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명은 기자] CJ제일제당의 '비비고 소바바치킨'이 미국 '코스트코(Costco)'에서 인기몰이 중이다. K-푸드의 글로벌 위상이 높아지는 가운데, 비비고 소바바치킨이 단순한 냉동식품을 넘어 전 세계 식탁 위 한국의 맛을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 뉴욕 지역의 교외 생활 가이드(Suburbs 101)는 12일 비비고 소바바치킨을 '시도해야 할 코스트코 신제품 14선' 가운데 하나로 소개했다. "달콤하고 짭짤한 소스를 입한 부드러운 흰살 닭고기로 만든 냉동 식품으로 코스트코에서 15.99달러에 불과하다"며 간편한 조리와 풍부한 맛, 저렴한 가격을 강점으로 꼽았다. '단짠'의 조화를 이룬 '소이허니' 맛으로 무장한 비비고 소바바치킨은 현지 소비자들 사이에서 '에어프라이어에서 단 10분 만에 완벽히 바삭해지는 한국식 프라이드 치킨'으로 눈길을 끌고 있다. 냉동 상태에서 소스가 이미 입혀져 있어 별도의 조리나 양념 과정 없이 바로 먹을 수 있다는 점도 미국 현지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CJ제일제당은 국내에서 히트를 친 비비고 소바바치킨을 지난해 11월 미국과 일본 코스트코에 선보이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영국, 프랑스, 독일 등
[더구루=김명은 기자] 서울 종로에 위치한 한식 레스토랑 '온지음(Onjium)'이 '2025 세계 베스트 레스토랑(51-100위)' 순위에서 57위를 차지하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 전통음식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온지음'은 한국 레스토랑 중에서 유일하게 이름을 올리며 아시아 대표 미식 공간으로 떠올랐다. '세계 50대 레스토랑 2025(The World’s 50 Best Restaurants 2025)' 운영위원회는 오는 19일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리는 시상식에 앞서 51위부터 100위까지의 레스토랑 명단을 11일 공개했다. 산 펠레그리노(S.Pellegrino)와 아쿠아 판나(Acqua Panna)가 후원하는 2025년 세계 50대 레스토랑은 총 6개 대륙 25개 지역, 37개 도시에 있는 레스토랑을 대상으로 선정됐다. 이 순위는 세계 각국의 셰프, 음식 평론가, 미식가 등 총 1120명의 전문가 투표로 결정됐다. 57위에 오른 온지음은 전통문화연구소가 운영하며, 옷·음식·공간을 아우르는 문화 복원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탄생했다. 조윤희 총괄 셰프가 이끄는 이곳은 '온고지신', '지음(知音)'이라는 뜻을 담아 절기와 기의 흐름에 맞춘 메뉴 구성
[더구루=김명은 기자] 유한킴벌리의 모회사 킴벌리클라크(Kimberly-Clark)가 브라질의 유칼립투스 펄프 생산업체인 수자노(Suzano)와 손잡고 국제 위생용지 및 산업용 제품 분야 합작회사를 설립한다. 이는 킴벌리클라크가 고성장·고수익 분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하는 핵심 단계로 평가된다. [유료기사코드] 킴벌리클라크는 5일(현지시간) '인터내셔널 패밀리 케어 및 프로페셔널(IFP)' 사업 부문 자산을 수자노와의 합작법인에 출자한다고 발표했다. 합작회사는 수자노가 51%, 킴벌리클라크가 49%의 지분을 보유하며, 향후 새로운 글로벌 위생용품 전문기업으로 출범하게 된다. 합작회사는 전 세계 70개국 이상에서 매출을 창출하고 있는 IFP 사업부의 22개 제조 시설과 약 9000명의 직원을 포함한다. 킴벌리클라크는 스콧(Scott), 크리넥스(Kleenex), 비바(Viva), 와이폴(WypAll), 킴벌리-클라크 프로페셔널(Kimberly-Clark Professional) 등 5개 글로벌 브랜드를 장기 라이선스 형태로 신설법인에 제공한다. IFP의 40개가 넘는 지역 브랜드는 새 합작회사가 직접 보유하게 된다. IFP 사업 부문은 지난해 기준 약 33
