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다정 기자] 몽골 제약 시장에 불고 있는 '한류열풍'을 타고 국내 의약품의 현지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몽골은 수입 비중이 높아 유망 시장으로 꼽히는 만큼 국내 제약사의 활발한 진출이 기대된다. 5일 코트라 울란바토르무역관에 따르면 지난 2020년 기준 몽골 의약품 수입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7위에서 3위로 도약했다. 몽골은 매년 총 수입의 약 1.6~1.8%에 해당하는 약 9000만 달러(약 1044억원)의 의약품을 수입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총 수입 규모의 약 2%에 해당하는 의약품을 수입했다. 2020년 기준 총 59개국 4511종 의약품이 등록된 상황이다. 이 중 현지에서 생산된 의약품이 가장 많은 19.8%를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 인도(11.7%), 한국(9.7%), 러시아(6.4%), 독일(5.8%), 슬로베니아(4.9%) 등의 순이다. 몽골 제약시장은 시장 규모가 작지만 수입 비중이 높아 해외 기업들이 관심을 가지고 진출할 만한 유망시장으로 꼽힌다. 현지 수입 의약품 시장은 유럽 기업들의 점유율이 높은 편이다. 2020년 수출국가 기준으로 독일이 약 1630만 달러(약 188억원)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은 슬로베니아(1581만
[더구루=김다정 기자] 최근 러시아 내에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검진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국내 의료기관은 한국 의료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바탕으로 서비스 진출을 노려볼만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러시아 내에서는 종합검진을 통한 질병의 사전 발견과 치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수요가 늘어나자 건강검진기관들도 다양한 형태로 생겨나고 있다. 러시아 정부는 지난 2019년부터 의무의료보험(ОМС)을 통해 일반 시민들에게 무료 건강검진을 제공하고 있다. 정부 정책에 발맞춰 민간의료보험(DMS)도 건강검진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기업들도 의무적으로 또는 직원복지의 수단으로 건강검진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 의무적으로 건강검진을 받거나 자발적으로 건강검진을 할 수 있는 다양한 루트가 생기면서 건강검진 수요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건강검진기관인 AMC 클리닉에 따르면 러시아인의 건강검진에 대한 수요가 매년 20~30%씩 증가하는 추세다. 코트라 블라디보스톡무역관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증가하는 건강검진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건강검진기관도 늘어나고 있다"며 "질병을 사전에 발견하고 대처해야 한다는 인식이 많
[더구루=김다정 기자]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반스'(VANS)가 메타버스 게임 플랫폼 '로블록스(Roblox)'에 등장한다. 반스는 지난 2일(현지시간) 메타버스 확장의 일환으로 로블록스 내에 '반스 월드'(Vans World)를 출시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로블록스는 일평균 약 4320만명의 글로벌 이용자가 즐기고 있는 온라인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이다. 메타버스 열풍을 타고 북미와 유럽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사용자 기반이 탄탄하다. 메타버스는 가상·초월을 뜻하는 '메타'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의 합성어로 가상과 현실이 상호작용하는 혼합현실을 말한다. 사용자들이 아바타 형태로 가상세계를 함께 즐길 수 있어서 MZ세대(밀레니얼+Z세대)들의 새로운 소통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다. 반스월드는 가상 현실과 증강 현실의 요소를 결합해 플레이어가 전 세계에 있는 실제 위치를 모델로 한 가상 스케이트 파크에서 자신만의 반스 장비와 스케이트보드로 아바타를 꾸밀 수 있도록 한 가상 공간이다. 플레이어는 상점에서 데크와 휠을 비롯한 스케이트보드용 맞춤형 부품과 맞춤형 반스 운동화와 같은 의류를 구입할 수 있다. 무료로 제공되는 상품 외 일부 상품은
