침이다. 아이오닉6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가 적용된 전기 세단 모델이다. 강력한 모터 출력은 물론 긴 주행거리, 신속·편리한 충전, 첨단 안전사양, 유선형 조형, 합리적인 가격 등을 갖췄다. 모터는 뒤차축에 기본 탑재되고 최고 출력 225마력, 최대 토크 35.7kg.m를 발휘한다. 프레스티지 AWD의 경우 앞차축에 74kW 모터가 더해져 최고 출력 320마력, 최대 토크 61.7kg.m를 낸다.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걸리는 시간은 5.1초다. 배터리 팩 용량은 77.4kWh로 제원상 완전충전 주행거리는 420km다. 충전은 400·800V 멀티 급속 충전 시스템이 담당한다. 일반 400V 충전기는 물론 800V 초급속 충전도 가능하다. 초급속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리벤트와 퀘벡투자공사(Investissement Québec)의 합작사 '네마스카리튬'의 리튬 공장 착공이 임박했다. 건설을 가속화해 인근에 둥지를 튼 포스코케미칼과 독일 바스프의 양극재 공장에 원재료인 리튬 공급을 모색한다. [유료기사코드] 4일 네마스카리튬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달 퀘벡주 베캉쿠아(Bécancour)에 들어설 수산화리튬 공장 부지 매입을 마무리하고 삼림 벌채, 개간 작업 등 건설 전 기초 작업에 착수했다. 올 여름께 착공해 오는 2026년 완공 목표다. 리벤트와 퀘벡투자공사는 6억5000만 달러~7억5000만 달러를 들여 리튬 공장을 짓는다. 퀘벡주 소재 와부치(Whabouchi) 리튬 광산에서 채굴한 스포듀민(고순도 리튬 광물광석)을 네마스카의 생산시설로 옮겨 가공 후 수산화리튬으로 재탄생시킨다. 네마스카리튬 공장의 초기 연간 생산량은 3만4000t이다. 추후 증설을 통해 10만t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네마스카리튬은 와부치 광산 개발을 목적으로 2007년 설립된 회사다. 리벤트와 퀘벡투자공사(Investissement Québec)가 절반씩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 2018년 LG화학 배터리 사업부문(현 L
[더구루=오소영 기자] 독일 인피니언테크놀로지스(이하 인피니언)가 미국 생체인식 솔루션 업체 센트리 엔터프라이지스(이하 센트리)에 보안칩을 공급한다. 고객사를 추가하고 보안칩 시장에서 영향력을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센트리는 인피니언의 SLC38를 택했다고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밝혔다. 이 칩은 ARM의 32비트 SecurCore SC300 아키텍처와 인피니언의 플래시 기반 보안 컨트롤러 솔리드 플래시를 결합해 개발됐다. 40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공정으로 생산되며 0.2초 이내로 비접촉 결제가 가능한 기술이 적용됐다. 인피니언의 칩은 출시를 앞둔 콜드스토리지 형태의 암호화폐 지갑과 생체인식 플랫폼 센트리 카드에 쓰인다. 전자는 다량의 암호화폐를 오프라인에 보관해 보안을 강화한 지갑이다. 후자는 디지털화된 증명 데이터로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두 제품 모두 노르웨이 IDEX바이오메트릭스(이하 IDEX)의 생체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인피니언은 IDEX와 2018년부터 보안칩과 생체인식 기술을 결합하고자 협력해왔다. 센트리의 제품 개발에 기여하며 시너지를 극대화할 것으로 보인다. 인피니언은 마이크로소프트(MS)와 삼성전자,
[더구루=정예린 기자] 퀄컴이 스냅드래곤 팬덤을 구축, 브랜드 파워 강화에 나선다. '팬' 마케팅을 통해 변화하는 트렌드에 빠르게 발맞추고 기업 이미지를 재고한다는 전략이다. [유료기사코드] 4일 퀄컴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달 '스냅드래곤 인사이더 액세스 프로그램(Snapdragon Insiders Access Program)'을 새롭게 발표했다. 스냅드래곤은 신청자들에게 신제품 등에 대한 우선 체험 기회를 부여하고, 참가자들은 이를 토대로 콘텐츠를 만들어야 한다. 스냅드래곤 인사이더 액세스 프로그램은 한 마디로 스냅드래곤 브랜드 크리에이터 발굴 프로젝트다. 미국에 거주하는 18세 이상의 스냅드래곤 인사이더만 신청할 수 있으며 추후 확대할 계획이다. 스냅드래곤 인사이더는 스냅드래곤 커뮤니티에 소속된 팬덤을 이르는 명칭이다. 퀄컴은 신청자들 중 일부를 선정해 △스냅드래곤 기반 장치 우선 경험·브랜드와 협력 △유명 인플루언서로부터 콘텐츠 제작 교육 △스냅드래곤 독점 이벤트 우선 참여권 △스냅드래곤 공식 채널에 콘텐츠 업로드 기회 등을 제공한다. 선정된 이들은 기기나 이벤트 경험에 대한 콘텐츠를 제작, 공유해야 한다. 퀀컴 관계자는 "우리의 목표는 스냅드래곤 인사이