[더구루=김명은 기자] CJ제일제당이 일본 젊은 소비자층을 겨냥해 K-푸드 브랜드 '비비고' 패키지를 적용한 굿즈 '미니어처 참' 2탄을 선보였다. 일본 장난감업체 반다이의 브랜드 가샤폰과 두번째 협업이다. 2023년 첫 출시 이후 현지에서 좋은 반응을 얻은 데 따른 것으로, 일본 내 비비고 브랜드 인지도 확산과 팬층 확대를 위한 마케팅 전략의 일환이다. 11일 가샤폰에 따르면 CJ제일제당은 '비비고 미니어처 참 한국어판'을 출시한다. 이번 시리즈는 △통새우 만두 △본갈비탕 △썰은 배추김치 △쌀떡볶이 △단팥붕어빵 등 한국 인기 메뉴 총 5종으로 구성됐다. 제품은 실제 비비고 패키지를 본뜬 미니어처 디자인으로 제작됐다. 뒷면에는 영양정보와 제품 설명까지 꼼꼼하게 재현돼 있다. 가격은 300엔이며, 일본 전역에 있는 가샤폰 자판기와 반다이 토이숍을 통해 순차적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CJ제일제당은 일본 현지에서 비비고 제품을 접한 소비자들이 친근하게 브랜드를 경험할 수 있도록 미니어처 참 굿즈를 기획했다. 2030 세대를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는 '도한놀이'(호텔 같은 비일상적인 공간에서 한국 음식과 콘텐츠를 소비하는 여행 놀이) 문화와 결합해 K-푸드에 대한 흥미
[더구루=김명은 기자] 농심이 '신라면 툼바'를 앞세워 일본 라면 시장에서 흥행몰이 중이다. 최근 일본 최대 온라인 쇼핑 플랫폼 큐텐(Qoo10)에서 신라면 툼바가 판매 순위 상위에 오르며 현지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 큐텐을 운영하는 이베이재팬이 11일 발표한 '한국 국수 판매 랭킹'(2025년 5월 1일~21일 기준)에 따르면 농심의 '신라면 툼바' 봉지면과 용기면이 각각 판매 순위 2위와 5위를 기록했다. 봉지라면과 컵라면이 모두 순위에 이름을 올리며 신라면 툼바에 대한 일본 내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 신라면 툼바는 매콤한 크림 파스타 스타일의 라면으로, 출시 직후부터 일본 젊은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농심은 일본 시장 공략을 위해 제품 라인업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2월 큐텐과 라쿠텐(Rakuten) 등을 통해 신라면 툼바 봉지면을 출시한 데 이어, 4월부터는 세븐일레븐에서 용기면 판매를 시작했다. 해외 소비자들을 겨냥해 브랜드 경험을 늘리는 마케팅도 강화하고 있다. 농심은 최근 일본 도쿄 하라주쿠에 제품 체험 공간인 '신라면 분식'을 열었다. 신라면 툼바를 비롯해 짜파게티 등 농심의 다양한 라면을 직접 조리
[더구루=김명은 기자] 하이트진로가 넷플릭스의 글로벌 흥행작 '오징어 게임 시즌3'와의 협업을 통해 다시 한 번 전 세계 시장 공략에 나선다. 글로벌 마케팅을 더욱 강화하며 'K-소주' 열풍을 이어가겠다는 전략이다. 하이트진로는 10일(미국 현지시간) 넷플릭스의 기대작 '오징어 게임 시즌3'와 협업한 한정판 참이슬 세트를 전 세계 18개국에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한국과 일본, 호주, 멕시코에서 진행된 시즌2 기념 이벤트의 인기에 힘입어 지역을 확장했다. 이번 제품은 시즌3의 세계관과 새로운 캐릭터를 바탕으로 구성됐다. 핑크 병정과 새 의상을 입은 영희 인형, 시즌3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철수 인형에 '오징어 게임' 참가자 복장을 한 진로 두꺼비 캐릭터까지 포함돼 소장 가치를 더했다. 이번 한정판에는 시즌2 캠페인에서 입소문을 타며 전 세계적으로 밈과 온라인 챌린지를 불러일으킨 '영희 게임기'도 포함됐다. 해당 콘텐츠는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1억 뷰 이상을 기록하며 팬들의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낸 바 있다. 함께 제공되는 소주잔은 바닥에 달고나 패턴이 숨겨져 있어 마시는 재미와 함께 오징어 게임을 떠올리게 하는 효과도 일으킨다.