[더구루=김다정 기자] 제넥신의 성장호르몬 결핍치료제 'GX-H9'이 중국에서 임상 3상 첫 환자 투약을 완료하고 순조롭게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제넥신의 중국 파트너사인 아이맵 바이오파마(I-Mab Biopharma)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열린 컨퍼런스콜에서 "지난 2월 소아 성장호르몬 결핍증(PGHD)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에프탄소마트로핀(GX-H9) 임상 3상의 첫 번째 환자 투약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GX-H9은 제넥신의 지속형 플랫폼기술인 hyFcTM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성장호르몬(rhGH) 제제다. 간에서 IGF-1(insulin-like Growth Factor 1)의 생성을 유도해, 골아세포(osteoblast) 및 연골세포(chondrocyte)를 포함한 다양한 조직에 작용하여 뼈 성장을 촉진한다. 최근에는 유럽의약품청(EMA)로부터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받기도 했다. 아이맵은 제넥신과 GX-H9(I-Mab코드명 TJ101)을 포함한 3개 파이프라인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해, 중국 내 에프탄소마트로핀의 개발, 제조 및 상업적 권리를 보유하고 있다. 이에 지난해 1월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 산하 의약품평가센터
[더구루=김다정 기자] 제넥신의 항암 면역치료제 'GX-I7' 중국 임상이 순항하면서 '310조원' 규모의 글로벌 면역항암제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제넥신의 중국 파트너사인 아이맵 바이오파마(I-Mab Biopharma)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컨퍼런스콜을 개최하고 'TJ107'(GX-I7의 I-Mab코드명)의 개발현황에 대해 공유했다. TJ107은 제넥신이 항암 면역치료제로 개발 중인 '유전자재조합 인간 인터루킨-7(interleukin-7)' 성분 의약품이다. 인터루킨-7은 면역 시스템의 핵심세포인 T세포를 만들어내는 가장 중요한 단백질이다. 아이맵은 지난 2017년 제넥신으로부터 암에 대한 적응증에 대하여 TJ107의 중국, 대만, 홍콩, 마카오에 대한 개발권 및 판권을 기술이전 받았다. 아이맵에 따르면 TJ107는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중국의 1상 임상 시험을 완료했다. 이어 교모세포종(GBM) 환자에 대한 2상 임상 시험은 지난 2월 첫 번째 환자 투약을 완료하고, 현재 환자 등록을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지난달에는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 산하 의약품평가센터(CDE)로부터 삼중음성유방암과 두경부암 등
[더구루=김다정 기자] SD바이오센서의 형광면역진단기기 '스탠다드F‘(STANDARD F COVID-19 Ag)'가 파나마에서 승인 특혜 논란에 휩싸였다. 앞서 태국에서 정부입찰 특혜 논란의 중심에 선 데 이어 해외에서 계속해서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파나마 현지 일간지 '라 에스트렐라 데 파나마'(La Estrella de Panamá)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현지 유통업체 미레로(Mirero)가 유통하는 한국산 코로나19 진단키트 인증과 관련 잠재적인 부정이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미레로는 SD바이오센서의 스탠다드F를 유통하면서 지난해 12월부터 파나마 보건부와 사회보장기금(CSS)이 주관한 코로나19 진단키트 조달 입찰에서 최대 공급업체로 선정됐다. 형광면역 항원시약 키트인 스탠다드F는 환자의 하기도와 인후두 채취 가검물에서 코로나 19 항원을 현장에서 15분 안에 검사할 수 있는 신속 진단 키트다. 하지만 SD바이오센서의 스탠다드F의 경우 애초에 인증조차 받을 수 없었다는 것이 라 에스트렐라 데 파나마의 주장이다. 파나마 '고르가르 기념 연구소'(Gorgas Memorial Institute, GMI)는 지난해 12월 2일 해당 진단키트의 유효성
[더구루=김다정 기자] 미국 의회가 바이오젠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아두헬름'(Aduhelm) 대한 추가 자료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요청했다. 미국서 아두헬름을 둘러싸고 효능과 승인 절차에 대한 의문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하원위원회는 최근 자넷 우드콕 FDA 국장 대행에게 아두헬렘 승인 가속화와 관련된 데이터·문서 요청서를 보냈다. 하원위원회는 이미 바이오젠에 문서를 요청한 상태지만, 의회 조사관이 직접 공개요청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FDA는 지난 7월에 의회 직원을 만나 아두헬름 승인을 위해 정기적으로 모인 고위 관리 그룹인 FDA의 의료 정책 및 프로그램 검토 위원회(FDA's Medical Policy and Program Review Council)의 회의록을 제공했지만, 하원위원회는 더 많은 질문이 남아 있다는 입장이다. 하원위원회는 “아두헬름 검토를 둘러싼 FDA 프로세스의 명백한 이상 현상이 있다”며 “특히 약물 승인과정에서 FDA와 바이오젠의 비정상적인 협력이 있다는 보고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하원위원회 소속 하원 감독·개혁 위원회와 에너지·상업 위원회의 의원들은 FDA에 △승인 결정을