[더구루=오소영 기자] 독일 폭스바겐그룹이 캐나다 온타리오주에 배터리셀 공장 건설을 검토한다. 올리버 브루메(Oliver Blume) 폭스바겐 회장을 포함해 5명을 로비스트로 등록하고 캐나다 정부를 상대로 막대한 인센티브를 따내기 위한 로비 공세를 펼친다. [유료기사코드]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한델스블라트(Handelsblatt) 등 독일 매체에 따르면 폭스바겐은 온타리오주에 배터리셀 공장 설립을 모색하고 있다. 폭스바겐은 지난달 캐나다 정부와 현지에 배터리 공장 부지를 찾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었다. <본보 2022년 12월 2일 참고 폭스바겐 북미 배터리 공장 '캐나다'에 들어선다> 로비스트도 고용하고 현지 정부와 활발히 교류하고 있다. 캐나다 공공부문 청렴위원회(Office of the Public Sector Integrity Commissioner of Canada)에 따르면 지난달 4일부터 13일까지 캐나다 로펌 베넷 존스, 미국 로펌 브래들리 아란트 볼트 커밍스, 미국 부동산 회사 JLL 출신 4명이 로비스트 명단에 등재됐다. 브루메 회장도 지난 6일 로비스트 등록을 마쳤다. 총리실을 비롯해 교통부, 에너지부, 혁신과학경
[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본 히타치(日立)제작소와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의 합작사 'GE히타치뉴클리어에너지'(이하 GE히타치)가 온타리오주에 소형모듈원자로(SMR)를 배치한다. 캐나다 대형 건설사 에이컨(Aecon) 그룹을 비롯해 주요 파트너사와 계약을 맺고 2028년 준공을 목표로 건설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에이컨 그룹은 GE히타치, 온타리오발전(OPG·Ontario Power Generation), 캐나다 엔지니어링 회사 SNC-라발린과 SMR 건설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달 27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들은 6년간의 계약을 토대로 온타리오주 클레링톤에 300㎿급 BWRX-300을 짓는다. GE히타치는 주요 구성 요소의 설계·조달·엔지니어링을 담당하고 에이컨은 프로젝트 관리와 건설 계획·실행을 포함한 건설 서비스를 제공한다. OPG는 운영자 교육과 시운전, 이해관계자 지원 등을 맡으며 SNC-라발린은 엔지니어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GE히타치와 파트너사들은 부지 준비를 이미 시작했다. 2028년 4분기 준공한다는 목표다. 상업운전이 시작되면 30만이 넘는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GE히타치는 캐나다에 BWRX-300를
[더구루=윤진웅 기자] 독일 폭스바겐이 브랜드 인기 해치백 모델 골프를 전기차로 출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일단 내년 중으로 공개한다는 계획이지만, 디자인 변경과 파워트레인 개발 등을 고려하면 2028년은 지나야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폭스바겐은 내년 9세대 골프를 전기차로 출시할 예정이다. 이는 토마스 셰퍼(Thomas Schäfer) 폭스바겐 브랜드 최고경영자(CEO)가 유럽 내 최고 권위의 자동차 전문지 아우토빌트(AutoBild)와의 인터뷰를 통해 직접 밝힌 내용이다. 셰퍼 CEO는 "우리는 현재 폭스바겐 골프 후속 모델을 위한 포트폴리오 작업을 하고 있다"며 "해당 모델은 내연기관이 아닌 전기차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골프 전기차 모델은 ID시리즈로 출시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 역시 셰퍼 CEO가 직접 언급한 내용으로 아우토빌트와의 인터뷰에 앞서 독일 주요 언론 중 하나인 '디벨트'(die Welt)와의 인터뷰를 통해 공개했다. 그는 "(골프 전기차 버전은) ID.3와 오는 2025년 출시하는 ID.2 사이에 위치하게 될 것"이라며 "ID.2는 MEB 라이트 플랫폼을 적용한 초소형 자동차로 골프와는 관련이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브라질 내 하이브리드 구매 고객들을 위한 24시간 지원 서비스를 시작했다. 고객 만족도 상승에 따른 브랜드 현지 인지도와 이미지 제고로 이어질 전망이다. 4일 기아 브라질판매법인에 따르면 기아는 최근 현지 자동차 보험 업체 Europ Assistance Brasil과 24시간 긴급 서비스 지원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해당 서비스는 2022~2023년형 카니발을 비롯해 스토닉과 스포티지, 니로 등 하이브리드 모델 3종을 구매한 고객 6000여명을 대상으로 1년간 이뤄진다. 지난 1일부터 시행됐다. 주요 서비스는 △차량 견인 △배터리 충전 △차량 사용 불능 시 이동수단 제공(50km 제한) 등이다. 이용 방법은 간단하다. 0800-111-1213번으로 직접 전화하거나 차량 앞유리에 부착된 QR코드를 통해 보험사와 연결할 수 있다. 