[더구루=김명은 기자] "치킨은 스포츠와 함께 할 때 가장 맛있다." 국내 대표 치킨 프랜차이즈 제너시스 BBQ가 창립 30주년을 맞아 세계적인 축구 명문 구단 FC바르셀로나 서울 경기를 후원한다. 고객 사랑에 대한 보답 차원에서 티켓 3만 장도 확보해 무료로 증정하는 대규모 프로모션도 기획했다. BBQ는 10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오는 7월 31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진행되는 FC바르셀로나와 FC서울 경기의 메인 스폰서로 참여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기는 스페인 최고 축구 구단인 FC바르셀로나의 아시아투어의 일환으로, FC바르셀로나의 방한은 지난 2010년 이후 15년 만이다. 윤홍근 BBQ 회장은 "창사 30주년을 맞아 5000만 국민 여러분께 감사의 마음을 어떻게든 표현하고 싶었다"면서 "이번 행사는 스포츠와 브랜드, 팬과 문화가 하나가 되는 축제의 장이자 감사의 무대"라고 말했다. FC바르셀로나는 전 세계 3억6000만 명의 팬을 보유한 글로벌 명문 클럽이다.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하피냐, 17살의 천재 신예 라민 야말 등 세대와 문화를 아우르는 스타 선수들이 대거 소속돼 있다. BBQ는 이번 경기 관람 티켓 3만 장을
[더구루=김명은 기자] 캐나다 경쟁당국이 미국판 '배달의민족' 도어대시(DoorDash)에 대해 허위 가격 표시 혐의로 제재에 나섰다. 소비자에게 과도한 수수료를 숨겨 부당하게 수익을 챙긴 혐의가 인정될 경우 도어대시는 막대한 과징금과 피해자 배상 책임을 질 수도 있다. [유료기사코드] 캐나다 경쟁국(Competition Bureau)은 10일(현지시간) 도어대시 본사와 캐나다 자회사 도어대시 테크놀로지스 캐나다(DoorDash Technologies Canada)를 가격 허위 표시 및 소비자 기만 혐의로 경쟁재판소(Competition Tribunal)에 제소했다고 밝혔다. 당국은 도어대시가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에 음식 가격을 낮게 표시한 뒤 결제 단계에서 각종 수수료를 추가하는 '드립 프라이싱(Drip pricing)' 방식을 사용해 소비자를 오인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경쟁국은 "광고된 가격보다 높은 금액을 결제하게 만드는 이 같은 관행이 10년간 지속돼 왔다"며 "도어대시는 이를 통해 캐나다 소비자들로부터 약 10억 캐나다달러(약 1조 원)에 달하는 의무 수수료를 받아왔다"고 밝혔다. 해당 수수료에는 서비스 수수료, 배달비, 주문 최소금액 수수료,
[더구루=김명은 기자] 쿠팡이 미국 최대 은행 JP모건체이스와 총 15억 달러(약 2조 원) 규모의 회전(리볼빙) 신용계약을 체결했다. 쿠팡의 자금 유동성을 강화하고, 중장기적인 사업 확장 전략을 뒷받침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호주 금융리서치 업체 '심플리 월스트리트(Simply Wall St)'는 지난 6일(현지시간) 쿠팡의 신용계약 소식과 함께 향후 실적 및 주가 전망 등을 분석한 보고서를 내놨다. 이번 신용계약은 쿠팡의 최근 호실적과 맞물려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한층 끌어올리고 있다. 쿠팡은 올해 1분기 매출 79억 달러(약 10조7000억 원)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성장세를 이어갔다. 당기순이익 또한 1억1400만 달러(약 1545억 원)로 흑자전환했다. 이 같은 실적 발표 이후 최근 분기 주가는 약 25.45% 상승했다. 쿠팡은 여기에 더해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도 병행하며 주주환원에 나서고 있다. 시장에서는 이 같은 재무 전략과 주가 부양 조치가 투자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쿠팡은 최근 핵심 서비스인 로켓배송을 비롯해 대만 시장 진출 등 해외 확장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심플리 월스트리트는 이러한 전략적 행보가 수익성 개
[더구루=김명은 기자] SPC그룹의 파리바게뜨가 캐나다 가맹사업에서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이며 북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2023년 캐나다 진출 이후 빠른 속도로 매장을 확대하며 현지 소비자들과 프랜차이즈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현재까지 13개 매장을 운영 중인 가운데 연내 30개 매장 출점을 목표로 순항 중이다. 파리바게뜨 북미지역 최고개발책임자(CDO) 닉 스카치오(Nick Scaccio)는 지난 4일(현지시간) '레이트 나이트 레스토랑 쇼'(Late Night Restaurant Show) 팟캐스트에 출연해 "캐나다에서 30개 매장을 추가로 개발 중이며, 가맹사업은 매우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스카치오는 "프랜차이즈 모델의 강점은 일관된 운영과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이라며 "가맹점주는 4주간의 집중 실습 교육을 통해 브랜드 문화를 익히고 동일한 품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훈련받는다"고 강조했다. 파리바게뜨의 이같은 교육 체계와 브랜드 철학은 기존 프랜차이즈 운영자들로부터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캐나다 온타리오주에서 팀홀튼(Tim Hortons) 6개 매장을 운영해온 가맹점주 아비드 칸(Abid Khan)은