[더구루=김다정 기자] 브라질 식약위생감시국(ANVISA)으로부터 긴급사용승인을 받은 셀트리온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항체치료제 '렉키로나'(성분명 레그단비맙)가 내일 브라질에 도착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일 한국에서 출발한 약 3500개의 렉키로나는 오는 3일 브라질에 도착한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이미 민간 병원들을 상대로 치료제 사용데 대한 협상을 강화했다. 브라질 현지에서 평균 15일이 소요되는 반입절차를 거쳐 9월 말 이전에 약 1200명의 환자에게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직 약가는 책정되지 않았다. 앞서 브라질 보건당국은 제출된 자료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코로나19로 확진된 성인 고위험군 경증환자, 중등증 환자를 대상으로 렉키로나의 긴급사용을 승인했다. 이날 온라인을 통해 생중계된 당국자 회의에서는 심사위원 전원이 만장일치로 렉키로나의 긴급사용을 지지했다. 렉키로나의 브라질 입성을 앞두고 현지 의료계에서도 기대가 높아지는 분위기다. 카를로스 스탈링 감염전문의는 "질병 초기에 치료 옵션이 없는 환자에게 좋은 소식”이라며 “일부 경우에는 고위험 환자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우나이 투피남바스 감염전문의도 "렉키로나의
[더구루=김다정 기자] 중국 제약사 베이진(BeiGene)의 BTK억제제 '브루킨사'(성분명 자누브루티닙)가 희귀 혈액암인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치료제로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았다. 베이진은 지난 1일(현지시간) 미국 FDA가 브루킨사를 성인환자를 위한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WM) 치료제로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는 브루킨사의 두 번째 FDA 승인이자 세 번째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치료제다. 이번 승인은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이 있는 성인 환자에서 자누브루티닙과 이브루티닙을 비교한 무작위 3상 ASPEN 임상 시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ASPEN 시험에서 브루킨사는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고활성 BTK 억제제라는 강력한 증거를 제공했다. 1세대 BTK 억제제와 비교하여 임상적으로 중요한 여러 부작용에 걸쳐 개선된 내약성을 보여줬다. 제인 황 베이진 혈액학 최고의료책임자는 "브루킨사의 승인은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에서 표적 치료를 위한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한다"며 "확장된 치료 옵션은 이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공하고, 단일 약제로 제공될 수 있는 경구 요법을 잠재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고
[더구루=김다정 기자] SK바이오텍 아일랜드가 부사장 겸 총괄 책임자였던 조이스 피츠해리스(Joyce Fitzharris)를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SK팜테코가 2023년을 목표로 기업공개(IPO)를 추진하는 가운데 내부사정에 정통한 전문가를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하면서 중장기 경영전략을 책임있게 수행하기 결정으로 풀이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조이스 피츠해리스(Joyce Fitzharris)가 SK 바이오텍 아일랜드의 새 사장으로 임명됐다. 아슬람 말리크 SK팜테코 최고경영자(CEO)는 "조이스는 2019년 12월부터 소워즈에 기반을 둔 아일랜드 사업을 이끌고 있다"며 "그녀의 리더십 아래 SK바이오텍 아일랜드는 재정적으로 성장했고, 비즈니스와 조직 모두를 변화시켰다"고 평가했다. 원료의약품(API) 업계에서 30년의 경험을 가진 조이스는 2019년부터 아일랜드 더블린의 스워즈(Swords)에 위치한 SK바이오텍 아일랜드 공장에서 근무했으며, 현재 총책임자로 일하고 있다. SK바이오텍 아일랜드는 SK팜테코의 자회사다. 스워즈 공장은 지난 2018년 세계적 제약사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BMS)에게 인수한 생산시설이다. 한국 제약기업이 글로벌 제약사와의 크로스보더
[더구루=김다정 기자] 최근 일부 선진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의 부스터샷 접종 움직임이 커지는 가운데 모더나가 추가용량 접종을 위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자료를 제출했다. 모더나는 지난 1일(현지시간) FDA에 코로나19 백신의 부스터샷 승인을 위해 자료를 제출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는 50마이크로그램 용량으로 승인된 2회 접종 백신의 추가 용량을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모더나에 따르면 부스터샷으로 50㎎을 투여할 경우 델타 변이체에 대한 면역력을 40배 이상 높일 수 있다. 부스터샷은 델타 변이에 대한 중화 항체 수치를 무려 42.3배 증가시켰으며, 감마 변이의 경우 항체 증가율이 43.6배, 베타 변이는 32배에 달했다. 65세 이상 연령층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모더나 측은 "3차 접종은 강력한 항체 반응을 유도했으며, 2차 접종만큼 안전하다"고 설명했다. 최근 미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는 빠르게 확산되는 델타 변이와 6개월 후 백신 접종을 받은 사람들의 항체 수치가 감소하는 증거에 직면하면서 부스터샷 접종을 시행하려는 움직임이 거세지고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화이자나 모더나의 백신 2차 접종