가브리엘 루에이리오(Gabriel Loureiro) 기아 브라질법인 애프터 세일즈 이사는 "Europ Assistance Brasil과 파트너십을 맺은 이뉴는 자동차 부문에 대한 지식과 경험 때문"이라며 "긴급 상황에서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이어 "그동안 내연기관에 대한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 첫 전기차 모델 'GV60'가 캐나다에서 올해의 전기차로 선정됐다. 경쟁 차종들과 비교해 디자인과 성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와 함께 기아 스포티지가 올해의 유틸리티차로 꼽혀 겹경사를 이뤘다. 캐나다 자동차 매체 오토가이드는 최근 '오토가이드 어워드 2023'(AutoGuide Award 2023) 개최하고 부문별 수상 모델을 발표했다. 총 4개 부문으로 치러진 결선에서 3개 부문을 전기차 모델이 차지했다. 오토가이드는 매년 오토가이드 어워드를 통해 △가치와 혁신성 △사용자 친화성 △사용자 편의성 △공간 △기술 △안전성 등을 기준으로 최종 후보에 오른 차종을 심사하고 부문별 우승 모델은 선정하고 있다. 지난해까지는 총 8개 부문으로 진행했으나 올해부터는 4개 부문으로 간소화했다. 또 글로벌 전기차 시장 성장세에 따라 올해의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of the Year) 부문을 신설했다. 올해 최종 결선에 오른 차량은 총 20개 모델이다. 이 중 BMW i4가 올해의 차(2023 Car of the Year), 기아 스포티지가 올해의 유틸리티차(2023 Utility Veh
[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이버의 북미 C2C(Consumer to Consumer) 패션 플랫폼 포쉬마크(Poshmark)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수혜'를 기대하고 있다. 저가 물품에 대한 소액 면세제도(De minimis, 디미니미스)의 폐지로 저렴하게 공급되던 새옷의 가격을 높여 상대적으로 중고 의류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보니 사업 성장세를 점칠 수 있게 된 것이다. 포쉬마크는 정책적 수혜를 등에 업고 사업 환경 개선과 리더십 정비를 바탕으로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중고 의류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미국 최대 중고거래 플랫폼인 스레드업(ThredUp)은 올해 1분기 신규 구매자가 전년동기 대비 95% 증가했다. 스레드업은 "회사 설립이래 가장 큰 폭의 증가세"라고 설명했다. 명품 의류 중고 거래 플랫폼인 더리얼리얼(TheRealReal)은 1분기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11% 증가했다고 밝혔다. 포쉬마크의 애플리케이션(앱) 다운로드 수도 급증하고 있다. 포쉬마크 외에도 디팝(Depop), 이베이(eBay) 등도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미국 중고 의류 시장의 성장 배경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있다는
[더구루=김은비 기자]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한 주차장에 주택 차고에 주차중이던 BYD 전기 세단 ‘씰(Seal)’에서 화재로 의심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BYD 인도네시아 측은 화재가 아니라며 진화에 나섰으나 배터리 결함 가능성까지 제기되며 전기차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현지 언론 자카르타포스트 등에 따르면 지난 14일(현지시간) 자카르타 서부 팔메라(Katalis, North Palmerah) 지역의 한 주택 차고에 주차된 BYD 씰 차량 1대에서 갑자기 연기가 나오는 사고가 발생했다. 서자카르타 소방당국은 “전기 배터리 관련 전기 계통 문제에서 연기가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해당 차량의 소유자는 사고 당시 차량에서 ‘폭발음’을 들었다고 증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장에는 소방차 6대와 인력 30명이 긴급 투입돼 빠르게 진화에 나섰으며, 인명 피해나 인근 건물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다만 BYD 측은 화재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루터 판자이탄 BYD 인도네시아 대외협력·홍보 책임자는 “실제 불이 난 것이 아니라 연기가 발생한 것”이라며 “일부 사진에서 화염처럼 보이는 장면은 차량 미등이 연기에 반사돼 왜곡된 것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