[더구루=김명은 기자] 한세엠케이의 유아동복 브랜드 모이몰른이 일본 전용 모바일앱을 출시하며 현지 시장 공략에 한층 속도를 내고 있다. 오프라인 유통망 확대에 이어 온라인 채널까지 강화하며 'K-유아동패션'의 입지를 본격적으로 다진다는 전략이다. 모이몰른의 일본 사업을 운영하는 한세드림 재팬은 지난 5일(현지시간) 일본 현지 전용 모바일앱을 공식 론칭했다. 이번 앱은 제품 검색 및 구매 기능은 물론, 회원 전용 이벤트와 적립금 혜택, 주변 매장 정보 등 다양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일본 소비자와의 접점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공식 앱 출시를 기념해 오는 26일까지 다운로드 캠페인도 진행된다. 모이몰른은 현재 도쿄, 오사카, 나고야 등 일본 주요 도시를 포함해 총 21개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 중이다. 지난 4월에는 고베산다프리미엄아울렛에 신규 매장을 열며 오프라인 유통망을 확대했다. 여기에 더해 이번 모바일앱 출시로 온라인 채널까지 강화하며 소비자들과 접점을 일본 전역으로 넓히고 있다. 모이몰른은 북유럽 감성을 담은 실용적이고 감각적인 디자인으로 국내외 소비자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는 브랜드다. 한세엠케이는 지난 2022년 유아동복 전문기업 한세드림을
[더구루=김명은 기자] CJ제일제당이 글로벌 한식 브랜드 '비비고'의 미국 앰버서더(홍보 대사)로 할리우드 배우 '랜달 박'(Randall Park)을 발탁했다. 비비고는 한국계 미국인을 대표하는 스타와의 협업을 통해 현지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대하고, 북미 시장 공략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CJ제일제당은 미국 시장 내 비비고 브랜드의 새로운 캠페인 '비비고 포 잇'(bibigo for it)을 통해 배우 랜달 박과의 파트너십을 공식화하고, 새로운 단품식(싱글 서브 보울) 라인을 출시한다고 6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미국 소비자들에게 한국 음식의 매력을 더욱 쉽고 친근하게 전달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비비고는 이를 통해 K-푸드의 대중화와 시장 확대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랜달 박은 미국 내에서 가장 잘 알려진 한국계 배우 중 한 명으로, 유쾌한 코미디 연기부터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작품까지 폭넓은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그는 지난 2014년 개봉한 영화 '디 인터뷰'(The Interview)에서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역할을 맡아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미국 ABC 방송의 시트콤 '프레시 오프 더 보트'(Fresh Off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중국 시장 전용 6인승 전기 SUV '모델 Y L'을 출시했다. 테슬라는 모델Y L을 앞세워 중국 로컬 브랜드에 맞서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는 19일(현지시간) 모델Y L을 출시하고 판매에 돌입했다. 모델YL의 배송은 다음달 시작될 예정이다. 모델Y L은 중국 시장 최고 인기 모델인 모델Y의 롱바디 모델이다. 이를 통해 좌석을 3열까지 배치해, 탑승인원을 6명으로 늘린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테슬라 중국법인 측은 "휠베이스를 늘려 각 좌석마다 넉넉한 레그룸을 갖추고 있다"며 "좌석마다 전동 조절 시트와 열선 기능이 장착됐고, 2열 시트에는 전동 암레스트도 탑재됐다"고 소개했다. 또한 2열과 3열은 평평하게 접혀, 필요에 따라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테슬라 모델Y L의 1회 충전시 751km(CLTC 기준) 주행할 수 있으며,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데는 4.5초가 소요된다. 최고 속도는 시속 210km에 달한다. 중국 전기차 전문매체 CNEV포스트는 모델YL에 LG에너지솔루션에서 개발한 82kWh 삼원계 배터리(NMC)가 장착됐다고 전했다. 테슬라는 모델YL을 33만90
[더구루=정예린 기자] 엔비디아가 오는 2027년부터 고대역폭메모리(HBM) 핵심 부품인 ‘베이스 다이’의 자체 생산을 추진한다. 기존 공급망 의존도가 줄어들면서 HBM 시장과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에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대만 공상시보(CTEE)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7세대 HBM인 HBM4E부터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탑재할 계획이다. 초기에는 TSMC 3나노미터(nm) 공정을 적용해 소량 시험 생산을 진행하고, 점차 생산 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다. 현재 엔비디아와 SK하이닉스는 HBM 개발 과정에서 설계부터 생산까지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2027년 하반기부터는 엔비디아가 자체 맞춤형 HBM4E 설계를 주도하고, SK하이닉스는 이러한 설계 기반의 생산만 지원하는 형태로 역할이 조정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2027년 상반기에는 SK하이닉스가 TSMC 12nm 공정에서 표준 HBM4E를 공급하며 초기 생산을 담당하고, 이후 엔비디아가 설계한 HBM4E가 3nm 공정에서 생산될 경우 SK하이닉스는 생산 지원에 집중하게 된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SK하이닉스는 기존 설계 협업 중심 역할에서 벗어나 생산 전문 지원으로 일