[더구루=김다정 기자] 독일 내수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음식배달업체 딜리버리히어로(Delivery Hero)가 '고릴라즈'(Gorillas) 투자를 통해 반전을 꾀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딜리버리히어로는 독일 식료품 배달업체 고릴라즈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고릴라즈는 'Faster than you'(당신보다 더 빨리)라는 슬로건 하에 배달서비스 시장에 뛰어든 '초고속' 식료품 배송 서비스업체다. 주문에서 배달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은 '10분 이내'다. 특히 고릴라즈는 창업 열달 만에 3억달러 이상을 투자받으면서 이른바 유니콘(기업 가치 10억달러 이상의 신생 기업) 대열에도 합류할 정도로 독일 내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독일 스타트업 사상 최단 기록이다. 현지 언론에서는 사실상 딜리버리히어로의 투자가 확실하다고 보고 있다. 딜리버리히어로의 경우 16억 유로(약 2조1934억원)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자금조달도 쉬울 전망이다. 현재 독일 배달시장은 신생 스타트업의 공세로 시장 경쟁이 격화되는 상황이다. 시기적으로 최근 독일시장으로 복귀한 딜리버리히어로가 고릴라즈를 통해 보다 쉽게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으로 관측된다. 독일 베를린에 본사를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챗GPT를 활용한 '지브리 스타일 사진 만들기'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오픈AI 인프라에 심각한 부담이 되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오픈AI는 과부화가 지속될 시 신규 서비스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유료기사코드] 샘 알트만 오픈AI CEO는 1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챗GPT 이미지 변환에 컴퓨팅 자원을 집중하면서 신규 기능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며 "일부 기능은 중단되고 서비스가 느려질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달 28일에도 "사람들이 챗GPT로 즐거워하고 있지만 우리의 GPU는 녹아내리고 있다"며 인프라 과부화 문제를 알린 바 있다. 오픈AI 인프라가 과부화된 배경에는 지난달 25일 출시된 챗GPT-4o 이미지 생성 모델이 있다. 해당 모델 출시 직후 전세계 이용자가 자신의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로 변환하기 시작한 것. 이용자들은 지브리 외에도 픽사와 디즈니, 심슨, 명탐정 코난, 짱구는 못말려 스타일로 사진을 변경하고 있다. 문제는 해당 기능이 전세계적인 입소문을 타면서 신규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점이다. 알트만 CEO는 지난달 31일 "
[더구루=김은비 기자] 글로벌 IT기업 HCL테크놀로지스(HCLTech, 이하 HCL테크)가 삼성전자 차세대 반도체 파운드리 생태계 ‘SAFE™(Samsung Advanced Foundry Ecosystem)’ 프로그램에 합류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업계에 따르면 HCL테크는 삼성전자 SAFE™ 프로그램의 ‘설계 솔루션 파트너(Design Solution Partner, DSP)’로 선정됐다. SAFE™ 프로그램은 반도체 설계 회사가 삼성전자 첨단 반도체 공정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파트너십 생태계다. △전자설계자동화(EDA) △설계 솔루션·서비스 △지적재산권(IP) △클라우드 솔루션 등 반도체 설계에 필요한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HCL테크는 삼성전자 고객에게 맞춤형 반도체(ASIC) 설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신규 반도체 기술의 조속한 개발·출시를 돕고, 반도체 설계·생산 과정에서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다. 삼성전자는 HCL테크 엔지니어에게 최신 반도체 기술과 관련된 전문 교육도 제공할 예정이다. 고객 맞춤형 반도체 설계 프로젝트(턴키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기술적 지원 또한 병행한다. 이번 협력을 통해 HCL테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